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elmy3179 지하층 영구보(철골보)가 지하층을 파내려 갈때 토압을 지지 하고 지하층 완료 이후에는 중력하중에 저항 하는 형태라고 보시면 될꺼 같습니다 가설재인 스트럿,띠장을 영구보와 슬래브가 대체 함으로서 여러가지 장점을 얻을수 있습니다 작업공간 확보, 소음, 공기단축(?) 등등...
안녕하세요. 건축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궁금한 사항이 있어서 댓글 남겼습니다! 혹시 탑다운 공법은 기둥식 구조에서만 사용할 수 있나요? SPS 공법을 활용하면 H빔이 남아있을텐데, 그러면 기둥식 구조만 가능한 것인가요? 벽식 구조로 할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아서... 너무 유익하게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건축 토목 처음 접하는데도 설명
특히 그림 넘 이해하기 좋습니다
이게 재능기부 인 것 같습니다
복받으세요^^
지금까지본 탑다운 설명중 최고네요..감사합니다
좋은 나눔 감사합니다. 대표님 더 크게 성공하실 겁니다
감사해요
이것저것 찾아보다가 우연히 방문했습니다. 강의 너무 좋았습니다 ^^ 반갑습니다. 선배님! 08학번 입니다.
토목시공학 공부중인 학부생인데 도움 많이 됬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부터 구독 과 좋아요~~~~^-^
개념을 잘 이해할수 있는 강의였습니다
잘보고 갑니다~^^ 내용이 아주 좋습니다~
직접 펜으로 써가면서 설명해주시니 이해가 빠르네요.감사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그림 설명이 이해하기 참 좋습니다.
비전공자이지만 몇 번씩 보니 이해가 잘 됩니다.감사합니다~
좋은 내용의 강의에 감사드립니다. ❤❤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소중한 강의 자세히 잘 들었습니다.^^
진짜 교과서에 이런걸 언급해야합니다 감사합니다
강의 잘 들었습니다. 첫 회사가 탑다운 공법설계 회사여서 오랜만에 옛날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르네요!! 이해하기 쉽게 그리면서 알려주셔서 26분이 금방 갔네요
탑다운공법이 영구버팀대공법인가요? 같은말인가요?
@@feelmy3179 지하층 영구보(철골보)가 지하층을 파내려 갈때 토압을 지지 하고 지하층 완료 이후에는 중력하중에 저항 하는 형태라고 보시면 될꺼 같습니다 가설재인 스트럿,띠장을 영구보와 슬래브가 대체 함으로서 여러가지 장점을 얻을수 있습니다 작업공간 확보, 소음, 공기단축(?) 등등...
설명 너무좋네요 감사합니다
강의 잘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건설 신입인데 도움되네요 탑다운 cws 사용중이라 ㅋㅋㅋ
감사함니다.!
감사합니다
연암부위 박스 그라우팅 할대 타설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바닥에서 콘크리트를 부어서 아래까지 넣는 건가요?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건축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궁금한 사항이 있어서 댓글 남겼습니다!
혹시 탑다운 공법은 기둥식 구조에서만 사용할 수 있나요?
SPS 공법을 활용하면 H빔이 남아있을텐데, 그러면 기둥식 구조만 가능한 것인가요?
벽식 구조로 할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아서... 너무 유익하게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배성민-q7d지하는 벽식구조 내부에 즉. 벽안에 H형강 기둥을 넣어서 탑다운을 가능하게합니다
@ 그럼 슬러리월 공법으로 할때에도 벽 내부에 H형강을 넣어야 하나요?
혹시 탑다운 공법할때 복합 공법(아파트 처럼 지하층은 플랫 슬래브(기둥식 구조), 지상은 벽식구조)이 적용 가능할까요…?
@배성민-q7d 슬러리월은 지하외벽을 슬러리월로 대체하고 슬러리월은 지하전체를 시공하므로 역타를 할 필요가 없으므로 H형강은 필요없고 각층 레벨에 타이거더와 역을수 있는 철근이나 엥커를 미리선시공하고 지하를 팔때 그부분을 파취해서 H빔 수평보와 엮서서 다운시공합니다ㅡㅡ아파트 주상복합지하라멘조 지상 벽식 다 가능해요ㅡㅡ그럼
굿
해외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공법인가요?
❤
선생님 관련 서적을 사서 좀더 보충하고 싶은데 도서 추천 부탁드립니다^^
@@uio-k8g 잘나와 있는 책이 없고 그냥 공법시공하는 홈페이지 설명을 보면 잘 되어 있습니다
설명 좋고, 그림 좋고, 특히 글자체가 좋네요. 사실 글자체 나쁘면 아무리 설명 잘해도 한 눈에 안 들어옴
출석완료
흙막이가설공사+지하골조공사 동시에...
결국 라멘구조와 같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