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азмер видео: 1280 X 720853 X 480640 X 360
Показать панель управления
Автовоспроизведение
Автоповтор
역시 선생님 제가 몇년전부터 보는데 이해 너무 잘돼용 ㅠㅠ 중간고사를 아주 끝장내겟습니다
제가 아주 끝장 났습니다
@@서현-z4t 선배님 과학시험 팁좀 주세요
진짜 솬쌤님 덕분에 항상 시험잘치고 가요ㅜㅠㅠㅠㅠ 너무 감사합니다ㅜㅠㅠㅜㅜ EBS보는 것 보다 솬쌤님꺼 보는게 훨씬 도움되요;^;
너무 완벽한 강의입니다….. 진짜 설명 귀에 쏙속박히고 진짜 명강의잊니다 사랗ㅇ해요❤
감사합니다.혹시 고밀도의 회전 자기장으로 양성자를 포집할수 있나요?이거 성공하면 반중력 장치가능합니다.왜냐면 포집된 양성자 주위로 음이온이 몰려들거든요.
중간고사가 얼마 안남았는데 많은 도움 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중성자의 질량이 양성자의 질량보다 약간더 크지않나요?? 5:50
정말정말 도움이 됐읍니다. 앞으로도 많이 올려주세요
5:40 양성자 질량이 중성자보다 작은거 아닌가요??
중성자가 더 크다고 알고있는데... 뭐가 맞는걸까요? 공부하는데 혼란이 옵니다.
5:47 여기에 오류 있는 것 같아요!중성자 질량이 양성자 질량보다 쬐끔 더 무거운데 영상에는 반대로에요
진짜요?? 중성자 질량이 쪼금 더 무거워여???
혹시 양성자보다 중성자가 질량이더큰거아닌가요?
주게열성의 압력이 질량 결손E라 봐도 되나요? 그리구 좋은 강의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든 에너지(압력 빛 열 등) 으로 전환되겠죠
성운이 모여서 모인성운이 수축하는건가요?아님 하나의 성운이 수축하는건가요?
엇 선생님 근데 오투에는 중성자의 질량이 양성자의 질량보다 조금 더 크다. 라고 되어있는데, 도대체 뭐가 맞는거죠..? 너무 햇갈려요..
실제 질량은 중성자가 매우 약간 큰게 맞아요. 하지만 '질량수'라는 개념은 '질량수=양성자수+중성자수'로 구해요. 이때는 양성자와 중성자를 똑같이 1로 보는거죠. 그정도로 미세한 차이이기 때문이에요
@@soan_sam둘이 눈에 띄는 큰 질량 차이가 없기 때문에 상관이 없다는 말씀이신가요?ㅠㅠ
제 이해력이 많이 딸려서.. 죄송합니다ㅠㅠ
'중성자 질량이 조금 더 크다.' 가 맞습니다.
많은 별들이 주계열성에 존재하는 이유가 뭐ㅜㄴ가요?
수소가 가장 많아서요
솬쌤 왜 중성자가 질량이 작나요 중성자가 양성자보다 질량이 조금 크기때문에 빅뱅 수십초후에 양성자와 중성자의 비율이 7대1이되었잖아요
질량 비율이 아니라 개수비 입니다
소리가 작아요
제 댓글 왜 삭제 하십니까 ㅠㅠ
역시 선생님 제가 몇년전부터 보는데 이해 너무 잘돼용 ㅠㅠ 중간고사를 아주 끝장내겟습니다
제가 아주 끝장 났습니다
@@서현-z4t 선배님 과학시험 팁좀 주세요
진짜 솬쌤님 덕분에 항상 시험잘치고 가요ㅜㅠㅠㅠㅠ 너무 감사합니다ㅜㅠㅠㅜㅜ EBS보는 것 보다 솬쌤님꺼 보는게 훨씬 도움되요;^;
너무 완벽한 강의입니다….. 진짜 설명 귀에 쏙속박히고 진짜 명강의잊니다 사랗ㅇ해요❤
감사합니다.
혹시 고밀도의 회전 자기장으로 양성자를 포집할수 있나요?
이거 성공하면 반중력 장치가능합니다.
왜냐면 포집된 양성자 주위로 음이온이 몰려들거든요.
중간고사가 얼마 안남았는데 많은 도움 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중성자의 질량이 양성자의 질량보다 약간더 크지않나요?? 5:50
정말정말 도움이 됐읍니다. 앞으로도 많이 올려주세요
5:40 양성자 질량이 중성자보다 작은거 아닌가요??
중성자가 더 크다고 알고있는데... 뭐가 맞는걸까요? 공부하는데 혼란이 옵니다.
5:47 여기에 오류 있는 것 같아요!
중성자 질량이 양성자 질량보다 쬐끔 더 무거운데 영상에는 반대로에요
진짜요?? 중성자 질량이 쪼금 더 무거워여???
혹시 양성자보다 중성자가 질량이더큰거아닌가요?
주게열성의 압력이 질량 결손E라 봐도 되나요? 그리구 좋은 강의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든 에너지(압력 빛 열 등) 으로 전환되겠죠
성운이 모여서 모인성운이 수축하는건가요?
아님 하나의 성운이 수축하는건가요?
엇 선생님 근데 오투에는 중성자의 질량이 양성자의 질량보다 조금 더 크다. 라고 되어있는데, 도대체 뭐가 맞는거죠..? 너무 햇갈려요..
실제 질량은 중성자가 매우 약간 큰게 맞아요. 하지만 '질량수'라는 개념은 '질량수=양성자수+중성자수'로 구해요. 이때는 양성자와 중성자를 똑같이 1로 보는거죠. 그정도로 미세한 차이이기 때문이에요
@@soan_sam둘이 눈에 띄는 큰 질량 차이가 없기 때문에 상관이 없다는 말씀이신가요?ㅠㅠ
제 이해력이 많이 딸려서.. 죄송합니다ㅠㅠ
'중성자 질량이 조금 더 크다.' 가 맞습니다.
많은 별들이 주계열성에 존재하는 이유가 뭐ㅜㄴ가요?
수소가 가장 많아서요
솬쌤 왜 중성자가 질량이 작나요 중성자가 양성자보다 질량이 조금 크기때문에 빅뱅 수십초후에 양성자와 중성자의 비율이 7대1이되었잖아요
질량 비율이 아니라 개수비 입니다
소리가 작아요
제 댓글 왜 삭제 하십니까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