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다온시앤디입니다 따뜻한 댓글 감사드립니다 ☺ 거실에 전구색, 주방에 주백색으로 주등을 구성하시면 말씀해주신대로 나뉘어 보이는 느낌이 들 수 있어요. 주방의 구조에 따라 조금 다른 방법이 있을 것 같은데요. 조리공간이 벽 쪽에 있는 벽면형 주방이라면 주방의 주등을 전구색으로 거실과 톤을 맞춰주시고, 상부장 아래 간접조명을 주백색으로 구성해서 요리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방법을 택할 수도 있구요. 싱크대 간접등 검색하시면 관련 제품들이 많습니다. 아일랜드가 있는 대면형 주방이라면 조리공간인 아일랜드가 거실과 가깝기 때문에 주백색 조명을 달기가 좀 더 고민이 되실 텐데요. 요즘 IoT 기술이 적용돼 휴대폰 앱과 연동해서 조명 색온도와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COB 제품들도 나오고 있거든요. 이런 제품을 사용하셔서 평소엔 통일된 전구색으로 쓰시다가 요리할 때만 주백색으로 전환해 쓰시는 방법도 있을 것 같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다온시앤디입니다 😊 말씀해주신 cob끼리의 간격이 벽 쪽에 붙여서 하나씩 띄우는 cob일까요? 아니면 보통 2개씩 붙여 놓는 cob 사이의 간격을 말씀하시는 걸까요? 5:12 처럼 벽 쪽에 붙이는 cob를 5:17 처럼 벽을 따라 이어 붙일 때, cob 사이의 간격은 최소 800을 추천드립니다. 간격이 너무 좁으면 벽에 비치는 빛 모양이 예쁘지 않기 때문이죠. 5:14 처럼 두 개를 한 쌍으로 붙여서 시공하는 경우라면, 두 개의 cob 사이 간격은 각각의 cob 중심을 기준점으로 120 에서 150 사이로 가장 많이 잡고 있습니다. 설명이 부족했거나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
다온시앤디 인테리어 무료 상담문의 : aback-potential-7f7.notion.site/181b1b71d6d8812983e6cbe1663a048f
다온시앤디 인스타그램 : instagram.com/da.on_project
도움 많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영상 너무너무 잘 봤습니다! 조명 계획하고 있는 중인데 큰 도움이 되었어요! 거실은 따스한 느낌을 좋아해서 전구색, 주방은 요리하는 공간이라 주백색으로 가려고하는데 두 공간의 조명을 같이 켰을때 너무 나뉘어 보인다는 느낌이 들지는 않을까요 ? ㅜ.ㅜ
안녕하세요 다온시앤디입니다
따뜻한 댓글 감사드립니다 ☺
거실에 전구색, 주방에 주백색으로 주등을 구성하시면 말씀해주신대로 나뉘어 보이는 느낌이 들 수 있어요.
주방의 구조에 따라 조금 다른 방법이 있을 것 같은데요.
조리공간이 벽 쪽에 있는 벽면형 주방이라면 주방의 주등을 전구색으로 거실과 톤을 맞춰주시고, 상부장 아래 간접조명을 주백색으로 구성해서 요리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방법을 택할 수도 있구요.
싱크대 간접등 검색하시면 관련 제품들이 많습니다.
아일랜드가 있는 대면형 주방이라면 조리공간인 아일랜드가 거실과 가깝기 때문에 주백색 조명을 달기가 좀 더 고민이 되실 텐데요.
요즘 IoT 기술이 적용돼 휴대폰 앱과 연동해서 조명 색온도와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COB 제품들도 나오고 있거든요.
이런 제품을 사용하셔서 평소엔 통일된 전구색으로 쓰시다가 요리할 때만 주백색으로 전환해 쓰시는 방법도 있을 것 같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
cob 벽과의 간격은 200추천하신다 하셨는데 cob끼리는 얼마정도 띄우시나요?
안녕하세요 다온시앤디입니다 😊
말씀해주신 cob끼리의 간격이 벽 쪽에 붙여서 하나씩 띄우는 cob일까요? 아니면 보통 2개씩 붙여 놓는 cob 사이의 간격을 말씀하시는 걸까요?
5:12 처럼 벽 쪽에 붙이는 cob를 5:17 처럼 벽을 따라 이어 붙일 때, cob 사이의 간격은 최소 800을 추천드립니다. 간격이 너무 좁으면 벽에 비치는 빛 모양이 예쁘지 않기 때문이죠.
5:14 처럼 두 개를 한 쌍으로 붙여서 시공하는 경우라면, 두 개의 cob 사이 간격은 각각의 cob 중심을 기준점으로 120 에서 150 사이로 가장 많이 잡고 있습니다.
설명이 부족했거나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