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에 집착하다 벌어진 일, 연금저축과 IRP에 절대 돈 넣어선 안되는 분, 치명적 독소 有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연금저축과 IRP, ISA에 관한 해설 영상입니다. (*고정댓글 필독! 방송에서 미진한 부분을, 한 구독자 분이 상세히 보충해 주셨습니다. )
    #연말정산 #세액공제 #연금저축_IRP_ISA

Комментарии • 902

  • @장부자-l2d
    @장부자-l2d Год назад +178

    여러방송을 봤는데 이게 제일 유익함

  • @skmfbeixb
    @skmfbeixb 3 года назад +138

    퇴직연금의 목적은 퇴직후 연금입니다. 당연히 55세전에 해약할 목적이면 안하는게 맞지요.

  • @prime_nut3504
    @prime_nut3504 3 года назад +48

    급전이 필요하면 연금저축도 대출된다고 하니 활용하세요

  • @NameNo-yc9kg
    @NameNo-yc9kg 2 года назад +47

    1) 연금저축과 IRP와 합치면 좋은 이유 - 저의 경험
    - 퇴직하는 시점에서 IRP는 10년 이상 불입했고, 연금저축은 불입중일 때 IRP로 합치게 되면 저축연금이 만기가 도래하지 않았더라도 연금으로 받을수 있습니다.
    - 저의 경우 연금저축 2개 및 IRP를 가지고 있었는데 만약 합치지 않는다면 연금이 3개가 입출식계좌에 입금되므로 관리에 불편합니다.
    2) 연금저축과 IRP를 합친후 10년 이상 받는게 나쁜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Istp-e3g
      @Istp-e3g Год назад

      뭔소리여 입금 3개 되는게 뭣이 불편한일이라고 ㅋㅋ 그게 불편할정도면 요단강 건너가야지

  • @서강준-t2d
    @서강준-t2d 3 года назад +2

    근데 질문이 있습니다! 혹시 이거 아시는분 있을까요??? ㅠㅠ
    8:42 1000만원 세액공제를 받는다는 부분인데요 1000만원씩이나 세액공제가 필요한 사람도 있나요? 저는 매달 내는 세금이 3만원 안팍이라.. 연금저축,irp를 보면서도 최대납입치를 넣을 필요없다고 생각해서요..!! 소득공제가 아니라 세액공젠가요??

    • @민트초코환자
      @민트초코환자 3 года назад +2

      고정댓글에도 제가 써 놓은 내용인데요, 1000만원 납입인정된 경우 지방세 포함하면 132만원 혹은 165만원 세액공제 받습니다. 세액공제는 산출세액 한도내에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매달 내시는 세금이 3만원 안팍이시라면 연금저축 이나 IRP 대신 ISA에 전액 투자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 @goodgood670
    @goodgood670 3 года назад +26

    아주아주 필요한 정확한 정보에요

  • @피기통판기특이송현선
    @피기통판기특이송현선 Год назад +1

    안녕하십니까 기자님 간단한 질문하나 있습니다
    아직 미혼이고 앞으로 집도 사야있는데 달에 10~20정도씩만 넣어도 의미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첫번째 목적은 세액공제 이고
    두번째는 IRP계좌로 투자하려고 생각중입니다
    새해복많이 받으십셔🎉

  • @goodgood670
    @goodgood67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irp는 집 사고도 현금이 남아돌때 그리고 퇴직 전까지 현금 쓸곳 없을때 시작하시는거에요

  • @최현아-o1e
    @최현아-o1e 3 года назад +71

    큰돈이 필요하면 해지를 하는게 아니라 보험 약관대출을 받으세요. 상황이 달라져 여유 되면 다시 집어넣구요.
    그럼 보험효력 유지가 됩니다.

    • @틱택톡탁-m8r
      @틱택톡탁-m8r 3 года назад +6

      어머니가 요긴하게 잘 이용하시더라고요. 절차도 까다롭지 않고

    • @꼬미냥
      @꼬미냥 2 года назад +2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이승민-n8j
    @이승민-n8j 2 года назад +6

    대학생이고 알바비로 연금저축 시작하려고 하는데요, 종합소득세 신고하면 저도 세금 혜택 받을 수 있나요? 아니면 어차피 소득이 적으니 (년 400정도) 상관없을 일인가요? 현재 24살이고 4학년이라 내년에 취업할 듯 합니다만 먼저 하는게 좋을 지... 고민입니다
    어차피 안하면 통장에 돈을 썩히고 있을 것 같아서요

    • @james-lim775
      @james-lim775 2 года назад +7

      알바비 정도는 cma통장에 넣어서 보관하시다가 직장생활 하시면 연금저축 가입하세요. 연금저축의 가장큰 메리트는 세금 혜택이 있다는 겁니다. 직장다녀야 세금혜택을 온전히 받아요

  • @everydayagoodday7790
    @everydayagoodday7790 2 года назад +201

    퇴직후 은퇴자금을 만들기 위해 연금계좌를 활용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세약공제 보다도 운용기간중 금융소득세 세금 이연과 복리의 효과임.

    • @선숙박-w4x
      @선숙박-w4x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

      근데 운용을 개판으로 해서 수익률이 너무 안 나요. 각자 신경쓰셔야 해요

    • @하겐다즈50년전
      @하겐다즈50년전 4 месяца назад

      @@선숙박-w4x대체 뭘 사셨길래

    • @온빛-f1h
      @온빛-f1h 3 месяца назад +7

      ​@@선숙박-w4x 본인이 운영을 개판으로 해서 나온 결과는 겸허히 받아들여야겠죠.

  • @3sea7
    @3sea7 Год назад +5

    연금저축과 IRP가 너무 장기라서 중장기스러운건 없나 했는데 해답이 여깄네요. 감사합니다

  • @괜찮다화이팅드럼은초
    @괜찮다화이팅드럼은초 4 дня назад

    헷갈리던 내용들ㅡ딱 짚어서 설명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 @pikapikachocho
    @pikapikachocho Месяц назад +11

    연금저축 서민형으로 되어서 16.5% 세액공제 받는 경우에는 연금저축 중간에 해지해도 그렇게 손해는 아닙니다.
    1. 16.5%세액 공제 받은거 다시 그대로 토해낼 뿐입니다. 발상의 전환을 하면 16.5%의 금액을 무이자로 빌렸다가 다시 돌려주는 셈입니다.
    2. 초과 이익에 대해서 16.5% 세금을 떼지만, 주식투자 수익이 연 5000만원 넘으면 어차피 양도 소득세 20%입니다. 실현 수익이 크다면 수익의 16.5%떼는걸 감당하고 해지해도 크게 손해는 아닙니다. 물론 일반 계좌에서 했으면 5000만원 이하 시세 차익 수익은 세금 안 떼였겠지만, 애초에 연금저축펀드하는 목적이 달랐고, 어쩔 수 없이 해지해야하는 것이기에, 어쩔 수 없이 하는 것치고는 패널티가 그렇게 강하지 않다는 얘기를 전하고 싶습니다.
    따라서 중도해지하더라도 일반계좌가 아닌 연금저축 계좌를 이용하는게 낫습니다. ISA가 가장 적합하지만, 연금저축 중도해지가 두려워서 세액공제 혜택을 안 받을 필요가 없다는 얘기죠. 말이 세액공제이지 실제로는 600만원 넣어두고 바로 16.5% 수익이 나는거나 마찬가지입니다. 중도해지를 한다면 내 목돈 600만원에 16.5%의 돈을 무이자로 빌렸다가 쓰고 돌려줄 뿐이라는 거죠.
    다만 연금저축계좌가 서민형이 아닌 일반형은 세액공제가 13.5%이기 때문에, 중도 해지시 16.5%를 토해내서 목돈의 3% 정도가 손해가 납이다. 하지만 투자로 인한 초과이익이 커서 막 30% 50% 수익이라면 3% 손해를 감수하고서라도 중도해지하고 수익실현할 메이트가 있지요.
    요약하면 일단 만들어서 세액공제 혜택 받으시고, 중도해지 않아는게 베스트인데, 중도해지해도 피눈물날 정도의 손해는 아니다. 중도해지가 수익이 커져서 실현하는 거면 낫베드. 목돈이 필요해서 눈물을 머금고 깨야하는 거라면 속을 쪼끔 쓰리겠지만 쏘쏘.

    • @김진현-k7g
      @김진현-k7g Месяц назад

      600넣고 16.5퍼 수익이 난다는 가정은, 연말정산에 600*0.165 = 99만원 이상 뱉는 사람에게만 해당되는 사항 아닌가요?

  • @황정호-b5f
    @황정호-b5f 3 года назад +7

    늘^^ 수고하십니다.

  • @꼭꼭씹어먹자
    @꼭꼭씹어먹자 2 года назад +6

    정리 한번 기똥차게 잘해놨네.. 구독 안 할 수가 없다~ 정말

  • @QLD10000
    @QLD10000 3 года назад +4

    제가 현재 isa계좌에서 투자중인데 만기가되고나서 두달이내에 연금저축이나 irp로 넣으면 10퍼센트 세액공제받고 거기서 isa에서 투자중이던 주식을 그대로 이어서 운영할 수 있나요?

    • @돈마법사
      @돈마법사 3 года назад +1

      ISA세금 정산해야 되므로 그대로 이어서는 할 수 없습니다.
      팔아서 현금으로 만들어 정산 후 연금저축이나 IRP에 넣고 10% 세액공제 받고 ISA에서 투자하던 같은 펀드나 ETF를 매수할 수 있습니다. 개별주식은 안되구요.

    • @QLD10000
      @QLD10000 3 года назад

      @@돈마법사 아...그렇군요 계속이어서 할 수 있다면 평단을 쭈욱 가져갈텐데 아쉽네요 ㅠㅠ

    • @eyeholo1
      @eyeholo1 3 года назад

      @@QLD10000 해지 안 하시고 쭈욱 가져가도 됩니다. 1년에 2000씩 5년 1억까지 불입 가능합니다. 해지 시점에 연금저축 계좌로 3000정도 이전하시면 10% (300만원) 추가 세액공제 됩니다.

  • @naite74
    @naite74 3 года назад +706

    연금저축 해지하면 난리 납니다. 일단 22.2% 세금을 물고요...그다음 해지한 금액 전체가 기타소득으로 해당되서 그해의 종합소득으로 잡혀서 소득세 폭탄이 나옵니다. 여기서 이해가 안되는것은 세제혜택 본거 이미 세금 22.2% 냈는데..해지한 금액이 왜 내 소득인지 이해가 안됩니다.내돈내고 저축한돈이 모두 소득으로 잡히면 누가 저축을 하겠어요...저는 연 1200만원 소득자 인데 10년동안 넣은 연금저축을3400만원을 해지했는데 그해 소득이 4600만원으로 잡혀서 소득세 어마하게 물었네요..정말 이해가 안되는 이상한 세금입니다. 이게 왜 소득인건지..정말 칼만 안들었지 강도나 마찬가지 이네요...

    • @DJ-qh1ds
      @DJ-qh1ds 2 года назад +10

      에구..

    • @나나나-m4q
      @나나나-m4q 2 года назад +14

      22.2%예전에 해야하셨나봐여 2010년도쯤 기타소득세가 그랬는데 종합소득세 과세는 원천징수 영수증 제출 안하셨나봐여 챙기시지

    • @donotinvite
      @donotinvite Год назад +19

      이래 안되면 법원가서 소송하고 설명해달라고 하시면 됩니다 자세하게 설명해줄거에요

    • @제이-g7m
      @제이-g7m Год назад +2

      @@donotinvite ㅋㅋㅋㅋ

    • @RespectBRT1207
      @RespectBRT1207 Год назад +81

      연금저축 해지하면 당연히 그동안 세액공제 받은거 다 토해내는게 당연합니다~ 그리고 이익을 보셨으면 당연히 소득세 내셔야죠~ 세금이 많다고 이상한 소리하지 마시길😅

  • @연금마술사
    @연금마술사 Год назад +3

    모든 연금상품에 장단점이 있습니다. 연금저축, IRP 는 세액공제 받아서 좋지만 연금소득세를 내면서 혜택이 반띵이 됩니다. 이 두 상품은 연금재원 소진하면 계속 나올까요? 나오지 않습니다. 연금재원 모두 써도 계속해서 나오는 상품들 보셔야 합니다.

  • @이브이-o4e
    @이브이-o4e 2 года назад +3

    궁금한게 있습니다!!! 청약저축 연금저축 IRP 총액의 40% 소득공제인가요 별도인가요? 청약저축을 넣고있는데 나머지를 얼만큼 넣어고민중입니다....

  • @woodam71
    @woodam71 3 года назад +198

    연금계좌에 가입하여 매년 세액공제 받은 부분의 재투자 기회를 통한 추가 수익을 만들수 있는, 즉 과세이연 효과를 통해 얻을 수있는 기회비용 부분은 고려되지 않고 단순 세금계산 전제는 조금 모순이 있는듯 합니다.

    • @재원정-w6s
      @재원정-w6s 3 года назад +33

      중도해지시 손해라는것 역시 인플레가 반영되지않았죠. 불입하고 1,2년뒤에 깰것도아니고.
      주택구매시 예외 해지가능하다는 단서도 언급이없네요

    • @Nasdaq-100TR
      @Nasdaq-100TR Год назад +9

      이 댓글 왜 없나 했습니다. 원화가치 하락과 과세이연을 통한 수익 극대화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단순 계산입니다.

    • @jinheelee-jr8hy
      @jinheelee-jr8hy Год назад +2

      그럼 나중에 깨더라도 붓는게 이득이라는거죠?

    • @lms2358
      @lms2358 Год назад +4

      ​​@@jinheelee-jr8hy 뭔 1억씩박는것도 아니고 년 1800한도인데 안할이유가 없지. 그리고 IRP는 못깨지만 연금펀드는 결혼같은 큰 건수면 중도출금도 돠는거로암

    • @JYKUK-b7g
      @JYKUK-b7g Год назад

      ​@@jinheelee-jr8hy
      1년 600만원 세제혜택 받는 연금저축 계좌 하나 만드시고 또 다른 연금계좌 만드시면 세제혜택 안받은 두번째 연금저축은 출금 다해도 세금 부과되지 않습니다

  • @카우네
    @카우네 Год назад +24

    올해 퇴직자 선배님들 연말정산만 생각하고 연금 넣어놨다가 수령하는 방법들을 몰라서 우왕좌왕 하는 모습을
    많이 봤습니다. 퇴직자 들에게 꼭 필요한
    영상인듯

  • @윤이-q7d
    @윤이-q7d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두번씩들음. 금융문맹이 저에겐
    쉽게 귀에쏙쏙

  • @취미생활-m6y
    @취미생활-m6y Год назад +5

    저축이나 예금을 했다가 만기에 원리금을 돌려 받을 때 원금 부분에 대해서는 세금을 안내고 이자수익에 대해서만 세금을 내잖아요.
    그런데,
    연금저축의 경우 내가 납입한 금액에 운용수익을 더한 금액을 만기 이후에 연금으로 돌려받는 구조인데,
    왜 연금저축은 이자 성격의 운용 수입 뿐만 아니라 납입원금을 돌려 받는 부분까지 세금을 부과하는 걸까요?

    • @민숙진-g6v
      @민숙진-g6v Месяц назад

      연말정산시 세제혜택 13.5~16.5%받은 부분에 대해 세금을 내는거 아닌가요?

  • @달리아-z2c
    @달리아-z2c Месяц назад +2

    가려운 곳 긁어주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김은미-u8j9z
    @김은미-u8j9z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요약 대박 ❤ 감사합니다!구독 좋아용

  • @사이다콜라-e2p
    @사이다콜라-e2p 3 года назад +160

    진짜 좋은 내용이네요
    인터넷이나 유튜브 아무리 찾아봐도 IRP랑 연금저축 세제혜택 찬양하는 내용들만 있는데 이게 진짜 팁이네요

    • @kkul-sisters
      @kkul-sisters 2 года назад +3

      그러니까말이에여 몰랏으면 큰일날뻔햇네요

  • @inbaenam9949
    @inbaenam994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자금의 목적이 중요하죠. 의뢰인이야 당연히 중기목적의 자금이니 ISA계좌로 운용하는 것이 맞지만, IRP, 연금저축계좌 2가지는 은퇴이후 유용한 생활자금입니다. 국민연금은 점점 줄어드는데, IRP, 연금저축금액이 퇴직 후 유용합니다. 그리고 한마디 더 하자면 퇴직연금제도 자체를 부정하는 내용이네요. 저럴거면 그냥 퇴직금제도 하지 뭐하러 퇴직연금제도를 할까요? 나무만 보지말고 숲을 보시길 바랍니다.

  • @nonochun1
    @nonochun1 Год назад +2

    매우 정리가 잘 되어서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 @치유회복-g7y
    @치유회복-g7y Год назад +5

    큰도움 되었습니다 알찬정보 언제나 기다려집니다 목소리도 집중력이 매우 잘됩니다 감사합니다

  • @SangyoonPark
    @SangyoonPark 3 года назад +88

    연금저축에 넣어두면 강제 장투하게 되는 이점도 있죠. 만약 중간에 일부 뺀다해서 세액 토해낸다 해도, 장투로 인한 수익으로 보상된다는 생각입니다 ㅎㅎ

    • @goodgood670
      @goodgood67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집 안 사?

    • @이강인18
      @이강인18 7 месяцев назад

      ​@@goodgood670집있겠지

    • @죽쨍챡쨩
      @죽쨍챡쨩 9 дней назад +2

      @@goodgood670집살돈으로 왜
      연금저축을하냐 ㅋㅋㅋㅋ 능지가 ㅋㅋㅋ

  • @워렌존버핏-b8x
    @워렌존버핏-b8x 3 года назад +69

    그냥 irp 연금저축 isa
    세금걱정은 시작부터 하지 마시고
    무조건 시작부터 하세요

  • @mootalhyun2053
    @mootalhyun205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아 편안하다...역시 기자는 다르네요 듣기가 너무나 편안해요

  • @이파리-u9l
    @이파리-u9l 3 года назад +2

    죄송하지만 한가지만 여쭤볼게요..
    세액공제 받은
    개인연금 저축을
    55세부터 ..10년동안이 아니라..
    5년 동안 연금 을 받게 되면..
    세금16.5%가 떨어지는건가요?

  • @kimgh2262
    @kimgh2262 3 года назад +126

    저는 은퇴 2년차인데 연금저축,퇴직연금 등을 IRP와 ISA로 운용하고 있습니다.
    자금의 여유가 있어서 매년 IRP한도안에 인출해서 ISA로 입금하고, 모두 ETF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정말 일목요연하게 정리가 잘되어 있네요.
    감사드립니다.

    • @연금마술사
      @연금마술사 Год назад +2

      멋지십니다. IRP에서 중도인출이 되는지요? 연금재원 소진이 된 이후의 계획도 세워 보시기 바랍니다.

    • @jeaokim5055
      @jeaokim5055 Год назад

      포트폴리오가 궁굼하네요 ㅋ

    • @황응
      @황응 Год назад +2

      Irp 도중인출안됨

    • @리뷰여왕-o6c
      @리뷰여왕-o6c Год назад +1

      중도인출 안할돈은 연금에 나머디는 예금에

    • @리뷰여왕-o6c
      @리뷰여왕-o6c Год назад

      전 세금토하다가 55세 얼마 남지않아 시작했어요.

  • @도리월드
    @도리월드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8:37 1천만원을 세액공제받는다고 했는데 잘못된표현입니다. (세액공제의 대상이되는 금액이라고표현하는게맞을거같습니다) 연금저축과irp로 700만원을 납입해서 그대로 다 돌려받는게아니고. 소득에따라 율이다르므로 700만원에대해서 실제 세액공제받는금액은 1백만원 내외입니다.
    isa납입액을 연금저축전환시 최대3천만원에대해 10%는 대상이되는게 맞습니다.

    • @시마홀릭
      @시마홀릭 Месяц назад

      연저, irp 합 최대 900만원한도로 900만원의 13.2% 혹은 16.5% 세액공제 들어가죠. 과세이연 혜택이 있어서, 중도인출 안하면서 복리로 굴리기엔 정말 좋은거같아요!

  • @dongkyuo9769
    @dongkyuo9769 3 года назад +13

    700만원 이상 넣은돈은 찾으셔도 됩니다. 혜택을 받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J.H-81
    @J.H-81 Год назад +26

    이 영상덕분에 연금,IRP 포기했습니다.
    ISA+일반계좌 운영하는게 저한테 딱이네요
    고맙습니다.

  • @oj2hb5jw6w
    @oj2hb5jw6w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isa, irp에 대한 명쾌한 설명입니다.

  • @책먹는엄마-y1w
    @책먹는엄마-y1w 3 года назад +22

    구체적 예시와 잘 정리된 표가 압권입니다. 이해가 쏙쏙!!

  • @5dion
    @5dion Год назад

    오늘도 좋은 연금답변 감사합니다! 메리크리스마스 복받으세여~

  • @김준기-q3h
    @김준기-q3h Год назад +4

    퇴직연금비교

    ●2021년
    근속30년(납부33년 기준)
    교사 390만원
    군인 350만원
    소방 320만원
    행정공무원 300만원
    경찰 270만원
    ●2019년
    근속30년기준
    교사 370만원
    군인 300만원
    소방 260만원
    행정공무원 250만원
    경찰 240만원
    ●직종별 평균연금수령액 2018년
    정무직 329만8천원
    교육직 295만5천원
    연구직 294만2천원
    군무원 257만9천원
    계약직 250만3천원
    공안직 249만9천원
    지도직 233만7천원
    일반직 230만9천원
    소방 230만7천원
    경찰 221만원
    별정직 209만7천원
    기타 209만4천원
    기능직 161만2천원
    고용직 118만5천원
    평교사는 단일호봉으로
    처음 9호봉 부터 시작하고, 군필자는 12호봉으로 시작합니다.
    근속 30년 하면 40호봉으로 4급(총경)과 같은 대우를 받고
    40호봉 넘으면 근가 10호봉까지 있는데
    공무원 3급(경무관)과 같은 대우를 받습니다.
    경무관 근속 33년 퇴직 하면 연금 390만원 이상 됩니다.
    평교사도 33년 이상 하면 3급과 같은 연금을 받습니다.
    초임교사는 6급대우를 받고 시작합니다.
    교사 1년차 6급(경감) 1호봉 대우
    교사 8년차 6급 9호봉 대우
    교사 18년차 5급(경정) 9호봉 대우
    교사 26년차 4급(총경) 25호​봉 대우​
    교사 33년차 3급(경무관) 23호봉 대우
    교사 36년차 근가7 3급 27호봉(말호봉) 대우​

    교사는 교대를 나와 조기 임용되고
    ​정년이 62세로 길어 36년 이상 근무도 가능 합니다.
    또한 근가 10호봉 까지 포함하면 50호봉까지 있습니다.

    경찰은 공무원중 직급과 호봉 승진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입니다.
    현재 대부분 근속 30년이 넘어도
    경감(6급)에서 퇴직을 합니다.
    경찰이 4급이나 3급으로 퇴직하는 직원들이
    얼마나 있을까요
    교사는 대부분 4급,3급으로 퇴직합니다.
    경찰은 교사와 비교가 되지 않지요
    경찰은
    교사 군인 검,판사 소방등 특정직 공무원중
    위험하고 힘들고 욕먹는등
    하는 일과 역할, 사회적 책임과 의무에 비하여
    직급, 연금, 승진 복지등
    대우와 처우가 열악하고 차별 받습니다.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등 선진국들은
    교사보다 경찰이 더 대우를 받고 있습니다.
    한국만 경찰이 찬밥입니다.
    ​

  • @oj0322
    @oj0322 2 года назад +2

    좋아요 10개 누르고 갑니다. 혼자보기 아까워 딸 봐야해서 링크 공유는 필수네요.

  • @tv-bu4so
    @tv-bu4so Год назад +8

    좋은설명 감사합니다 👏

  • @이재스민
    @이재스민 2 года назад +2

    혹시 연금저축 10납입완료 됐는데
    이거 입금 시기에 외국에 살고 있어서 세액공제를 받지 못 했는데도
    해약을 하려면 세금을 내야 하나요?

  • @송주-t1x
    @송주-t1x 2 года назад +6

    연금저축 고민하고 있었는데 도움 감사합니다!!

  • @지출은습관이다
    @지출은습관이다 3 года назад +13

    쉬운설명 귀에 속속 들어 오네요
    너무 길지 않은 시간도 딱 맘에 들어요~^^

  • @행복한양
    @행복한양 11 дней назад

    우와... ISA 만기 후 전환납입시 세액공제되는 내용은 몰랐는데 덕분에 좋은 정보 배워가네요 감사합니다!!

  • @장진혁-o1f
    @장진혁-o1f 8 месяцев назад +69

    아니 ㅋㅋㅋㅋㅋㅋㅋ 개선사항 적용 다 됨. 이제 분리과세라 연금 아무리 많이 받아도 16.5퍼 이상으로 안나감. 분리과세라 그에 따른 종소세니 건보료니 영향없고. 연금저축은 무조건 이득임. 20대가 집사는데 모으는 돈이 아니라면 직투 비과세 250받고 무조건 연금저축부터 채우고 시작하는거. 대체 무슨 의도로 이 영상을 만들었는지 모르겠음 ㅋㅋㅋ

    • @NeVayne
      @NeVayn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분리과세도맞는데 금융소득1천만원 이상시 공제없이 전체 건보료포함이고,
      2천만원이상시 종소세신고도하게되있는데
      이건 어떻게 보세요?
      연2천이상이면 연금해봐야
      월 200도안되고.
      연1천해봐야 100도안되서요

    • @birdthunder-bk4tf
      @birdthunder-bk4tf 6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제생각이랑 똑같으심. 연 600만원씩 10년 넣어봐야 원금이 6천인데 그걸로 받는 세제혜택 금액이 천만원 가까이 되는데다 그동안 과제이연까지 해주는데 이 영상 대체 뭘 말하고자 하는건지 이해가 안감. 세제혜택 안받은 돈은 안묶이는데

  • @jasonuknow958
    @jasonuknow95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절세계좌 잘 안다고 생각했는게 그게 다가 아니었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동래요인
    @동래요인 2 года назад +3

    기자님 최근 우연찮게 알게되서 구독신청하고 있습니다.
    문의사항이 있어 여쭤보고자 합니다.
    현재 대기업근무하며 나이는58세 7월부터 임금피크로 퇴진연금을 약 3천만원조금넘는금액이DC계좌로 이체 한다고 회사통보와 증권회사 DC계좌개설한 상태입니다.이리저리 인터넷,유튜버 조회하여보니 ISA관찮아셔 DC에서ISA로 전환하면 괜찬은같고, 또한 60세정년퇴직까지 연말정산 해택도받고자합니다. 전환가능한지 아님 괜찬은 생각인지궁금합니다.

  • @마음텃밭-p4l
    @마음텃밭-p4l 3 года назад +18

    정말 가장 궁금했던 내용 요약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김부자-m7p
    @김부자-m7p 3 года назад +4

    오늘도좋은 영상감사합니다 ~~^^

  • @fanapsi986
    @fanapsi98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 정리 완벽하고 설명 완벽합니다~! ❤

  • @안동촌놈-b2z
    @안동촌놈-b2z 3 года назад +4

    와우 굿입니다

  • @atenrose5871
    @atenrose5871 3 года назад +10

    연금저축에는 세가지가 있어요.
    꼭 끝에 펀드여야 노후가 든든합니다.

  • @주필숙-p1t
    @주필숙-p1t 2 года назад +10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shlee8057
    @shlee8057 3 года назад +16

    8:43 에 세액공제에서 700*(16.5% or 13.2%) + 300 만큼만 공제 되는거 아닌가요? 세액공제가 1000만원이나 될리가 없을텐데요.. 대략 400만원쯤 될걸로 보입니다

    • @김마호-f2s
      @김마호-f2s 3 года назад

      (700+300)*.165 세액공제 받을 듯

    • @shlee8057
      @shlee8057 3 года назад +2

      @@김마호-f2s 제가 다시 알아본 바로는 ISA 3000만원을 연금펀드 계좌로 이전하면 300만원 세액 공제 가능합니다.

    • @eyeholo1
      @eyeholo1 3 года назад +2

      @@shlee8057 맞습니다. 그래서 형편되면 ISA 3년마다 새로 가입해서 불입액 중 3000만원씩 연금 계좌로 옮기면 연말정산 소득 공제 혜택 최대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진-x5t
      @진-x5t 2 года назад

      그쵸 천만원 세액공제라 설명하셨는데 연금저축계좌 세액공제 금액은 계산안하고 말씀하시네요

  • @bewabaram
    @bewabaram Год назад

    오ㅏ 꿀정보 감사합니다.

  • @뉴뉴-e6f
    @뉴뉴-e6f Год назад +3

    연금저축 낼돈 만기까지 다넣고 55세 이전에 돈찾앗더니 내가 낸 돈 원금에서16.5프로 세금때고 줌...그래도 해지하고 타게 된 이유는....지금돈의 가치와 20년뒤 55세일때 현금가치가 떨어질거 생각했더니 해지하고 현재 대출상환하는게 이자덜내고 현실적이라 생각함..57세부터 매달 40만원씩 주는 연금저축이라차면 지금은 40만원으로 뭔가를 할수가 있지만 그때는 40만원으로 20년전 40만원으로 하던걸 동일하게 하는건 불가능할거라 생각함...

  • @jamesgrace609
    @jamesgrace609 2 года назад +3

    참 좋은 유투브채널 입니다 감사해요

  • @jenniferjung9970
    @jenniferjung9970 3 года назад +24

    설명이 너무 잘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그램지
    @그램지 3 года назад +6

    설명을 들으니 IRP나 연금저축은 고소득자를 위한 상품 같네요! 저같은 개미들에겐 안맞는듯~~

  • @benlee9825
    @benlee9825 3 года назад +13

    우연히 봤는데 좋은 정보네요

  • @Kmimi89
    @Kmimi89 Год назад +1

    isa만기 후 연금 저축으로 전환하면 추가로 300만원 세액 공제 받는다 하셨는데 세액공제 받지 않은 금액에 대해서는 연금저축에서 인출이 되나여 ??

  • @박연호-l4o
    @박연호-l4o 3 года назад +17

    자세한설명 너무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었습니다.

  • @홍남숙-v9n
    @홍남숙-v9n 2 года назад +2

    현재 58세 직장인인데 irp에 2년째 납입 중입니다. 한도는 나이가 있어서 900만원정도 넣어도 된다고 해서 올해 800만원 넣었습니다. 퇴직시 현 직장 8년정도 근무한 퇴직금이 IRP계좌로 들어가 연금형태로 나눠받을수 있는지요? 현 직장은 2년정도 더 다니려고 합니다.

  • @김동률-o2m
    @김동률-o2m 3 года назад +77

    정말 알차고 좋은 정보네요.
    핵심과 예시 모두 알기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IRP도 열심히 불입하고 쉽게 깨뜨리시는 분들 많은데...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 @연금마술사
      @연금마술사 Год назад +7

      세액공제 혜택에만 몰두해서 큰 돈을 넣다가 중도해지 하는데 소득이 높아서 세액공제를 13.2% 받다가 해지하면서 원리금의 16.5%를 기타소득세로 내는 경우는 더 손해이니 신중하게 판단하셔야 합니다.

  • @에이치-k2i
    @에이치-k2i 8 дней назад

    8:25 ISA에 그럼 연1천씩 3천에 3년뒤 300만원에대한 세액공제인거죠?
    1000만원에 5500이하면 16.5% 300만원에 16.5g 추가 49만5천원 환급인건가요

  • @Lovelyhs89
    @Lovelyhs89 2 года назад +14

    30대인데 10만원 정도만 연금저축에 꾸준히 하고 나머지는 따로 ETF나 저축 하려고 해요ㅎ 젊으신 분들은 작은돈으로 긴시간 투자하는건 나쁘지 않은것 같아요

  • @호주사랑
    @호주사랑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꼼꼼하고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 @uktu4933
    @uktu4933 3 года назад +18

    연금저축 납입기간 5년이라는 것이 5년 꾸준히 넣어야하나요?
    예를들면
    50세에 한번 넣고, 51~54세때는 안넣어도 혜택 받을 수 있나요?

    • @eyeholo1
      @eyeholo1 3 года назад +9

      가입 후 납입 금액은 개인 사정에 따라 달리 입금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안(적게) 넣은 해는 연말정산 세금 혜택 못(적게) 받을 거고, 불입액이 적으니까 연금 받을 때 금액도 적습니다.
      연 700(400+300)까지 못 넣더라도 형편에 맞게 불입하면 안 넣는 거 보단 낫다고 생각합니다.

  • @oododd
    @oododd 7 дней назад +1

    사회초년생 ISA 정보 잘 보고갑니당

  • @티티나-f8u
    @티티나-f8u 3 года назад +14

    어렵지만 흥미롭습니다.
    반복해서 다시 들어야겠어요

  • @닥터울프
    @닥터울프 3 года назад +2

    궁금한게//
    퇴직연금계좌와 개인연금계좌가 다를시 회사퇴직금을 수령하게되면 퇴직금이 소진되기전까지는 개인연금계좌돈은 수령못하나요??
    퇴직금과 개인연금수령을 동시에 할수는 없나요??

    • @6rvr
      @6rvr Год назад

      회사퇴직금과 개인연금계좌는 다른 기관거로하는게 좋습니다. 합치게 되면 퇴직금인출시 개인연금계좌가 같이 해지됩니다

  • @푸른하늘-z9g
    @푸른하늘-z9g Год назад +12

    정말 깔끔하게 잘 설명되어 있고 예시가 있어서 이해가 너무 쉽게 됐어요. 구독과 좋아요 누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 @seong-nami
    @seong-nami Год назад

    꿀팁 감사합니다 😊

  • @toybox12_45
    @toybox12_45 3 года назад +6

    완전 이해됐어요. 감사합니다

  • @antonioKimh
    @antonioKimh 9 дней назад

    2025년기준 오래된 자료다 보니 현재와 다른점들이 있네요. 그래도 일단 10만원이라도 다 가입해서 관심을 갖고 시작해보는게 중요합니다. 하면서 나에게 맞는게 무엇인지 더 고민해서 금액을 늘려나가면 될 것 것입니다. 8:37 세액공제 1000만원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그럼 세금을 하나도 안내겠지요.

  • @won509
    @won509 3 года назад +4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 @pshyun5573
    @pshyun5573 Год назад

    엄청난 정보네요~

  • @사회인-s8e
    @사회인-s8e 2 года назад +3

    감사합니다.

  • @나달-i8o
    @나달-i8o 2 года назад +1

    질문있어서 댓글달아봅니다! 연금저축을 생각중인데 5년이상or55세 이상이어야 불이익이없는건지 55세 이상이어야만 불이익이없는건지 헷갈립니다ㅜㅜ

  • @pjc5105
    @pjc5105 3 года назад +65

    세액공제 혜택이 크고 연복리는 투자 상황에따라 다르고
    연금저축하고 ISA도 하고있습니다
    단점만 부각되는게 아쉽네요

  • @clocr9439
    @clocr9439 Год назад +3

    요즘 연금,irp말 많았는데 좋은소식 듣고갑니다.
    이게 2년전영상이라니!

  • @maengseok
    @maengseok Год назад +40

    세상 살기 참 복잡합니다. 반드시 알아야 하는게 이 정도라는게 ...

  • @hughahn
    @hughahn 3 года назад +7

    잘 들었습니다!

  • @쑥스-h8g
    @쑥스-h8g 3 года назад +11

    제가 궁금해했던 사항을 정확하게 꼼꼼하게 설명해 주는 동영상이예요~~~~ 너무 좋은 내용 입니다~~

  • @허스키-g8q
    @허스키-g8q 3 года назад +33

    맨처음 부터 큰 금액으로 1개의 상품을 드는것 보다 2~3개로 나누어서 납입하거나 추가납입을 이용하면 좋을듯요. 저축보험, 연금보험 같은 경우 추가납입하는 금액에는 보험사 사업비(수수료)가 없거나 기본보험료 보다 저렴한 걸로 알아요.

    • @이효짱-v3m
      @이효짱-v3m 3 года назад +10

      보험사 상품보다는 연금저축펀드가 좋다고 봅니다. 물론 취향차이겠지만요. 저는 몇년 전에 보험사상품 해지하고 펀드로 넘어갔습니다. 패널티 없이요

    • @폴리의카터뷰
      @폴리의카터뷰 3 года назад +4

      무조건 연금저축펀드

  • @goodgood670
    @goodgood67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솔직한 방송 너무 감사합니다

  • @z양영민
    @z양영민 2 года назад +1

    Irp700넣고있으면 연금저축 필요가 없나요? 연금저축펀드를 400넣고 irp700 넣으면 700까지가 적용되는거면
    700 400넣으면 손해인가요? 400 300이 최상인가요?

  • @imhungry.
    @imhungry. 3 года назад +17

    역시 믿고 보는 속고살지마

  • @이연희-q2n
    @이연희-q2n Год назад +1

    정말 좋은정보네요 알림구독신청하고 갑니다😊❤

  • @zaqxcvbnm
    @zaqxcvbnm Год назад +4

    보험회사 연금저축은 하지마세요 15년 가까이 납입했는데 수익 거의 없고 보험회사가 가져가는게 5백만원쯤 됩니다

  • @나유정-k4o
    @나유정-k4o 6 дней назад +1

    8:34
    천만원 모두 세액공제가 되는게 아니라,
    천만원의 몇 %가 세액공제 되는 금액인거죠.

  • @동방박사-y6f
    @동방박사-y6f 3 года назад +22

    깔끔한 정리와 논리... 감사합니다~~

  • @푸우올라
    @푸우올라 3 года назад +6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사회초년생이라 지금부터 돈을 모으려고 하는데 중장기로 보는 돈을 먼저 모으려고 합니다! 연금저축펀드랑 증권사 IRP 계좌도 만들 생각이었는데 당장 여윳돈 부터 없으면 ISA 계좌로 여유있게 돈을 모으고 그 돈으로 연금저축펀드랑 IRP 계좌를 만들어서 하는게 더 좋은 걸까요?

  • @주필숙-p1t
    @주필숙-p1t Год назад +4

    감사합니다.좋은정보^^

  • @황금백수-c4f
    @황금백수-c4f 2 месяца назад

    혹시 연금 년1200이하 수령 중이고 금융소득 2천넘어가면 어떻게 될까요?
    연금 + 금융 합산과세 될까요
    아니면 연금 3.4~5.5% 세금만 내고
    금융소득만 종합과세될까요?

  • @화이자맨
    @화이자맨 Год назад +5

    irp랑 isa는 여유돈으로 조금씩만 넣는게 좋을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