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닝 (0:00) Q. 진실, 거짓 판단법: 진술분석 (01:38) Q. 명백한 물리한 증거가 없는 경우 (02:52) Q. 기억의 특징 (05:10) Q. 말의 오류가 생기는 이유 (06:24) Q. 진술자가 사실과 다른 진술을 했을 때 (09:05) Q. 진술 분석의 재료 (12:15) Q. 면담 시 가장 주의해야 할 것 (14:40) 더 많은 어쩌다어른D는👉 bit.ly/3057t6g
제가 조울증약도 먹고 술에 취해 잠이 들었을때 저의 옷을 벗기고 강간했던 아는 지인을 바로 경찰신고했고 바로 경찰서에서 조서작성했고 해바라기센터가서 DNA도 채취하고 변호사 선임해서 소장접수도 했습니다. 전 제가 최대한 기억하는 것과 상황 모든 걸 말했다고 생각했는데 그 사람은 결국 증거불충분으로 무혐의를 받았습니다. 항소는 할 수 있었지만 돈이 없었고 가족이 너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고 제 주변에 소문을 내고 다니는 그 사람때문에 제가 더 숨어들어갔습니다. 사건 발생 후 2년째인데 아직도 억울하고 분이 안풀려요.
제 생각엔 사건 관련하여 자세히 오픈하지 않은 건 진술분석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너무 자세히 알려지면 가해자들이 이를 이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인 거 같아요~ 여자아아이의 퇴행적 행동, 자세한 성적묘사 이런 게 진술의 신빙성을 높여서 B씨의 범행으로 결론 났을 거 같긴 하네요.
@@clairep5209 그렇게 따지면 부모가 아이를 3시간 동안 압박한 것이 오류의 요소가 될 수 있음. 알고보니 B씨의 당시 인상착의가 가해자와 동일한 인상착의 였다거나 등.... 영상엔 용의자 진술 내용도, 2차 진술 내용도, 사건 현장 내용도 전혀 없음. 2차가해를 우려한 건지 핵심 부분을 빼고 두루뭉실하게 예시를 든 것 같음. 교수님 말씀처럼 타당하고 합리적으로 해석하기엔 정보가 부족함...
👩철수와 영희의 소중한 시간을 위해👱
오프닝 (0:00)
Q. 진실, 거짓 판단법: 진술분석 (01:38)
Q. 명백한 물리한 증거가 없는 경우 (02:52)
Q. 기억의 특징 (05:10)
Q. 말의 오류가 생기는 이유 (06:24)
Q. 진술자가 사실과 다른 진술을 했을 때 (09:05)
Q. 진술 분석의 재료 (12:15)
Q. 면담 시 가장 주의해야 할 것 (14:40)
더 많은 어쩌다어른D는👉 bit.ly/3057t6g
어쩌다 철수
차분하고 정확한 내용 전달... 빠져드는 영상입니다
와.. 심리학을 넘어 분석을 하려면 정말 무수히많은 경우의수를 두어야하는군요... 섣부른판단도 하지말고 사적인 생각도 섞지말고 얻어진결과는 어디까지나 참고...
선생님 자주 나와주십시오
면담을 저렇게해야하는데 경찰이 어떤 사건 묻어갈려고 죄없는 사람 시간마다 불러내서 원하는 대답 나올때까지 계속해서 면담 했단거 유튜브에서 봄
영화 살인의 추억이 생각나네요...
감사합니다
제가 조울증약도 먹고 술에 취해 잠이 들었을때 저의 옷을 벗기고 강간했던 아는 지인을 바로 경찰신고했고 바로 경찰서에서 조서작성했고 해바라기센터가서 DNA도 채취하고 변호사 선임해서 소장접수도 했습니다. 전 제가 최대한 기억하는 것과 상황 모든 걸 말했다고 생각했는데 그 사람은 결국 증거불충분으로 무혐의를 받았습니다. 항소는 할 수 있었지만 돈이 없었고 가족이 너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고 제 주변에 소문을 내고 다니는 그 사람때문에 제가 더 숨어들어갔습니다. 사건 발생 후 2년째인데 아직도 억울하고 분이 안풀려요.
Dna나왔나요??왜증거불충분됫나요??ㅜㅜ
마음의 상처가 아물기를 , 하루빨리 회복되시기를 바랍니다
그래서 심리학자들이 많은 공부를 하고 많은 임상경험을 가져야 하는 거네요
그래서 제목이 이렇군요 기억이 왜곡되어
사람 마음 읽는 일이 제일 힘든 일이다
뭐죠? 프롤로그에서 던진 아이 사건의 결론이 뭔데요? 가장 중요한 게 없네요... 기승전결이 없는 강의군요 ㅜㅜ
제 생각엔 사건 관련하여 자세히 오픈하지 않은 건 진술분석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너무 자세히 알려지면 가해자들이 이를 이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인 거 같아요~ 여자아아이의 퇴행적 행동, 자세한 성적묘사 이런 게 진술의 신빙성을 높여서 B씨의 범행으로 결론 났을 거 같긴 하네요.
저도 이렇기답닺하개할거면 그냥허지말지.궁금하죽겟어요 ㅋㅋㅋㅋㅋㅋ
@@clairep5209 그렇게 따지면 부모가 아이를 3시간 동안 압박한 것이 오류의 요소가 될 수 있음.
알고보니 B씨의 당시 인상착의가 가해자와 동일한 인상착의 였다거나 등....
영상엔 용의자 진술 내용도, 2차 진술 내용도, 사건 현장 내용도 전혀 없음. 2차가해를 우려한 건지 핵심 부분을 빼고 두루뭉실하게 예시를 든 것 같음.
교수님 말씀처럼 타당하고 합리적으로 해석하기엔 정보가 부족함...
@@clairep5209 다른건 모르겠고 아이가 퇴행적 행동을 했을 때 꾸짓는 건 아이의 심리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건
상식이라 그로 인해 거짓말을 할수 있고 부모가 진술을 압박한 정황을 보았을 때도 아이의 진술이 오염됐을 가능성도 많네요
한국은 무고범죄가 심함...
한국이 무고 위증 사기 범죄가 세계 1위라고 했던가...
그런데 심리학자가 저런 진술서를 거짓으로 쓴다면 다른 심리학자가 파악을 할 수 있을까요? 심리학자는 자신의 진술의 오류를 파악할수있다 생각되는데
사이비 교주의 본인의 체험 설교 속에서도 거짓을 판별할수 있을까요?
경찰들에게 전하세요
예시가 너무 적고 추상적임..
아동들이 거짓 진술을 할 확률은 드물다 아동이 하는 진술은 거의 99.9% 정확하다
진술이 오염되면 진술로서 가치가 없음.
아동들은 질문자의 질문 뉘앙스에 따라 진술이 바뀔 가능성이 큼.
무슨 소리하냐 ㅋㅋ 아동일수록 부모가 추궁하는대로 기억이 왜곡됨
그래서 심심치 않게 법원에서 무죄 나옴
부모 : 저 사람이 그랬어?
아동 : 응
"응" 하는 순간 지목된 사람이 범죄자 됨
나중에 그 아동은 다른 소리 함
아무리 진술에 진실성이있다고 하더라도 물리적인 증거없이 유죄를 선고하는건 사법시스템 불신으로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