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 편의성을 위해 감는 방향을 시계든, 반시계든 통일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권선을 흑점에서 시작하고 같은 방향으로 감도록 통일하거나 흑점이 없는 곳에서 시작해 같은 방향으로 감도록 통일하면 됩니다. 반대 방향으로 감는 것도 방법이 되지만 권선기에 따라 뒤집어서 보빈을 고정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변압기에 에나멜 동선을 감아 제작을 마무리 하신 이후에는 아래 영상을 참고해 에나멜 동선의 피복을 제거하시고 핀과 쇼트를 시키시기 바랍니다. ruclips.net/video/WcjDPRVD_Mk/видео.html # 권선기를 이용한 제작 방법 ruclips.net/video/YQjoFuYQhYY/видео.html
궁금하신 부분을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답글로 설명을 드릴 수 있는 부분을 먼저 말씀드리자면, 에나멜 동선을 핀에 납땜할 때에는 UEW 재질의 경우 인두기의 열만으로도 동선의 피복이 벗겨지기 때문에 인두기를 이용해 작업하시면 됩니다. 핀에 납땜할 부위의 피복만 벗겨내주셔야 합니다.
트랜스 용량을 크게 하려면 트랜스 자체의 크기도 커져야 합니다 ^^ 에나멜 선의 굵기는 전류와 연관되고, 턴 수는 전압과 연관된 부분으로 전력은 굵기와 턴 수 모두와 연관됩니다. 24V 입력에 대해 해당 턴수로 출력이 23V가 나올지는 회로와 함께 봐야하고 트랜스 자체로만 볼 수 없습니다. 단순 60Hz 트랜스라면 말씀하신 것처럼 됩니다.
@@김철구-e7y DC 라면 정류 전압입니다. 현재 제작을 희망하시는 파워는 60Hz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는 리니어 방식을 적용하셔야 합니다. 아쉽지만 현재 트랜스포머를 이용하는 제작은 많이 어려우십니다. 일단 간단한 정류 회로와 트랜스포머의 동작에 대해 먼저 이해하시고, 간단한 파워회로에 대해 차근차근 다루시는 것이 좋으실거에요. 최종적으로는 OPAMP나 트랜지스터, 부품의 발열 등에 대해서도 이해를 해야 제작하실 수가 있습니다.
@@LUDVIKPOWER dc 는 트렌스로 제작이 어렵나보내요 흠 자동차배터리 2개 연결한걸 dc감속기모타에 연결해 쓰고잇는데 이모터는 상하 운동을 하고 위로올라갈땐 부하를받아 회전이늦고 내려올땐 부하가없으니 받을때보다 회전이빨라요 여기다 리니어 모터를 적용할정도의 기술이 필요한건 아니라서 간단하게 시간으로 제어를해요 10초올리 10초내리고인데 10초올리 9초 내리기는 안됩니다 그래서 모터가 내려올때 전압제어가 가장 쉽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알아보니 이것도 어려운거같내요 rc에 사용되는 dc 변속기 는 그조그만게 전압제어를 마음대로 하는데 트렌스를 이용하면 될거같아서 여쭤본거엿내요 안정성잇는 dc v제어가 머가잇을지 다시 검색을 해봐야겠습니다 아무튼 답변 감사합니다 좋은하루되 시길 바랍니다
저희가 사용하는 1.4kw SMPS 고장 수리 결과 트랜스 불량이었는데 형명이 없어 자세히는 알수 없는데 400v 스위칭 펄스를 32v 펄스로 변환(부스터 방식 출력전압 32v) 트랜스가 취약 부품(대부분의 고장이 전원 투입과 동시에 메인휴즈 소손)으로 추정되는데 내부 에나멜 동선도 여러가지가 있던데 어떤 동선을 사용해야 하는지 고견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스위칭 주파수는 50kHz이고요 소손 트랜스는 1차측 LCR메타 오토 모드로 측정해보면 아예 저항 쇼트 성분으로 측정됩니다 이번 동영상을 보면서 한번 감아볼까 하는데 작업후 정상 여부를 측정하는 방법도 있는지요 즐거운 주말 되세요
안녕하세요, 이조사님. 증상에 따른 원인을 분석하고 대책을 세우려면 좀더 명확한 정보가 필요하나, 기재해주신 내용만으로 유추하여 답을 드립니다. '대부분의 고장이 전원 투입과 동시에 메인휴즈 소손' 이라고 하셨는데, 이때 트랜스포머의 1차측이 쇼트로 같이 고장이 나는 상황인가요? 그렇다면 트랜스포머의 설계는 잘못 되었습니다. 돌입전류로 인해 트랜스포머 1차측 동선이 쇼트가 날 정도면 트랜스는 재설계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트랜스 제작을 마무리하고 테스트할 때에는 L 값을 측정하거나 저항 값을 측정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는데, 저항 값 측정은 경우에 따라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각 권선에 대한 점검 뿐만 아니라 권선 간의 절연에 대한 점검도 필요합니다. 내부 에나멜 동선의 경우 종류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UEW 입니다. PEW 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온도에 대한 내성이 강합니다.
@@LUDVIKPOWER 답변 감사합니다 안드신 동영상중 돌입전류 제한 방식중 릴레이를 사용(pfc보드 출력전압 분기 자체 12v 만들어 릴레이 구동)하는 방식인데 저희 장비중에 동일 smps를 사용하는 특히 부하가 많이 걸리는 smps만 나가더라고요 10년 정도 사용하다보니 노후도 많이 되고해서 전해콘덴스도 전량 교체하고 fet도 바꾸고 해도 안되길래 최종 정상 smps 출력트랜스를 빼서 바꾸니까 정상 이더라고요 휴즈 소손시 릴레이 구동용 코일 관련 부품(비교기 포토 커플러 7812등이 같이 소손되길래 고주파 트랜스 입력측이 순간적으로 쇼트될때 릴레이 구동용 코일에 순건적으로 역전압이 유기되어 나가지않나 짧은 소견으로 추론하고요(코일 양단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내압1000v는 병렬연결되어 있고요) 부하가 많이 흐르는 장비가 주로 나가는걸로 보아 열에 의해서 열화된걸로 추론한것이고요 그래서 에나멜 동선에 대해서 여쭈어 본겁니다 참고로 부하가 많이 걸리는 트랜스를 보면 색깔부터가 노란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갈색 에나멜이 녹아 나온것같이 색깔이 지저분합니다 부하가 작게 흐르는 트랜스는 깨끗하고요 모쪼록 바쁘실 텐데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며칠전 접하고 시간날때 마다 시청하고 있는데 많은 공부가 되네요 감사합니다
갑자기 생각나서 말씀드리는데 올초에 고장나서 고친 smps의 경우 정상동작하다가 전류를 증가시켜가면 23A 정도만 올라가면 휴즈 소손 그래서 다시 수리해서 전류 13A 정도흐르는 장비에서는 아무 이상없이 지금까지도 사용하고 있는데 이게 다 지금 생각해보면 트랜스 노후가 원인 이었던거 같네요
@@이조사-l2n 그러셨군요.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시니 상황이 더 잘 이해가 갑니다. 그렇다면 트랜스포머의 설계와 함께 전해 콘덴서 선정도 함께 고려하심이 좋겠습니다. 부하에서 전류를 더 요구하는 경우 당연히 언급하신 것처럼 열이 더 나게 될텐데, 이러한 경우에 대한 트랜스의 마진 설계가 부족했던 것으로 보이는데요. 특히 시간이 지나서 고장이 나는 경우에는 전해 콘덴서의 용량 감퇴로 리플 전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전해 콘덴서 자체의 고장은 물론 트랜스포머의 동선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트랜스포머가 시간에 의해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는 사실 드문 문제이기 때문에 재설계를 말씀드렸는데요. 전해 콘덴서 용량을 늘리거나 적절한 시리즈로 변경하고 트랜스 설계도 손을 보면 좋겠습니다.
형님 감사합니다. 혹시 절연테이브를 최초에 감는 것도 Air Gap 을 만들어 주기 위함 인가요? 아니면 무조건 1,2 차 권선을 분리하기 위해 테이프를 감아 주는 것 처럼 절연만이 목적인가요? 블로그에서 애나멜선과 테이프를 구매하고 보빈은 따로 준비해서 만들어 보려는데 아직 모르는게 많은 것 같습니다..
손가락을 보니 장인 정신이 느껴 집니다. 제작영상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원하는 전압을 얻으려는 설계방법을 알고 싶습니다.(코일직경, 턴수)
플라이벡 트렌스포머 핀은
순번이 되어있나요
아니면 1번에서10번까지
임의로정하여 번호에맞게
감는가요
넘 자세한 설명 잘들었읍ㄴ다
감사하고
제가 감기에는 모르는게 넘 많고 필요한걸 묻고 제작이 가능한 업체 소개 받을 수 있는지요
처음 SMPS 제작 해보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업체를 찾는 일은 많은 어려움이 있죠 ^^
트랜스 제작업체는 말 그래도 제작만 해줍니다. (물론 설계가 가능한 업체도 있습니다)
거주하고 계신 지역 근처의 전원회로 업체를 알아보시면 적당한 곳을 찾으실 수 있겠습니다.
트렌스 제작영상 좋아요
근데 문덕 궁금하점인데요
트렌스 코일 굵기가 전류를 결정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그럼 코일굵기만 다르게 하고 같은 조건으로 만든 트렌스로 바꾸면 전류증가 smps로 바 꿀수 있나요?
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회로도에 점표시가 위아래 바뀌면 감는 방향도 반대가 되는 건가요?? 예를 들어서 위쪽 점표시를 반시계로 감았다면 아래쪽 점표시는 시계방향으로 감는 건가요?
제작 편의성을 위해 감는 방향을 시계든, 반시계든 통일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권선을 흑점에서 시작하고 같은 방향으로 감도록 통일하거나
흑점이 없는 곳에서 시작해 같은 방향으로 감도록 통일하면 됩니다.
반대 방향으로 감는 것도 방법이 되지만 권선기에 따라 뒤집어서 보빈을 고정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29:51 코어 갭주는 이유가 멀까요? 갭이 있으면 인덕턴스가 작아지나요?
네. 코어 사이에 갭을 넣으면 인덕턴스가 작아집니다. 인덕턴스 값을 낮추기 위해 갭을 넣습니다.
변압기에 에나멜 동선을 감아 제작을 마무리 하신 이후에는 아래 영상을 참고해 에나멜 동선의 피복을 제거하시고 핀과 쇼트를 시키시기 바랍니다.
ruclips.net/video/WcjDPRVD_Mk/видео.html
# 권선기를 이용한 제작 방법
ruclips.net/video/YQjoFuYQhYY/видео.html
안녕하세요. 상세한 설명 영상 잘 봤습니다. ^^
갖고있던 애나멜선이 0.25mm 가 없어서 0.2mm를 사용해서 제작을 하는데 출력 전압쪽에 차이가 있겠죠?
쇼핑몰에서 1mm도 파는 것 같던데, 1mm를 사용한다면 계산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턴수를 같게 한다면 0.2mm 를 이용해 제작을 해도 동일한 전압이 출력됩니다.
다만 출력 전류를 증가시킬 때 트랜스에서 발생하는 열이 더 증가하게 됩니다.
1mm 는 두꺼워서 제작을 할 수 없습니다 ^^
권선을 다리에 납땜할때 권선의 피복이 벗겨지도록해서 다리에 용접하는건가요? 아니면 피복은 안벗겨지게 붙여만 주는건가요? 또하나 궁금한건, 2차측 권선 6겹 되는 원리와 , 분리해서감은 권선이 + - 가 어떤원리로 작용하게 되는지 . . 영상하나 더 만드시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궁금하신 부분을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답글로 설명을 드릴 수 있는 부분을 먼저 말씀드리자면,
에나멜 동선을 핀에 납땜할 때에는 UEW 재질의 경우 인두기의 열만으로도 동선의 피복이 벗겨지기 때문에
인두기를 이용해 작업하시면 됩니다. 핀에 납땜할 부위의 피복만 벗겨내주셔야 합니다.
@@LUDVIKPOWER 아..납땜해야하는구나 . . 답변 감사 해요~
안녕하세요 절연테이프를 1차측 코일감고 4번 감았고 2차측 코일 권선후에는 절연테이프를 2번 감았는데요
절연테이프도 감는횟수가 정해져있는건가요?
절연 사양에 따라 감는 횟수를 다르게 합니다. 1차측과 2차측은 더 높은 절연 강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그만큼 테이프를 많이 감아주게 됩니다.
구입후 만드니 정상작동되는데 그 8핀다리가 하나남더라구요 구멍이 8개라 7핀 부품 꽂아서 쓰라고 넣으신거맞나여
네 맞습니다. 해당 ic는 8핀 ic 규격과 동일한데, 7핀 전용 소켓은 없습니다 ^^ ic가 7핀인 이유는 1개 핀이 드레인 핀으로써 고압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궁금한게 있는데 트렌스 용량을 크게할려면 1차측 2차측 애나맬 선을 두껍게 쓰면되나요? 입력 24v 1차 24번 감고 2차 23번 감으면 2차측 전압 23v 나오나요? 궁금합니다
그리고 1차측을 많이 감을수록 효율이 좋아 지는건가요? 적게 감으면 효율이 떨어지고 .. 맞나요 ?
트랜스 용량을 크게 하려면 트랜스 자체의 크기도 커져야 합니다 ^^ 에나멜 선의 굵기는 전류와 연관되고, 턴 수는 전압과 연관된 부분으로 전력은 굵기와 턴 수 모두와 연관됩니다.
24V 입력에 대해 해당 턴수로 출력이 23V가 나올지는 회로와 함께 봐야하고 트랜스 자체로만 볼 수 없습니다. 단순 60Hz 트랜스라면 말씀하신 것처럼 됩니다.
@@LUDVIKPOWER dc 전압 제어 해볼려고합니다 29볼트 10a 정도 흐를예정이고요
이걸 약 1볼트만 나추고싶어서요
1차 290번감고 2차 280번 감으면 1v 적게나올거같아서요 그렇다면 재료사다가 만들어 보고싶어서요
아무튼 답변감사합니다
@@김철구-e7y DC 라면 정류 전압입니다. 현재 제작을 희망하시는 파워는 60Hz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는 리니어 방식을 적용하셔야 합니다. 아쉽지만 현재 트랜스포머를 이용하는 제작은 많이 어려우십니다. 일단 간단한 정류 회로와 트랜스포머의 동작에 대해 먼저 이해하시고, 간단한 파워회로에 대해 차근차근 다루시는 것이 좋으실거에요. 최종적으로는 OPAMP나 트랜지스터, 부품의 발열 등에 대해서도 이해를 해야 제작하실 수가 있습니다.
@@LUDVIKPOWER dc 는 트렌스로 제작이 어렵나보내요 흠 자동차배터리 2개 연결한걸 dc감속기모타에 연결해 쓰고잇는데
이모터는 상하 운동을 하고 위로올라갈땐 부하를받아 회전이늦고
내려올땐 부하가없으니 받을때보다
회전이빨라요 여기다 리니어 모터를 적용할정도의 기술이 필요한건 아니라서 간단하게 시간으로 제어를해요 10초올리 10초내리고인데 10초올리 9초 내리기는 안됩니다 그래서 모터가 내려올때 전압제어가 가장 쉽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알아보니 이것도 어려운거같내요 rc에 사용되는 dc 변속기 는 그조그만게 전압제어를 마음대로 하는데 트렌스를 이용하면 될거같아서 여쭤본거엿내요
안정성잇는 dc v제어가 머가잇을지
다시 검색을 해봐야겠습니다 아무튼 답변 감사합니다 좋은하루되 시길 바랍니다
저희가 사용하는 1.4kw SMPS 고장 수리 결과 트랜스 불량이었는데 형명이 없어 자세히는 알수 없는데 400v 스위칭 펄스를 32v 펄스로 변환(부스터 방식 출력전압 32v) 트랜스가 취약 부품(대부분의 고장이 전원 투입과 동시에 메인휴즈 소손)으로 추정되는데 내부 에나멜 동선도 여러가지가 있던데 어떤 동선을 사용해야 하는지 고견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스위칭 주파수는 50kHz이고요 소손 트랜스는 1차측 LCR메타 오토 모드로 측정해보면 아예 저항 쇼트 성분으로 측정됩니다 이번 동영상을 보면서 한번 감아볼까 하는데 작업후 정상 여부를 측정하는 방법도 있는지요 즐거운 주말 되세요
안녕하세요, 이조사님. 증상에 따른 원인을 분석하고 대책을 세우려면 좀더 명확한 정보가 필요하나, 기재해주신 내용만으로 유추하여 답을 드립니다.
'대부분의 고장이 전원 투입과 동시에 메인휴즈 소손' 이라고 하셨는데, 이때 트랜스포머의 1차측이 쇼트로 같이 고장이 나는 상황인가요? 그렇다면 트랜스포머의 설계는 잘못 되었습니다. 돌입전류로 인해 트랜스포머 1차측 동선이 쇼트가 날 정도면 트랜스는 재설계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트랜스 제작을 마무리하고 테스트할 때에는 L 값을 측정하거나 저항 값을 측정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는데, 저항 값 측정은 경우에 따라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각 권선에 대한 점검 뿐만 아니라 권선 간의 절연에 대한 점검도 필요합니다.
내부 에나멜 동선의 경우 종류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UEW 입니다. PEW 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온도에 대한 내성이 강합니다.
@@LUDVIKPOWER 답변 감사합니다 안드신 동영상중 돌입전류 제한 방식중 릴레이를 사용(pfc보드 출력전압 분기 자체 12v 만들어 릴레이 구동)하는 방식인데 저희 장비중에 동일 smps를 사용하는 특히 부하가 많이 걸리는 smps만 나가더라고요 10년 정도 사용하다보니 노후도 많이 되고해서 전해콘덴스도 전량 교체하고 fet도 바꾸고 해도 안되길래 최종 정상 smps 출력트랜스를 빼서 바꾸니까 정상 이더라고요 휴즈 소손시 릴레이 구동용 코일 관련 부품(비교기 포토 커플러 7812등이 같이 소손되길래 고주파 트랜스 입력측이 순간적으로 쇼트될때 릴레이 구동용 코일에 순건적으로 역전압이 유기되어 나가지않나 짧은 소견으로 추론하고요(코일 양단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내압1000v는 병렬연결되어 있고요) 부하가 많이 흐르는 장비가 주로 나가는걸로 보아 열에 의해서 열화된걸로 추론한것이고요 그래서 에나멜 동선에 대해서 여쭈어 본겁니다 참고로 부하가 많이 걸리는 트랜스를 보면 색깔부터가 노란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갈색 에나멜이 녹아 나온것같이 색깔이 지저분합니다 부하가 작게 흐르는 트랜스는 깨끗하고요 모쪼록 바쁘실 텐데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며칠전 접하고 시간날때 마다 시청하고 있는데 많은 공부가 되네요 감사합니다
추가로 트랜스 1차측 쇼트를 물어보셨는데 1개는 lcr미터로 측정시 완전히 쇼트나고 다른 고장 트랜스는 L값은 정상 측정되는데 나간것입니다 lcr미터가 측정시 소자에 높은 전압 높은 주파수를 걸어서 측정하는게 아니라 정상 측정되는것으로 생각됩니다 제 생각이지만
갑자기 생각나서 말씀드리는데 올초에 고장나서 고친 smps의 경우 정상동작하다가 전류를 증가시켜가면 23A 정도만 올라가면 휴즈 소손 그래서 다시 수리해서 전류 13A 정도흐르는 장비에서는 아무 이상없이 지금까지도 사용하고 있는데 이게 다 지금 생각해보면 트랜스 노후가 원인 이었던거 같네요
@@이조사-l2n 그러셨군요.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시니 상황이 더 잘 이해가 갑니다. 그렇다면 트랜스포머의 설계와 함께 전해 콘덴서 선정도 함께 고려하심이 좋겠습니다. 부하에서 전류를 더 요구하는 경우 당연히 언급하신 것처럼 열이 더 나게 될텐데, 이러한 경우에 대한 트랜스의 마진 설계가 부족했던 것으로 보이는데요.
특히 시간이 지나서 고장이 나는 경우에는 전해 콘덴서의 용량 감퇴로 리플 전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전해 콘덴서 자체의 고장은 물론 트랜스포머의 동선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트랜스포머가 시간에 의해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는 사실 드문 문제이기 때문에 재설계를 말씀드렸는데요. 전해 콘덴서 용량을 늘리거나 적절한 시리즈로 변경하고 트랜스 설계도 손을 보면 좋겠습니다.
영상에서는 코일의 점이 1차측은 아래에, 2차측은 위쪽에 찍혀 있는데요, 만약에 6,7을 그림대로 하지 않고 시계방향으로 감게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지나요?
안녕하세요. ^^ 7번에서 시작하여 6번으로 끝내지 않으면 동작을 하지 않습니다. 만약 6번에서 시작해 7번으로 끝내려면 감는 방향을 반대로 하면 됩니다.
혹시 에나멜 동선 고르신 기준이 있나요?
에나멜 동선은 전류, 주파수, 작업성 등을 고려해 결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들었습니다. 궁금한게 있어서 메일 보냈습니다. 댓글에는 사진을 올릴줄 몰라 부득이하게 메일로 보냈습니다.
답변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메일에 회신을 드렸습니다. 궁금하신 점은 회신주세요 ^^ 감사합니다.
@@LUDVIKPOWER 빠른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질문 내용과 관련한 해당 링크를 메일로 소개해 드렸습니다. 바쁘시지 않을 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형님 감사합니다. 혹시 절연테이브를 최초에 감는 것도 Air Gap 을 만들어 주기 위함 인가요? 아니면 무조건 1,2 차 권선을 분리하기 위해 테이프를 감아 주는 것 처럼 절연만이 목적인가요? 블로그에서 애나멜선과 테이프를 구매하고 보빈은 따로 준비해서 만들어 보려는데 아직 모르는게 많은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초에 감아주는 것은 갭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보빈을 절연시켜주기 위함입니다. 물론 보빈은 절연물질이기 때문에 감지 않아주는 경우도 많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