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학개론] 열대 바다 속 사라지는 산호초…10년 뒤 멸종 위기 / YTN 사이언스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 ■ 반기성 / 케이웨더 예보센터장
[앵커]
에메랄드빛 열대 바닷속의 아름다운 산호초는 해양 생물의 주요 서식지로 해양 생태계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존재입니다. 그런데 이 산호초가 기후변화로 해수 온도가 높아지면서 완전히 사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어떤 이야기인지 오늘 날씨학개론에서 알아봅니다. 케이웨더 반기성 예보센터장 나왔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열대 바다 하면 떠오르는 게 바로 산호초인데요. 우선 산호초가 형성되는 원리에 대해 말씀해주시겠어요?
[인터뷰]
네, 간단히 이야기하면 산호의 분비물이 퇴적되어 만들어진 암초가 바로 산호초(珊瑚礁)입니다. 우리는 산호를 바다의 식물로 생각하지만 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산호는 촉수를 가진 매우 작은 동물들이 모인 군체 모습으로, 이 작은 하나하나의 동물 개체를 산호 폴립이라고 하는데요. 폴립에는 말미잘과 같은 구조의 촉수가 있어서 물속을 떠다니는 플랑크톤을 먹고 삽니다. 산호는 광합성을 하는 황록 공생 조류(黃綠共生藻類)와 공생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산호의 화려하고 선명한 색을 볼 수 있습니다.
#열대바다 #산호초 #멸종위기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science.ytn.co...
류학철 만세
낚시 어선 쓰래기들이 가장큰 해양오염이라는데
듣지도않고 이런건 언론에 못내보내는걸로아는데 껄껄
썬블록때문이 아니고?
2:37
산호초는 더운 열대 바다에서 서식하고, 찬 바다에서 죽게되는데
지구온난화로 바다 기온이 상승하면 산호초 군락지가 넓어지게 되어 오히려 산호초들이 더 많아지는 결과를 가져오지는 않을까요?
산호초가 사라지면 뭐 사라지는 것이지
공룡도 사라지고
인간도 언젠가
뭐가 문제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