알고리즘과 시간복잡도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

  • @허지훈-j7t
    @허지훈-j7t 2 года назад +2

    알고리즘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오메가/세타/빅오 표기법으로 나눠서 표현할 수 있다는 점을 새로 알게 되어 신기합니다! 각 상황(혹은 미지수의 값)에 따라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를 평가가 달라지고 이를 알고리즘 제작에 사용하는거 같은데, 하나의 알고리즘 속에 (예를 들어) for문과 가우스 공식을 모두 넣고 둘 다 사용하는 방안을 채택하는건지, 만약 두 공식에서의 시간 복잡도가 같은 상황이라면 어떤 공식을 사용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선택되는지도 궁금합니다. 여러모로 많이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 @ckp7616
    @ckp7616 2 года назад

    빅오 시간 복잡도의 그래프에서 기울기가 낮을수록 효율적이라고 하였는데, 가장 높은 n! 그래프는 다른 알고리즘으로 바꾸어 계산할 수는 없는 건가요? 없다면 순열, 조합과 같은 연산은 일일히 곱하는 것 이외에 더 간단한 방법으로 구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