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7회 진정한 고수가 되려면 득점보다는 볼콘트롤에 두께 찾고 손목을 쓰지말고 자세로 회전이 살아나는 당구에 중점으로 연습하기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8 мар 2021

Комментарии • 28

  • @lss0616
    @lss0616 2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연습해보니 정말 신비합니다!! 확 달라졌어요~~

  • @user-rz8pk2vy3e
    @user-rz8pk2vy3e 2 года назад

    이분 영상 간결 정확 바로 활용. 감사합니다.

  • @user-lx3qv6ok6i
    @user-lx3qv6ok6i 2 года назад +2

    비기를 알려주시네요 헐
    알려줘도 잘 못알아들으시는것 같고 스트록이 안돼시는데 엄청난 레슨입니다

  • @tspark1071
    @tspark1071 3 года назад +1

    고수

  • @user-zw5nx8to5l
    @user-zw5nx8to5l 3 года назад +1

    셜명이 좀 더 명료했음 좋았겠지만 정말 스트록에 있어 중요한 내용입니다. 저것만 제대로 구사할줄 알아도 점수와 관계없이 공 좀 친다는 소리 듣습니다.

  • @user-uq5ie2jh5f
    @user-uq5ie2jh5f 2 года назад +1

    진짜 사이즈 있는 강의시네요. 이 강의 통해서 능력되면 내용 받아먹는거구 아님 아닌거구.

  • @doitcan6316
    @doitcan6316 2 года назад

    최곱니다. 스트로크가 되야 뭘 해먹지. 그립이 돼야 뭘 해먹지. 이거네요. 많이 느끼며 잘봤습니다. 구독이요~~ 감사합니다.

  • @user-jt3qq9qt9n
    @user-jt3qq9qt9n 2 года назад

    안되던공을 이제서야 이해합니다...감사합니다

  • @user-dy3jg5vr3h
    @user-dy3jg5vr3h 3 года назад

    만수형이다

  • @leonardogonzalezvillanueva2889
    @leonardogonzalezvillanueva2889 3 года назад

    Saludos, podrá poner traducción a español?

  • @user-mo9yw2pc2m
    @user-mo9yw2pc2m 3 года назад +1

    브릿지 거리와 펌인지 루즈그립인지 이해하고 치시면 엄청 편하게 공을 구사할수 있습니다 내용 자체는 천기누설 이네요 35점도 모를수있는 수준있는 내용입니다

  • @leesewon
    @leesewon 2 года назад

    요점 정리가 되었으면 합니다. 어느때 브릿지를 짧게 잡고 길게 잡아야 하는지 다시한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RebelliJiN
    @RebelliJiN 3 года назад +2

    공 안맞으면 무조건 두꺼웠네 얇았네 두께탓만 하는 하점자들은 깨달아야할 스트록.

  • @user-ft9jv5pt2y
    @user-ft9jv5pt2y 3 года назад +1

    아니 저런 배치는 눈감고 쳐도 맞는 포지션이고, 제1 목적구를 좀더 단쿠션쪽으로 근접시켜놓고 한번 두께에 상관없이 스트록에 따라 공이 자기 의도되로 굴러가는지 보여주시죠 ㅋㅋㅋ

    • @user-ks2ls5vk8f
      @user-ks2ls5vk8f 2 года назад

      설명하는 사람 의도도 이해 못하는 사람이 뭘 이해 하겠나요 !

    • @dogam2758
      @dogam2758 2 года назад

      눈감고 치는 영상 올려보소

  • @user-db6qh1vg5r
    @user-db6qh1vg5r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설명이 요점이 없어요, 말이 앞뒤도 안맞고 , 두서도 없고 , 브릿지를 길게 잡을때와 짧게 잡을때의 차이점을 설명해줘야하는데. 우왕자왕 길게 무슨말을 하는지 모르겠고요. 지금 레슨 받는분도 무슨 설명인지 하나도 못 알아들었을거같네요

  • @user-ii5kq5rr9p
    @user-ii5kq5rr9p 2 года назад

    당점에 위치는 설명 안하니까 공염불입니다

  • @jasonyang1397
    @jasonyang1397 3 года назад

    ㅋㅋㅋㅋ 말이 앞뒤가 안맞아. 업로드 영상 리뷰 좀 하면 좋겠네.

  • @user-cw1ko4fe5j
    @user-cw1ko4fe5j 3 года назад

    당구가 우선순위가 두께 당점 스트록 아닌가요 대충쳐도 맞는 앞돌리가 어딨노 엉터리넹

    • @Yang-kz3kg
      @Yang-kz3kg 3 года назад +3

      아는 만큼 보이는 법이지요...스트록이 좋으면 그만큼 두께 에러 마진이 커집니다. 선수들이나 유튜브에서 알려주는 시스템이나 치는 법들은 기본적으로 저 강사분이 말씀하시는 스트록을 구사한다는 전제입니다. 저 스트록을 구사 못하면 당구 자체가 많이 어려워지죠

    • @user-mo9yw2pc2m
      @user-mo9yw2pc2m 3 года назад

      설계란 두께 스트록 스피드 당점 회전 이렇게 5가지 요소 입니다 스트록을 결정하기전에 당점을 정하기 때문에 미스가 나죠

    • @RebelliJiN
      @RebelliJiN 3 года назад

      이분 맞아있는 공이라는게 단순히 우라 똥창근처에 있을때 그런말 하는줄 알듯...
      어떻게 쳐두 맞아있게 가는 스트록이란게 있습니다. 물론 두께차이가 엄청 심하면 안되지만 ㅎㅎ

    • @user-ev4kn9ex5z
      @user-ev4kn9ex5z 3 года назад

      답답하네요 저희 클럽 2년째 18점 놓고 치는 친구가 생각나네요 당구에 끝과 시작은 스트록입니다 아무리 설명해도 이해을 못 하죠

    • @user-nm5sf8qe2l
      @user-nm5sf8qe2l 3 года назад

      내용의 깊이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