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азмер видео: 1280 X 720853 X 480640 X 360
Показать панель управления
Автовоспроизведение
Автоповтор
산소와 이산화탄소 기체교환이 정말 큰 역할을 하네요. 단순히 유막제거때문에 기포기를 쓰고 있었는데,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굿굿!
기포기, 브로와는 주변의 공기를 가지고 어항으로 보내주는거라 주변을 항상 깨끗하게 관리하고 필터 청소, 교체를 자주 해주세요
무심코 사용하던 기포기에 대해 상세한 설명 감사해요
역시나 좋은 정보!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산소탱크를 쓰는것도 아닌 걍 공기 불어넣는 장치를 왜 산소기 라고 부르는지 궁금했는데
역으로 생각한다면 조명과 이탄이 켜져있는 동안에는 수면의 일렁거림이 없어야 이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는 뜻일텐데유리출수구로 인한 수면의 일렁거림 정도로도 이탄을 어느정도 잃으려나요?
그 가격에 산소가 발생되면 혁명이 아닐까???그리고 내가 진짜 어렸을때부터 제일 발전이 안되는 용품이 기포기 같다...
질문이 있는데요. 수초어항에 이산화탄소를 켜놨다고 깜빡잊고 다음날 어항을 보니까 어항 속 대부분의 물고기들이 수면 위에서 뻐끔거리고 한 두마리는 바닥에 배를 뒤집으며 가쁘게 아가미 헐떡이며 숨쉬더라고요. 너무 놀라서 기포발생기2개로 콩돌 2개 넣어줬더니 뻐끔거리는게 줄어들었더라구요.그래서 말인데 이탄이랑 기포발생기를 같이 틀어놔도 수조 내 산소를 계속 발생시키고 이탄도 생기니까 수초 생장에 문제가 없을까요?
문제는 없겠지만 이탄의 효율이 떨어질겁니다. 이탄 켜실 때는 타이머를 쓰시던지 수동이라면 미세조절기로 양을 조절해서 관찰해주셔야 합니다. 조명, 기포기, 이탄 모두 양 조절해서 자동화 해주시면 편해요.
이탄중독이 걱정이시면 요새 액체 제품도 영상보니 잘 나오는거 같더라구요. 유튜브에 검색해보셔요!
이탄은 밤에 꺼야함
이탄을 너무많이 트시거나 강도가 센거아녀요?
기포기 영상 보다가 갑자기 궁금한데 스폰지여과기 출수구가 물에 잠기는게 좋은가요 밖에 나와 있는게 좋은가요? 물고기 종류에 따라서 다른건지 궁금하네요... 저는 키티 테트라 키우고 있습니다.^^
출수구의 높이에 따라 물순환 정도의 차이만 있는걸로 아는데 정확히는 잘 모르겠습니다 ^^;;
출수구가 높아야 수면이 출렁이면서 산소가 더 잘 녹아듭니다.안나와도 애들이 잘 크면 상관이 없어요대신 애들이 비실되거나 서서히 죽어가면 낙차를 주시는게 좋아요
수조에 빨대를 꽂고 사람이 빨대에 바람을 불어 수면을 치는 기포를 발생시켜도 같은 원리로 산소가 발생될까요?
그럴꺼라 생각됩니다!
그러면 굳이 기포기 안사고 물결만 많이 치면 기포기는 필요 없는 건가요?
넵!
감사합니다 p(^-^)q
이분 영상 많이 봤는데 좀 자극적이네...
이게 뭐가 자극적인거?
산소와 이산화탄소 기체교환이 정말 큰 역할을 하네요. 단순히 유막제거때문에 기포기를 쓰고 있었는데,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굿굿!
기포기, 브로와는 주변의 공기를 가지고 어항으로 보내주는거라 주변을 항상 깨끗하게 관리하고 필터 청소, 교체를 자주 해주세요
무심코 사용하던 기포기에 대해 상세한 설명 감사해요
역시나 좋은 정보!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산소탱크를 쓰는것도 아닌 걍 공기 불어넣는 장치를 왜 산소기 라고 부르는지 궁금했는데
역으로 생각한다면 조명과 이탄이 켜져있는 동안에는 수면의 일렁거림이 없어야 이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는 뜻일텐데
유리출수구로 인한 수면의 일렁거림 정도로도 이탄을 어느정도 잃으려나요?
그 가격에 산소가 발생되면 혁명이 아닐까???그리고 내가 진짜 어렸을때부터 제일 발전이 안되는 용품이 기포기 같다...
질문이 있는데요. 수초어항에 이산화탄소를 켜놨다고 깜빡잊고 다음날 어항을 보니까 어항 속 대부분의 물고기들이 수면 위에서 뻐끔거리고 한 두마리는 바닥에 배를 뒤집으며 가쁘게 아가미 헐떡이며 숨쉬더라고요. 너무 놀라서 기포발생기2개로 콩돌 2개 넣어줬더니 뻐끔거리는게 줄어들었더라구요.
그래서 말인데 이탄이랑 기포발생기를 같이 틀어놔도 수조 내 산소를 계속 발생시키고 이탄도 생기니까 수초 생장에 문제가 없을까요?
문제는 없겠지만 이탄의 효율이 떨어질겁니다. 이탄 켜실 때는 타이머를 쓰시던지 수동이라면 미세조절기로 양을 조절해서 관찰해주셔야 합니다. 조명, 기포기, 이탄 모두 양 조절해서 자동화 해주시면 편해요.
이탄중독이 걱정이시면 요새 액체 제품도 영상보니 잘 나오는거 같더라구요. 유튜브에 검색해보셔요!
이탄은 밤에 꺼야함
이탄을 너무많이 트시거나 강도가 센거아녀요?
기포기 영상 보다가 갑자기 궁금한데 스폰지여과기 출수구가 물에 잠기는게 좋은가요 밖에 나와 있는게 좋은가요? 물고기 종류에 따라서 다른건지 궁금하네요... 저는 키티 테트라 키우고 있습니다.^^
출수구의 높이에 따라 물순환 정도의 차이만 있는걸로 아는데 정확히는 잘 모르겠습니다 ^^;;
출수구가 높아야 수면이 출렁이면서 산소가 더 잘 녹아듭니다.
안나와도 애들이 잘 크면 상관이 없어요
대신 애들이 비실되거나 서서히 죽어가면 낙차를 주시는게 좋아요
수조에 빨대를 꽂고 사람이 빨대에 바람을 불어 수면을 치는 기포를 발생시켜도 같은 원리로 산소가 발생될까요?
그럴꺼라 생각됩니다!
그러면 굳이 기포기 안사고 물결만 많이 치면 기포기는 필요 없는 건가요?
넵!
감사합니다 p(^-^)q
이분 영상 많이 봤는데 좀 자극적이네...
이게 뭐가 자극적인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