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R 동작 부동작 영역 확인사례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 @박민규-j9u6e
    @박민규-j9u6e Год назад

    1.전압을 180틀어주는이유는 무엇인가요
    2.동작영역의 각도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 @kimseyong114
      @kimseyong114  Год назад

      비접지 계통에서 지락사고시 지락전류는 GPT 중성점으로 들어오므로 정상시 GPT A점(+), N점(-) 상태에서 지락시 GPT A점(-), N점(+) 상태가 되므로 시험을 위해서 정상 연결한 상태에서 위상만 180도 틀어서 지락시 조건으로 맞춰서 시험한다는 의미입니다.
      동작영역(MTA) 각도는 접지 방식에 따라서 상이합니다.
      일반적으로 정상시 부하전류는 전압 기준 약 30도 정도 지상으로 흐르는데 지락시는 충전전류로 인해 90도 정도 진상 전류가 흐르므로 합성 전류의 위상각은 지상 30도 + 진상 90도 이므로 진상 60도 정도가 일반적인 최대 감도각이 됩니다.
      실제 충전전류를 계산해서 MTA를 산정하는데 동영상에 나오는 현장은 충전전류가 별로 없어서 MTA가 -83도 계산되어서 해당 전류의 위상으로 SGR 동작시험을 진행한 사례입니다.

    • @박민규-j9u6e
      @박민규-j9u6e Год назад

      @@kimseyong114 저희는비접지방식으로서 DGR 동작조건은
      1.영상전압이 세팅치보다 높을것
      2.영상전류가 세팅치보다높을것
      3.위상이 동작범위에 들어갈것(기준감도각의+-90)
      위세가지 조건중 1개라도 만족안되면 동작되지 않고 3가지 모두 만독되어야되는걸로 아는데
      얼마전에 3가지 조건을 만족시켰는데 시험시 동작안하고 전류의 위상을 바꾸어보니 동작하는데 왜이런 결과가 나올까요
      V0=80V IO=2A 기준감도각 45도입니다
      보호계전기는 GIPAM이고 CT의 결선은 Y잔류회로 구성되어있습니다

    • @kimseyong114
      @kimseyong114  Год назад +1

      @@박민규-j9u6e 앞에 설명된 답글과 같이 정상시 전압의 위상과 지락시 전압의 위상은 반대로 검출되므로 실제 지락시 발생되는 영상 전압의 위상에 맞춰서 시험전압의 위상을 180도 반대로 입력 해야만 제대로 동작합니다. 보호계전기 시험하시는 분이 정확한 동작 위상 영역에 맞춰 시험했는지 확인이 필요하리라 사료됩니다.
      SGR의 경우 CT를 통해서 영상 전류를 검출하지 않고 ZCT를 이용해서 영상 전류를 검출합니다. V0값이 80V 라면 최대 영상전압 190V의 50% 정도로 설정하신 것으로 사료되며 일반적으로 30%인 57V 정도로 설정합니다. GPT 개수에 따라 영상전압 감도는 떨어지므로 설정값이 적정한지 여부는 보호계전기 정정값 계산업체에 문의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