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쩔 수가 없는게 똑같은 코드 진행으로 만들떄도 있고 여러 곡을 만들다보면 멜로디가 겹칠떄도 있고요.. 책에 쓰여져있는 정의도 이런곡에는 이렇게 쓰였는데 내곡에도 이렇게 쓰였다 라는 그런 것들이 많은지ㄷ라... 표절이 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는거같아요 ...ㅇㅁㅇ.. 하지만 듣는 사람들은 멜로디가 비슷해서 코드가 똑같아서 표절이라고 많이 말하는 경우도 많더라구요..
소위 들어보지 못한 멜로디를 연출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키의 다이아토닉을 제외한 다른 코드를 다른 모드에서 끌어와 멜로디의 경로를 열어줘야 하는데, 애초에 대중들이 인식하는 팝이라는 개념자체가 다이아토닉(또는 고전적인 화성 전개)을 기반으로 나와서, 새로움 이전에 대중성을 챙겨야 하는 작곡가 입장에선 다른 모드에서 코드를 빌려와 이색적 화성을 뽐내는 행위를 막게되고 결국 멜로디가 아닌 사운드에서 승부를 볼 수밖에 없다는 현실을 리스너들이 받아들여야만 한다는 것입니다.
멋있어요^~^!!!화이팅 입니다
제가 어릴때 좋아하던 노래들, 그리고 지금까지도 꾸준히 다양하고 좋은 노래를 만드시는 분. 진짜 대단하신거같아요!!
아이구 너무 재밌고 유익하네요
책 많은 도움 되고 있습니다
오 씥!!!!
저 분이 마마무 대표님 ,, ㅎ
아이고 배야ㅋ
김도훈이 이런 얘기하니까 왜 이렇게 웃기니ㅋㅋ
표절로 유명한 작곡가
어쩔 수가 없는게 똑같은 코드 진행으로 만들떄도 있고 여러 곡을 만들다보면 멜로디가 겹칠떄도 있고요..
책에 쓰여져있는 정의도 이런곡에는 이렇게 쓰였는데 내곡에도 이렇게 쓰였다 라는 그런 것들이 많은지ㄷ라...
표절이 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는거같아요 ...ㅇㅁㅇ..
하지만 듣는 사람들은 멜로디가 비슷해서 코드가 똑같아서 표절이라고 많이 말하는 경우도 많더라구요..
경식쓰 맞아요.... 이분이 만드신 곡중 미발표까지 합치면 천곡이 넘을텐데 표절 논란에 휩싸이지 않기는 힘들죠
소위 들어보지 못한 멜로디를 연출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키의 다이아토닉을
제외한 다른 코드를 다른 모드에서
끌어와 멜로디의 경로를 열어줘야
하는데,
애초에 대중들이 인식하는 팝이라는
개념자체가 다이아토닉(또는
고전적인 화성 전개)을 기반으로
나와서,
새로움 이전에 대중성을 챙겨야 하는
작곡가 입장에선 다른 모드에서
코드를 빌려와 이색적 화성을
뽐내는 행위를 막게되고
결국 멜로디가 아닌 사운드에서
승부를 볼 수밖에 없다는 현실을
리스너들이 받아들여야만
한다는 것입니다.
@@noahseo9516 유난히 자주 표절 얘기가 나오는 사람이 딱 몇 명 정해져 있다는 게 문제지
상습범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