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사투리는 일본 방송국 용어중 산마이 (가성비, 저렴하다 라는 뜻으로 씀), 시마이 아직 많이 쓰는거같아요. 구루마도 많이 쓰는데 서울에는 못알아 듣는 사람이 많도라구요. 확실히 일본어가 부산 사투리로 자리 잡은 단어들이 많네요. 저도 산마이는 일본어인 거 오늘 처음 알았음…
그건 심각한 거짓말이고 왜곡입니다. 거의 모든은 결코 아닙니다. 다만, 근대 이후 학문, 법률 분야 한자어가 그러할 뿐입니다. 한국도 예로부터 한자문화권이기 때문에 한국어에서 한자어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을 뿐입니다. 그런 식으로 따지면, 일본에 문자가 아예 없을 때, 5세기 초 백제 근초고왕 때 왕인 박사가 한자 천자문과 논어를 일본까지 직접 가서 가르쳐주었죠.
일본식 영어 발음이 시원찮아서 나온 말들이네요. 콘트리트, 구리스, 멍키 스페너, 버킷, 밴드, 앵커, 해머, 태커, 패널, 피스, 화이버 등. 엉터리 일본어 발음은 기스, 나라시, 노바시, 빠가, 빠루, 아다리,잇빠이, 함바 등. 젊은 세대가 많은 제조업 공장에서도 일본식 용어는 거의 사라지고 있습니다. 그냥 영어는 영어 발음 그대로 씁니다. 구세대들만 일본식 용어를 쓰죠.
오늘 진짜 유익한 강의네요
도움이 잇빠이 돼요~~
오늘도 흥미 있게 보고 갑니다.
부산 사투리는 일본 방송국 용어중 산마이 (가성비, 저렴하다 라는 뜻으로 씀), 시마이 아직 많이 쓰는거같아요. 구루마도 많이 쓰는데 서울에는 못알아 듣는 사람이 많도라구요. 확실히 일본어가 부산 사투리로 자리 잡은 단어들이 많네요. 저도 산마이는 일본어인 거 오늘 처음 알았음…
아~~일본어콘테츠 찾고
있었는데 너무 좋아요
사유리님~~!!!
많이 알려주세요🎉
サクラの由来、偽客の「その場限りの盛り上がり」を、
桜のように「パッと咲いてパッと散る」様子にかけたからだって d(^^*)
확실히 잘 가르쳐주셔요. 발음 정확히 알려주셔서 몰랐던 부분 배워갑니다 ㅠㅠ 꾸준히해주셨으면 좋겠어요!!
今回は真面目な(?)回ですね!
사쿠라…
에도시대에 카부키나 연극장에서 무료로 보여주는 대신에 소리 내서 극장을 달구는 사람이 있었대요.
그 사람들이 그 순간만 막 확 소리 내고 확 없어지는게 사쿠라 같아서 그렇대요.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사람이 쓰는 문장이라 잘 못 쓰고 있어도 봐 주세요~)
오~ 그런 재밌는 유래가! お~そんな面白い由来が!
@@JamesOjisang7kr 네 그런가 봐요! 사쿠라는 지금시대도 써요~ 예를들면 손님이 없는 가게에서 밥을 먹고 있다가 순식간에 손님이 많아졌을 때 "아~ 우리 사쿠라가 돼버렸네~“ 라고
@@ゆゆらら-o8g 🌸🐸💕
I enjoyed your new vlog tonight
日本人の私も授業に参加したい
사유리 씨 미모에 깜짝 놀라버렸네요.
옛날보다 훨씬 아름다우신 듯.
二枚、仕舞い、バラシは韓国の映画とかドラマでも聞いたことがあります
한자문화권이라 그런것 같네요 쓰메끼리
👍😄
한국에 스며든 일본어! 간지, 야마, 쌈마이..수업 재밌게 들었어요.사유리쨩 화장 안했는데도 눈 부셔요.여학생들도 참하고 착하네요. 그런데 남학생은 왜 앞 머리카락이..먹다 남은 라면처럼 흩어졌어요.정리 좀 해주고 나오지 간지가 흩어져썽요 사유리 선생님 손 번쩍 !
사쿠라 니쿠라고 고기색이 벚꽃색인데. 그거를 소고기로 속여판다해서. 사쿠라가 나쁜의미로 쓰여지게됐다는 얘기가있음
韓国語ちょっと勉強した時があって、その時も驚いたけど、こんなに日本語と日本で使われてる外来語が浸透してるなんて知らなかったよ。
勉強になった
subt indonesia
한국발음으로 읽으시네
사유리님 늘 즐겁구 행복한여인. ~ TV에서보다 유투브는 첨봄니다. 자주애청할께요
유익합니다
あの男性は😅
「ひねる(捻る)」워 言딴쟈無쿠때、
「しめる(締める等)」워 言딴쟈나인데しょうかね?
😮少なくとも わたぐちはそー聞いたし、そんな様なgesture워したと見마시타과😅
ㅋㅋㅋ 사유리 .... 열심히 하네요
사유리상이 한국어와 일본어 발음이 비슷한 한자어들 또 있는지 물어봤는데 왜 다들 한국에서 쓰는 일본어를 이야기하죠? ㅎㅎ 😅😅
3:19 한국에서 누가 양파를 다마네기라고 함?
시네루???
당구장에서 히네루는 들어봤는데 시네루???
난 부산에서 자랐는데 수도권은 일본과 멀어서 그런거?
니마이
여성분들 다 이쁘시네요!~
전 일본 사람인데
0'56 읽는--- 을
사유리쌤은 [이르그는] 라고 말하셨지요. 이거 맞는 읽기에요?
당연히 틀림.
‘읽는’의 발음은 [잉는] 입니다
さゆりさんって韓国語の間違いはめっちゃ多いけれど、でも語彙力があってスムーズで外国語で笑いも取れててほんとにすごい👍
韓国語と似ている単語があって興味深いです。韓国語聞いても何となく意味がわかりました!
日本語字幕が無かったから、何となく分かったけど、やっぱり字幕ある方がいいなぁ〰️😢
'와꾸'는 무슨 뜻입니까?
방송 の発音を「ばんソン」ではなく「パンソン」といった方が韓国語に近いですよ。
ㅂ ㄷ ㄱ などの音が単語の初音に来たときは 濁らずに清音で発音しますから気をつけましょう。「軍隊」は韓国語発音では「クンデ」なのに日本語の発音に引きずられて「ぐんデ」と言う人がいますね、単語の初めの音は同じ文字でも発音上は濁らずに発音します。
3:07 중국 : 씨익
마세이는 프랑스어입니다
발음이랑억양 딕션이중요하지
외래어. ㅎㅎ
아이스티 PPL인가요 ㅋㅋ
사유리는 나이를 먹지 않는다
진짜로 일어학원을 차려요 다니게 ㅋ
구라는 조선시대이전에도 쓰이던 한자어라 아는데
放送業界の専門用語は一般の日本人でもわからない言葉が多いですね。この生徒たちはその業界の方なのでしょうか?そうでないなら、別に覚える必要が無いのでは?と思いました。
한국인이 사용하고 있는 거의 모든 단어들이 일본인이 만든 말이다.
거의 모든 단어들이.
정말 궁금해서 그런데 예시나 출처 알수있을까요?
근데 그말들을 한일에서만 쓰는게 아니라 한자문화권 전체로 퍼져서 쓰고 있음.
경제, 재벌 이런것도 일본이 만든 한자
일본의 식민통치가 낳은 결과죠. 영어가 세계 공용어가 된 계기가 영국의 식민통치가 낳은 결과인 것처럼 말이죠.
그건 심각한 거짓말이고 왜곡입니다. 거의 모든은 결코 아닙니다. 다만, 근대 이후 학문, 법률 분야 한자어가 그러할 뿐입니다.
한국도 예로부터 한자문화권이기 때문에 한국어에서 한자어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을 뿐입니다.
그런 식으로 따지면, 일본에 문자가 아예 없을 때, 5세기 초 백제 근초고왕 때 왕인 박사가 한자 천자문과 논어를 일본까지 직접 가서 가르쳐주었죠.
공사장 용어 특집도 해주세요. 공구리, 구리스, 기스, 나라시, 노바시, 몽키, 바께쓰, 띠반도, 뻑(빠가)나다, 빠루, 아다리, 앙카, 오함마, 잇빠이, 타카못, 판네루, 피스, 하이바, 함바식당 등등등 무지 많은듯 ㅎㅎ
사유리가 공사장용어를 알까요...
일본식 영어 발음이 시원찮아서 나온 말들이네요. 콘트리트, 구리스, 멍키 스페너, 버킷, 밴드, 앵커, 해머, 태커, 패널, 피스, 화이버 등. 엉터리 일본어 발음은 기스, 나라시, 노바시, 빠가, 빠루, 아다리,잇빠이, 함바 등.
젊은 세대가 많은 제조업 공장에서도 일본식 용어는 거의 사라지고 있습니다. 그냥 영어는 영어 발음 그대로 씁니다. 구세대들만 일본식 용어를 쓰죠.
현재 한국에서 사용하는 한자어 80%가 일본식 한자어입니다.
같은 나라로 36년동안 있었으니 뭐
일본말은
한국어의 사투리일뿐.
제주도말보다 쉽다
사유리씨 일본인 아닌거 같은데? 발음이 ~ 한국 사람이죠? 솔직히 컨셉으로 일본인척 하는거 다 알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