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보면 잘못된 높임 표현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주체 높임 중 간접 높임의 대상은 보통 대상의 신체 일부나 신체에 가까이 부착된 물건, 그 사람을 대표할 만한 소유물, 재산 등에 한정합니다. 예를 들어
    '할머니께서 흰머리가 있으시다.'
    처럼 흰머리가 할머니의 신체 일부인 경우, '있다'의 주어는 '흰머리'이지만,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시-'를 통해서 간접 높임을 실현합니다.
    하지만
    '고객님, 커피 나오셨습니다.'
    의 경우, 커피를 고객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간접 높임의 대상으로 보지 않습니다. 화자의 입장에서 커피가 고객님의 소유물로 인식되는 상황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선어말 어미 '-시-'를 쓰지 않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국립국어원 누리집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오늘도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Комментарии • 103

  • @글담국어
    @글담국어  6 дней назад +15

    주체 높임 중 간접 높임의 대상은 보통 대상의 신체 일부나 신체에 가까이 부착된 물건, 그 사람을 대표할 만한 소유물, 재산 등에 한정합니다. 예를 들어
    '할머니께서 흰머리가 있으시다.'
    처럼 흰머리가 할머니의 신체 일부인 경우, '있다'의 주어는 '흰머리'이지만,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시-'를 통해서 간접 높임을 실현합니다.
    하지만
    '고객님, 커피 나오셨습니다.'
    의 경우, 커피를 고객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간접 높임의 대상으로 보지 않습니다. 화자의 입장에서 커피가 고객님의 소유물로 인식되는 상황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선어말 어미 '-시-'를 쓰지 않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국립국어원 누리집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오늘도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해바라기-q9s
    @해바라기-q9s 6 дней назад +60

    제일 듣기 싫은 어투였음.
    사물을 존대하는 매장직원들 -

  • @박은자-z1i
    @박은자-z1i 6 дней назад +41

    물건에 존댓말을 하는 경우를 자주 접해서 듣기 거북했는데..정말 시원합니다~~^^

    • @jongwoochoi8010
      @jongwoochoi8010 6 дней назад +3

      대형 프랜차이즈 회사는 직원들한테 이런 교육은 의무적으로 시켜야 합니다.

    • @JAN_BEER
      @JAN_BEER День назад

      저도 너무 불편합니다.
      더블어 "~하실께요" 이말도 불편해요.
      헬스,필라테스,골프등 교습받을때 말끝마다 많은 존칭사용도 너무 듣기 싫어요.

  • @수경이-k7p
    @수경이-k7p 5 дней назад +4

    이게 문법적으로 맞지만 일부 고객 중에서 사물 존대를 안하면 반말한다고 착각하는 사람도 많아서 사회적으로 잘못된 문법이 널리 퍼진 것 같네요..
    그냥 서비스직 뿐만 아니라 일부 고객들도 제대로된 문법을 인지했으면 좋겠네여

  • @Park-be8wq
    @Park-be8wq 6 дней назад +18

    외국인보다 한국말 못 하는 한국인이 참 많습니다🔥🔥🔥🔥🔥🔥

  • @네네호구
    @네네호구 6 дней назад +7

    높임말을 하긴 해야겠고 그런데 어떻게 하는지는 배운 게 없고... 그냥 시 나 하옵이라는 뇌피셜로 붙여 말하니 저런 말투가 나왔죠.. 거기에 손님이 뭐라 하면 상대방은 또 삐지 거나 기분 나빠하니 그냥 지나치게 되고 고쳐지지 않게 되었죠
    또한 듣는 사람이 사장인데 말을 할 대상은 전무라면 당연히 평대말을 하여야 하는데 높임말을 하는 경우도 종종있죠 듣는 사장은 그냥 끙하며 속으로 삭힐 뿐...

  • @toleeeyj
    @toleeeyj 6 дней назад +6

    요즘 이런 경우 너무 많아요. 편의점 병원 각종 판매업소에서 너무나 흔하게 사용합니다. 5천원이세요, ㅋ ㅋ

  • @louisdeconte
    @louisdeconte 6 дней назад +5

    전 국민이 이 채널을 구독해야 해요.

  • @드록바-y7b
    @드록바-y7b 6 дней назад +4

    글담국어 댓글 쓴 분들 띄어쓰기나 맞춤법이 다른 곳 댓글보다 훨씬 안 틀리고 잘 쓰시는 듯

  • @독사-w7l
    @독사-w7l 3 дня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qwe879
    @qwe879 4 дня назад +2

    이거 어느 순간 MZ 유행 알고리즘 타면서 이런 말투가 유행 했던거 같은데..

  • @조근세-s9r
    @조근세-s9r 2 дня назад

    글담국샘❤❤❤❤❤

  • @greenpark5769
    @greenpark5769 6 дней назад +5

    요즘 직원들이 다 이렇게 얘기하던데
    언제부터 이렇게 썼는지 참 이상합니다.

  • @세갑장
    @세갑장 6 дней назад +5

    대접 받고 싶은 모자란 사람들 한테 속으로는 '대접해주니까 좋아?' 이러면서 겉으로는 귀에 사탕발림하는건데, 개돼지 취급을 본인들은 모르겠지.
    알면 기분 나빠서 라도 그러지 말라고 하는게 정상이지.
    "이쪽으로 오실게요."
    "만원 이십니다."
    이렇게 시키는 관리자가 제일 나쁜놈!
    당연하게 받아들이지 말라고 좀!

    • @임선녀-w1y
      @임선녀-w1y 6 дней назад +2

      @@세갑장 공감합니다,심지어는 채혈 후 피가 나오시니까~도 들은 적 있답니다

  • @김현수-t3w
    @김현수-t3w 6 дней назад +6

    선생님 가르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

  • @다이소전기모기채
    @다이소전기모기채 5 дней назад +1

    좋은 강의 공유해주시고 선생님 이뻐서 떡상한 채널~

  • @통통-m1k
    @통통-m1k 2 дня назад

    감사합니당

  • @이정원-n7v
    @이정원-n7v 6 дней назад +4

    고객을 높이기 싫어하는거 딱 걸림. 개돼지님 커피가 나오셨습니다.ㅋㅋㅋ

  • @아이린불휘
    @아이린불휘 6 дней назад +2

    선생님 오늘 옷이 이쁘십니다! 이것도 틀렸네요?

    • @글담국어
      @글담국어  5 дней назад +1

      옷은 명확한 소유물이 맞아서 가능합니다.
      다만 그러한 간접 높임이 필수적인 표현은 아니어서 상황이나 맥락, 의도에 맞게 판단하여 쓰시면 됩니다 :)

  • @radish9017
    @radish9017 6 дней назад +3

    요즘은 사물에도 높임말을..(말하는게 엉망)
    아무리 AI시대라 하지만..
    조만간에 커피님 나오셨습니다 할 듯..
    하고 있나 ? ㅎㅎㅎ

  • @misstake1204
    @misstake1204 6 дней назад +4

    미용실 등에서, 손님 000 하실께요.. 이런 표현

  • @einwinter751
    @einwinter751 6 дней назад +6

    서비스 업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지요.

    • @러브개구리-v1m
      @러브개구리-v1m 6 дней назад +1

      어디서 쓰던간에 잘못됐다는거예요...물건이나 제품에 주체를 높인다는거 자체가 상식적으로 말이 되지 않는다는거죠...

  • @손수현-x1v
    @손수현-x1v 6 дней назад +5

    글담 선생님 감사 그렇게 너무들 많이 사용하고 있어서 바르게 사용하는 사람이 틀리게 보일 정도입니다.

    • @ouy5128
      @ouy5128 6 дней назад

      틀리게X 다르게O

    • @LeeJH1118
      @LeeJH1118 6 дней назад +3

      ​@@ouy5128 이 분 말씀에선 틀리게가 맞습니다.

  • @siloesal1
    @siloesal1 5 дней назад +1

    "올해도 건강한 한해가 되시길 빕니다"도 틀린 문장이군요. "되길 빕니다"로 쓰는 것이 맞는 거지요?

  • @김창근-z6z
    @김창근-z6z 6 дней назад +2

    원장님 구독 좋아요 누르고 갑니다.

    • @글담국어
      @글담국어  6 дней назад +1

      어서오세요 환영합니다🤗

  • @user-ng5hs1bh7c
    @user-ng5hs1bh7c 6 дней назад +4

    이건 정말 무식하다 무슨 커피가 나오시냐인지 커피가 사람이냐! 어떨때에는 초등학교에서는 도대체 뭘배우는지 궁금하다니까요.

  • @jameslee8981
    @jameslee8981 6 дней назад +3

    방송이 가장 큰 문제

  • @borikkori545
    @borikkori545 2 дня назад

    커피님 나오셨습니다아

  • @mattsassari2882
    @mattsassari2882 3 дня назад +1

    모카빵님 고객 나왔습니다 ❤

  • @FourQuadra
    @FourQuadra 6 дней назад +3

    핸드폰 가게 가서 기기변경이나 하려고 하면
    "이렇게 하시면 요금이 이렇게 나오세요~"

  • @임선녀-w1y
    @임선녀-w1y 6 дней назад +4

    정말 많이 잘못 된 "시"를 쓰더군요,웃음이 나오기도 하고 거슬립니다

  • @FourQuadra
    @FourQuadra 6 дней назад +5

    돈 몇 푼에 서비스 직에 갑질하기 좋아하는 고객들 때문에
    서비스 업에서부터 말투가 저렇게 하찮아진 것.
    그리고 그걸 부풀게 한 게 개콘의 코너였지.
    "~하고 가실게요~!"

  • @기만김-s1w
    @기만김-s1w 6 дней назад

    항상 감사합니다

  • @하조일
    @하조일 6 дней назад +2

    아!! 일상에서 생각없이 쓰고 듣고 있었네요 선생님 문법 참 쏙쏙 재미있네요 선생님 참 예쁘세요**

    • @글담국어
      @글담국어  6 дней назад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하고 칭찬의 말씀도 감사합니다🤗✨️

  • @박종현-c1e
    @박종현-c1e 2 дня назад

    셈잘들었 습니다요즘 높입말을잘못흐는사람들종종들었습니다
    바르게가르쳐주셔서감사합니다!😊😊😊

  • @공정거래-p7c
    @공정거래-p7c 5 дней назад +1

    초등학교를 실업계로 나와서 그렇습니다.

  • @박정연-b5d7w
    @박정연-b5d7w 5 дней назад +1

    정말 싫어요. 이런표현.
    아무데나 존대. 사물에도 존대.

  • @나는나비-p1g
    @나는나비-p1g 6 дней назад +2

    무식한 사람들이 너무 많아
    잘못된 표현이 고쳐지지 않는 대표적인 사례

  • @석환임-y9q
    @석환임-y9q 5 дней назад +1

    선생님은 예쁘시면서 언변도 반할만. 하네요 ᆢ열공🎉

  • @한상협-v2x
    @한상협-v2x День назад

    서비스업에 종사하시는 분들께 교육 시킨
    무조건 뒷부분에 높임말 쓰는 어법이 문제 같네요

  • @정미숙-i8c
    @정미숙-i8c 5 дней назад +1

    장모님께서 전호ㅏ 오셨어. 이렇게 말할때넘 이상하든데 티비도 전화오셨어.

  • @CamvanKyungho
    @CamvanKyungho 6 дней назад +4

    언제부턴가 갑자기 저런 식으로 말하기 시작했음 이유는 모르겠고 지금도 들으면 어처구니가 없음
    또 인사할 때
    (태국인가!! 처럼~) 양 손바닥을 맞대어 부처님처럼 하고 인사를 하는데 이것도 왜 언제 시작됐는지... 참 기가 막힘... 전에는 얼굴만 수그렸는데.... 손은 왜?
    '
    '
    위 글자들 많이 틀렸겠지만~ 그냥 넘어가주세요 ㅎ;;

  • @박대박-q3t
    @박대박-q3t 6 дней назад

    잘듣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 @you-kv9vq
    @you-kv9vq 6 дней назад

    감사합니다 ❤

  • @권영희-t1k
    @권영희-t1k 6 дней назад +2

    요즘은 저렇게 해야 높이는줄 알고 쓰는데 너무 거북해요
    방송이 우리 나라말을 이상하게 만들어요

  • @Wfafsjflvlhvdj-v2p
    @Wfafsjflvlhvdj-v2p 6 дней назад +3

    사물존칭 쓰는 사람들 보면 ...

  • @미카리-u7z
    @미카리-u7z 6 дней назад +1

    세상에~~저렇게 말하는 인간이 있다니~~

  • @ik964
    @ik964 6 дней назад +6

    평서문으로 말하면 낮은 자존감 자격지심 가득한 애들이 기분나빠하니 그렇겠지.

  • @유광-x5q
    @유광-x5q 6 дней назад

    💕👍💕

  • @리만슈르
    @리만슈르 2 дня назад

    아 ..역시 시원한 우리말 사랑지킴이쌤 감사합니다

  • @jungsiklee6417
    @jungsiklee6417 6 дней назад

    당연하지

  • @siloesal1
    @siloesal1 6 дней назад +2

    다른 질문인데요.
    시화연풍(時和年豊).
    검색하면 모두 연풍이라고 나와요.
    왜 년풍이 아닌가요?
    사상누각(沙上樓閣)도 같은 문제네요. 왜 사상루각이 아닌지요?
    화양연화(花樣年華)도 같은 문제.
    그럼 정지상의 시 送人의 別淚年年添綠波는 별누연연첨녹파로 읽어야 맞나요?

    • @단한번의사랑-u1b
      @단한번의사랑-u1b 6 дней назад +1

      두음법칙 때문입니다. 두음법칙은 인터넷 검색해보면 됩니다.

    • @템푸스-n2o
      @템푸스-n2o 6 дней назад +1

      자음동화때문 같은데요 年年生 연년생도 년년생 으로 발음하지 않죠

    • @단한번의사랑-u1b
      @단한번의사랑-u1b 6 дней назад +1

      @@템푸스-n2o 두음법칙이 맞는 것 같은데요. 자음동화는 음절의 끝에 있는 자음이 뒤에 오는 음절의 자음의 영향으로 발음될 때 서로 닮거나 비슷한 발음으로 나는 현상. 신라 --> 실라, ㄴ--> ㄹ 음절 끝 자음 ㄴ이 다음 음절 ㄹ의 영향으로 ㄹ로 바뀜 현상. 이런 현상을 자음동화 또는 자음접변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두음법칙은 년풍 --> 연풍의 첫음절 자음 ㄴ--> ㅇ으로바뀌었는데 이는 첫음절에 ㄴ 또는 ㄹ이 오는 경우 ㅣ ㅕ ㅛ ㅠ ㅗ 등의 모음 앞에서 ㅇ 또는 ㄴ으로 바뀌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백발로인 --> 백발노인으로 적는 경우 등이 그 예입니다. 즉 첫음절의 자음 ㄴ ㄹ이 ㅣㅗ ㅕㅠ ㅛ 등의 모음 앞에서 ㅇ 이나 ㄴ으로 바뀌는 현상을 두음법칙이라고 합니다.

    • @단한번의사랑-u1b
      @단한번의사랑-u1b 6 дней назад +1

      @@템푸스-n2o 이런 걸 두음법칙이라고 합니다. 음절의 첫자음 ㄴ이 모음 ㅕ 앞에서 ㅇ으로 바뀜 현상이므르 두음법칙입니다. 자음동화 자음접변은 음절의 끝소리가 다음 음절의 첫소리의 영향으로 서로 닮거나 비슷하게 발음될 때 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신라의 첫음절 신의 끝 자음 ㄴ이 다음 음절 라의 ㄹ을 닮아 신라로 적고 실라로 발음 됨. 약물의 첫음절의 약의 끝소리 ㄱ이 다음 음절 물의 ㅁ의 영향으로 약물로 적고 양물로 발음되는 현상 등 이런 경우를 자음동화자음접변이라고 합니다.

    • @siloesal1
      @siloesal1 6 дней назад +1

      @@단한번의사랑-u1b 두음법칙 아닙니다. 시화연풍의 년은 세번째 음절이지요. 두음법칙은 단어의 첫 음절에서 일어납니다. 녀자-> 여자. 로인->노인. 락원->낙원. 락엽->낙엽.

  • @siloesal1
    @siloesal1 6 дней назад

    이제 이해가 됐습니다.^^

  • @user-ws7ey9kg2u
    @user-ws7ey9kg2u 6 дней назад

  • @koreands-k8w
    @koreands-k8w 6 дней назад +3

    무식한 고객에 맞춰야 하니 어쩔 수 없을 듯

  • @siloesal1
    @siloesal1 2 дня назад

    좋은 시간 되세요도 틀린 문장이군요. 시간이 주어라서 존칭을 쓸 수 없지요. 좋은 시간 보내세요가 맞겠군요. 맞나요?

  • @건스-y3i
    @건스-y3i 6 дней назад

    올도 배우고 갑니다

  • @AlwaysWeb
    @AlwaysWeb 4 дня назад +1

    둘 중 하나만 높이는 게 맞지
    고객아 커피 나오셨다. 가져가라

  • @뿌잉뿌잉-y3m
    @뿌잉뿌잉-y3m 6 дней назад

    ~ 해주고 ~ 해주고 선영이는 머리를 감아주고 목욕을 해주고 얼굴에 화장품을 발라주고 밥을 먹어주고 잠시 꿈나라로 가실께요 ~

  • @88bb43
    @88bb43 6 дней назад

    내 커피님이 나오셨네

  • @step-y2o
    @step-y2o 5 дней назад

    왜 이걸 안 바꾸는지..

  • @danydany6783
    @danydany6783 5 дней назад

    이걸 설명해야하는 국어수준이 엠지..

  • @NAKIMMM
    @NAKIMMM 5 дней назад +3

    또 다른 예문은
    말씀 드렸 습니다 X
    말 해 드렸 습니다 O

  • @pal-pal-fly
    @pal-pal-fly 5 дней назад

    알면서 저게 사회생활인줄 알고 써먹는 찐따들이 많아요

  • @단한번의사랑-u1b
    @단한번의사랑-u1b 6 дней назад

    왜 진상 탓하고 있나?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그랴라는 속담이 있듯이 진상 탓으로 돌리네. 잘 못된 표현은 고치자. 어색하고 거슬리고 불편하다. 오히려 물질 숭배 사상으로 내가 너 즉 고객을 존대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너로 인해 발생할 이익인 물질을 기대해서물질을 존대하고 있는 것으로 은근히 고객을 조롱하는 의미도 포함하고 있다고 본다. 즉 내가 존중하는 것은 존댓말을 빗대어 니가 아니라 내가 기대하는 물질이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 @luckyme-bc6jk
    @luckyme-bc6jk 6 дней назад +6

    하도 개진상들이 많아서 알지만 커피든 뭐든 일단 높이는거죠

  • @황희철-z4n
    @황희철-z4n 6 дней назад

    글씨체가 얼굴만큼이나
    너무 이뻐요~ ( ^ .. * )

  • @widepax
    @widepax 6 дней назад +1

    젊은 여성분들이 많이 사용하는 어투 ..
    항상 들을때 마다 거슬림

  • @myoh-o4u
    @myoh-o4u 6 дней назад

    어쩌겠나요. 이게 서비스업의 현실인 거죠. 불필요한 언쟁을 만드느니, 사전에 불안 요소를 제거하는 거죠.

  • @Zo_ok_Kim
    @Zo_ok_Kim 5 дней назад +1

    멍춘이들 말투ㅋ

  • @emmak8961
    @emmak8961 5 дней назад

    못 배운 티내는 말

  • @eyeboy00
    @eyeboy00 6 дней назад

    감사합니다

  • @김환태-y7j
    @김환태-y7j 6 дней назад

    아 이제야 나오네.
    바른 표현 (^^)

  • @kimyp-ib2zm
    @kimyp-ib2zm 6 дней назад

    구어체라 쉽게 고치긴 어려울듯.

  • @姜京子-k2j
    @姜京子-k2j 6 дней назад

    이것도모르는인간있나

  • @Rokmc-px1qr
    @Rokmc-px1qr 5 дней назад

    요즘 저런말투 정말 싫어요
    정말 귀에 오염물 붙는 느낌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