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자들이 많이 쓰는 마케팅 용어 정리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 안녕하세요. 마케터 윤익입니다.
팀장님과 대화할 때, 혹은 마케터와 대화할 때, 대표님들끼리 대화할 때.
모르는 마케팅 용어가 나와서 난감하신 경우 없으셨나요?
마케팅 용어는 정말 엄청엄청 많아서 저도 모르는게 많지만
실무자들 사이에서 그나마 자주 사용하는 용어들을 정리해봤어요.
누구든 이해할 수 있게 잘 설명해볼게요.
CAC (Customer Acquisition Cost)
고객 획득 비용, 고객 한명을 얻기 위해 사용한 마케팅 비용입니다.
CLV / LTV (Customer Lifetime Value / Life Time Value)
이 두가지는 차이가 있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던데 저는 똑같다고 봅니다.
고객 생애가치, 고객 한명이 평생 내 제품을 결제하는 총 금액을 말해요.
DAU / MAU
먼저 DAU는 Daily Active User 하루 동안 방문한 고객의 수, 다음 MAU는 Monthly Active User, 한 달 동안 방문한 고객의 수에요.
ROI / ROAS
ROI는 총 투자비용 대비 수익률을 말합니다. 마케팅적 관점보다는 사업적 관점에서 적합한 단어에요.
ROAS는 로아스라고 많이들 하죠? 순수 광고비 대비 수익률을 말합니다. 마케터 입장에서는 ROAS를 사용하는게 맞죠.
사장님 회사에 마케터가 있는데 ROI가 안나온다고 마케터를 갈구시면 안됩니다. ROAS를 보시고 갈굴지 말지 정하세요.
CPC / CPA / CPI / CPV / CPM
각종 CP 어쩌구 들은 모두 Cost Per의 약자입니다. 즉 특정 행동 당 비용을 말합니다.
CPC는 Cost Per "Click" 즉 클릭당 비용을 말해요,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어이기도 하죠.
그다음 CPA는 "Action" 입니다. 좀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에요. 회원가입, 장바구니 담기 등 여러가지 행동에 적용하실 수 있어요.
CPI는 "Install", 설치당 비용입니다.
CPV는 "View" 보여진 횟수당 비용 입니다.
CPM은 "Mile" 1,000회 광고 노출 당 비용입니다.
이 CP 친구들의 특징은 낮을수록 좋다는거에요.
광고를 100만원어치 했는데 클릭이 만개 일어났다면 클릭당 비용(CPC)은 100원이겠죠?
똑같이 100만원어치 광고를 했는데 클릭이 1,000개 일어났다면 CPC는 1,000원이니까 상대적으로 안좋은 광고인거고요.
CTR
클릭률입니다. 노출대비 클릭량을 %로 계산한 지표에요.
랜딩페이지
광고를 클릭 했을 때 나오는 페이지에요. 주로 상세페이지나 회원가입 페이지, 이벤트 페이지가 많아요.
배가 육지에 도착했을 때 선착장에 Landing 하는 것과 같은 의미라고 보시면 돼요.
DT
Duration Time, 즉 체류시간이에요.
DT가 높으면 구매전환율이 높을 수도 있지만
소비자가 홈페이지에서 뭘 눌러야 할지 몰라서 헤메고 있는 시간일 수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전환율 (Conversion Rate)
대부분 전환율을 구매 전환으로만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광고 목표에 따라 다른 의미가 돼요.
광고 목표가 회원가입이었으면 (회원가입)전환율이 되겠죠?
주로 구매, 장바구나, 회원가입, 이벤트참여 등이 있어요.
이탈률 (Bounce Rate)
대표님의 사이트에서 이탈하는 경우를 %로 나타낸 지표에요.
예를들어 상세페이지에서는 이탈률이 낮은데 갑자기 결제하기를 누른 뒤 이탈률이 엄청 증가했다고 가정해볼게요.
이러면 결제하는 방법이 너무 복잡해서 이탈됐다고 예측할 수 있게 되는거죠. 그 부분을 고치시면 됩니다..
이탈률이 어디서 낮아지는지 그래서 체크해야 하는거에요.
구글애널리틱스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스크롤 뎁스 (Scroll Depth)
스크롤을 내리는 형태의 상세페이지에서 소비자가 스크롤을 어디까지 내렸는지 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이걸 알면 상세페이지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있는지 찾을 수 있죠.
페이스북 픽셀을 이용하거나 구글태그매니저에서 보실 수 있어요.
DA (Display Advertising)
포털사이트나 각종 커뮤니티 사이트 등에 나타나는 디스플레이 광고를 말해요.
배너광고 같은거죠. 그 기사볼때 X버튼 코딱지만해서 잘 안눌리는 그런 광고도 DA에요.
SA (Search Advertising)
검색광고입니다. 키워드 검색시 나오는 여러가지 광고들이 다 여기에 해당돼요.
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최적화입니다. 특정 키워드 또는 상호명을 검색했을 때 나타나는 화면에서
얼마나 우리 제품이 잘 노출되고 있는지 정도를 말해요.
RTB (Real Time Bidding)
실시간 광고 입찰 시스템입니다.
네이버 파워링크 광고가 이런 형태인데 한마디로 좋은 키워드 자리를 두고 순위 경매를 하는거에요.
얼마나 아셨고 얼마나 모르셨나요?
용어는 딱히 외우지 않아도 마케팅 하는데 큰 문제는 없지만
그래도 창피한 경우를 피하려면 어느정도는 알고 계시면 좋아요.
용어들을 알다보면 아~ 이런것도 있구나 하고 공부가 되기도 하고요.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 입니다.
다음 영상에서 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