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istics by hand] 22. Understand statistical test 2 (one sample Z test)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2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46

  • @eostatistics
    @eostatistics  4 года назад +2

    글이 더 편하신 분
    hsm-edu.tistory.com/132

  • @uh2429
    @uh2429 Год назад

    좋은 댓글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덕분에 많은 것을 알아가고 있습니다 ㅎㅎ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 @evekim4033
    @evekim4033 2 года назад

    2:11 쯤에 '이렇게 낮은 확률로 표본이 뽑힐 리가 없으니까 가설이 틀렸다' 라고 말씀해주시는데요.. 갑자기 왜 가설이 틀린 건가요? 너무 많은 내용이 비약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ㅠㅠ

    • @evekim4033
      @evekim4033 2 года назад +1

      예를 들어 귀무가설로 모집단 평균이 10이다, 대립가설로 모집단 평균이 10이 아니다 라고 했을때
      영상의 내용으로 보면 x bar 1으로 11이 나왔는데, 11보다 같거나 큰 값이 나올 확률이 0.02밖에 안되니 모평균이 10이라는 가설은 틀렸다. 라는 말인데.. 이해가 안가네요ㅠㅠ

    • @eostatistics
      @eostatistics  2 года назад

      맞게 이해하신겁니다. 아래 영상 참고하셔요~
      ruclips.net/video/qdieWdYpjt0/видео.html

  • @오승영-d1d
    @오승영-d1d 5 лет назад +4

    안녕하세요. 강의 잘 봤습니다. 개인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어서 댓글 남깁니다.
    충분히 많은 n개의 표본을 뽑았고 그 표본평균은 정규분포를 따르잖아요. 근데 이 때 이 표본 편균의 평균이 이론적으로 모평균과 같다고 저번 강의에서 증명을 해주셨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제 의문은 우리는 특정 샘플 데이터의 정규분포를 가정하고 있고 (CLT가 적용된 것이고 ) n이 충분히 많다는 것이니 표본평균의 평균 = 모평균 아닌지요.
    “이미 이론상 표본평균의 평균 = 모평균인데 거기에 또 가설검정을 해야하는 건가...? “ 라는 의문이 들어 질문합니다.
    또는 혹시 n이 충분히 많지 않거나, 혹은 모종의 이유로 표본평균의 평균=모평균이 성립하지 않을 수도 있으니까 가설검정으로 이를 보완 설명하는 건가요?

    • @eostatistics
      @eostatistics  5 лет назад +2

      이론상 표본평균의 평균이 모평균이라는 것은. 모평균이 맞게 계산되었고. 그 모집단에서 표본이 뽑힌 것이 확실할 때 성립합니다. 위 사실이 확실한지를 모르기 때문에 검정하는 거구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모평균이 30이라고 알려져있고.
      표본을 100개를 뽑았습니다. 평균은 33, 분산은 4 였습니다.
      우리가 궁금한 것은 30이라고 알려져있는 모집단 평균이 정말 맞냐는 것입니다.
      알려져있는 모집단평균이 맞다면. 우리가 뽑은 표본평균의 평균과 모집단의 평균이 같을 것입니다.
      표본평균의 평균 = 모집단 ????
      이게 참인지를 검정하는 것입니다.
      이게 참이라고 "가정"했을때. 우리가 뽑은 표본이 뽑힐 확률이 매우 낮다면. 그 낮은 확률을 뚫고 뽑힌거야!!라고 주장하는게 아니라 모집단의 평균이 30이라는 것이 잘못된걸거야. 라고 하는게 기각입니다

  • @parkkoon7074
    @parkkoon7074 3 года назад

    영상 유용하게 잘보고 있습니다.
    z 분포는 0을 기점으로 변환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정규 분포를 사용했다는 표현이 맞는것 같습니다

  • @leenine1235
    @leenine1235 4 года назад

    강의 내용 중에 의문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표본의 크기가 커서 표본평균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른다 이부분이 확실하게 이해되지 않습니다ㅠ
    ‘엑스바’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이루려면 엑스원바 엑스투바 ~~등등 ‘표본평균’이 많아져야 하는게 아닌가요? 즉 표본의 크기보다 표본을 추출한 횟수가 중요한거 아닌가요?
    왜 표본의 크기가 중요한건지 궁금합니다

    • @eostatistics
      @eostatistics  4 года назад +2

      중심극한정리 강의 9~14를 보시면 됩니다.
      표본추출횟수는 무한으로 가정합니다. 표본의 크기만 중요합니다. 이것이 중심극한정리의 핵심입니다.
      같은 질문을 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조만간 아래와 같은 제목의 영상을 올릴 예정입니다.
      "표본의 크기입니다. 횟수가 아닙니다. 이 영상을 보고 더 이상 헷갈리지 맙시다."
      기다려주세요~

    • @leenine1235
      @leenine1235 4 года назад

      통계의 본질 EOStatistics 무한으로 가정하는거였군요 감사합니다!! 표본의 크기가 계속 헷갈렸는데 다음 영상 기대할게요 ㅎㅎ

  • @gloyz815
    @gloyz815 4 года назад

    공부 하다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 10,000명의 모집단에서 500명의 표본을 무작위로 추출한 뒤 광고시안 A B C 중에 가장 누르고 싶은 것을 고르도록 합니다. 여기서 선호도는 A>B>C 순으로 나왔습니다.
    * 이후 같은 모집단에서 500명의 서로 다른 표본 3개를 더 추출한 뒤 각각 광고시안 A, B, C를 노출합니다. 이 때 각 표본에 노출된 광고시안의 전환률도 A>B>C 순이 될까요?
    너무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ㅠㅠ

    • @eostatistics
      @eostatistics  4 года назад

      확률적으로 계산해서 신뢰도를 제시할 수는 있겠지만. "그렇다" 라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습니다.
      보통 그런 상황에서는 AB테스를 하는 것으로 아는데요. 어떤 공부를 하시다 나온 내용인지 알 수 있을까요?

    • @gloyz815
      @gloyz815 4 года назад

      통계의 본질 EOStatistics 광고 효율을 판단하는 서비스를 만들어 보려고 구상 중입니다. 각각 노출시켜 전환률을 구하는 대신 하나의 표본에 3가지 광고를 한꺼번에 보여주고 선호도를 구하는 방식으로 표본의 수를 1/3로 줄이면 더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광고 시안의 우열을 가릴 수 있을 것 같아서요. 그렇다면 수학적으로 신뢰도를 구할 수 있다는 것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요?

    • @gloyz815
      @gloyz815 4 года назад

      통계의 본질 EOStatistics 더불어 A B C 3가지 시안이 아니라 A B 2가지 시안으로 줄이면 선호순서와 전환율 우열이 같아질 확률이 높아질까요?

    • @eostatistics
      @eostatistics  4 года назад

      한번 계산시도를 해보고 답변드리겠습니다. 이번주 안으로 최대한 드려볼게요

    • @gloyz815
      @gloyz815 4 года назад

      통계의 본질 EOStatistics 너무 감사합니다^^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 @조제욱
    @조제욱 2 года назад

    죄송합니다만 이해를 잘 못한거 같아서요. A가 모평균이냐 아니냐 할 때 표본평균의 정규분포에 B/n을 사용하는데 그럼 B는 일단 모분산이 맞다는 조건이 전제되어 있는 건가요?

    • @eostatistics
      @eostatistics  2 года назад +1

      네 그렇습니다.
      근데 실제로 모분산을 아는 경우는 없습니다.
      따라서 표본분산을 대신 사용하거나. t분포를 사용합니다. 더 듣다보시면 나옵니다

    • @조제욱
      @조제욱 2 года назад

      @@eostatistics 답글 감사합니다! 복많이 받으세요!

  • @diamonddiamond1783
    @diamonddiamond1783 Год назад

    X바의 예로서 원소가 100개인 표본을 평균하고, 또 100개를 뽑아 평균하고하여 여러 평균들의 평균인가요?
    표본 원소 100개 이상 개이상 뽑고 그 하나의 표본 평균을 사용하면 안되나요?

    • @eostatistics
      @eostatistics  Год назад

      x바는 표본평균의 확률변수입니다.
      E[x바] 가 표본평균의 평균이고 이 값이 모평균과 같습니다

  • @williams7030
    @williams7030 6 лет назад +4

    말씀하신것중에 갑자기 중간설명없이 확넘어간것같은 느낌이 들어서 질문드립니다.
    표본평균의 분포는 평균이 A 분산이 B인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했는데, 갑자기 엑스바원보다 같거나 클확률이 0.02랍니다. 주어가 없어요.
    뭐가 엑스바원보다 같거나 클확률이 0.02라는거죠?

    • @eostatistics
      @eostatistics  6 лет назад

      확률밀도함수에서 엑스바원보다 같거나 큰 부분의 넓이를 0.02로 놓은 것입니다. 아래 링크에 글로 된 설명이 있습니다. 조금 더 자세한 설명인데 읽어봐주셔요.
      hsm-edu.tistory.com/132?category=741767

    • @williams7030
      @williams7030 6 лет назад

      모평균 A가 엑스바원보다 같거나 클확률, 즉 해당부분에 넓이에 있을 확률이 0.02라는 말씀이신가요?
      그런데 통계에서는 그럴가능성은 낮다고 보니까 기각하는 거구요?

    • @eostatistics
      @eostatistics  6 лет назад

      우리가 뽑은 표본보다 같거나 큰 표본을 뽑을 확률이 0.02라는 것입니다. "정규분포 상에서 엑스바원보다 같거나 큰 부분의 넓이가 0.02다."
      주어 = 엑스바원보다 같거나 큰 부분의 넓이
      모평균을 A라고 가정한 정규분포를 그렸고, 표본 엑스바원을 뽑았습니다. 이 엑스바원이 정규분포 어느 위치에 있나 본거구요. 엑스바원보다 같거나 큰 표본을 뽑을 확률은 엑스바원 이상인 부분의 넓이입니다. 이 넓이가 너무 작기 때문에 모평균을 A라고 가정한 것 자체가 틀렸다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 @williams7030
      @williams7030 6 лет назад

      답변이 오래걸릴것같았는데 빨리, 그리고 친절하고 자세하게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올려주세요ㅎ

    • @eostatistics
      @eostatistics  6 лет назад +1

      네 감사합니다 ^^

  • @박세진-j5l
    @박세진-j5l 4 года назад

    궁금한 것이 있어서 질문 드리게 되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s^2=v(x(x bar))인가요??

    • @eostatistics
      @eostatistics  4 года назад

      s2은 표본분산인거 같은데요
      우변의 x(xbar)는 뭔가요?
      E(xbar) 표본평균를 말씀하시는건가요?

    • @박세진-j5l
      @박세진-j5l 4 года назад

      @@eostatistics 아 그냥 xbar라고 쓰면 되는데 잘못 썻습니다. v(x bar)입니다. 표본 분산과 = v(x bar)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 @eostatistics
      @eostatistics  4 года назад

      s2 을 표본분산의 의미로 사용하셨다면
      등호가 성립하지 않습니다. 우변은 표본평균의 분산입니다.

    • @박세진-j5l
      @박세진-j5l 4 года назад

      @@eostatistics 항상 감사합니다ㅠㅠ

  • @hanakim5293
    @hanakim5293 4 года назад

    그런데 왜 엑스1바 보다 큰쪽의 확률을 보고 판단하는건가요?ㅠㅠ

    • @eostatistics
      @eostatistics  4 года назад +3

      답변입니다^^곧 영상도 올라옵니다
      hsm-edu.tistory.com/989

  • @seikun7
    @seikun7 2 года назад

    왤케 복잡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