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아파트 욕실 마감재 ‘와르르’…“하자 보증 기간 끝났다” / KBS 2021.12.29.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입주 4년밖에 안 된 충남의 한 아파트에서 욕실 마감재가 떨어지거나 무너져내렸습니다. 주민들은 처음부터 시공 자체가 잘못됐다는 주장인데 시공사는 하자보증 기간이 끝나 더는 보수할 수 없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홍정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욕실 벽면 한가운데 마감재가 떨어져 속이 훤히 보입니다.
    벽면 마감재에 고정돼 있던 샤워 칸막이도 떨어져 위태롭게 서 있습니다.
    한 달 전 벽면 마감재 한 개가 떨어져 나와 임시로 막아 놓고 사용하다가 최근엔 한꺼번에 무너져 내렸습니다.
    가족들이 집을 비운 사이 일어난 게 다행입니다.
    [OO아파트 입주민 A : "아이가 자주 이용하는 화장실인데 여기 만약에 아이가 있었을 때 이런 일이 일어났다면 얼마나 끔찍했을지..."]
    입주 4년 차를 맞은 이 아파트에서 이처럼 욕실 마감재에 문제가 생긴 사례는 이달 들어서만 40여 건.
    마감재가 들떠 떨어져 내리지 않도록 임시 방편으로 접착 테이프로 붙여놓은 경우도 허다합니다.
    이미 하자 보수를 받았어도 다시 떨어지기를 반복해 아예 화장실을 사용하지 않는 곳도 있습니다.
    [OO아파트 입주민 B : "무서워서 언제 이게 떨어질지도 모르고 테이프가 절대 튼튼한 거라고 제가 믿을 수가 없기 때문에..."]
    입주민들은 지을 때부터 마감재 시공이 잘 못 돼 전체 가구의 4분의 1가량이 피해를 봤다고 주장하며 전면 조사와 재시공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공사는 하자 보증기간 2년이 지난 데다 관련 소송이 진행 중이라며 현재로선 입주민의 요구를 들어줄 수 없다고 맞서고 있습니다.
    [아파트 시공사 관계자/음성변조 : "저희가 (지금 하자)처리를 해주면 이중적으로 처리를 받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은 맞지 않는다고 생각을 해요."]
    아파트 하자 문제로 매년 국토교통부에 접수되는 민원은 4천 건 안팎.
    올해는 7천4백 건을 넘어섰습니다.
    이 가운데 70%가량은 하자를 인정받지만, 나머지는 대부분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해 소송으로 이어집니다.
    결국, 긴 소송으로 인한 불안과 불편은 고스란히 입주민 몫으로 남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홍정표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 KBS 기사 원문보기 : news.kbs.co.kr/...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아파트 #시공 #부실

Комментарии • 783

  • @Sarah-ln7yf
    @Sarah-ln7yf 3 года назад +251

    시 공사 공개와 최소한 10년 이상의 공사 하자 책임을 법적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여러 외국에서 오랬 동안 건축 했던 많은 건설 토목 공사들이 지금까지 큰 문제가 없어 인정받는 이유는 무었 때문일까요?

    • @qIIIllIldj3h
      @qIIIllIldj3h 3 года назад +9

      층간소음 문제도 그렇고, 건설사에 국가적차원소송 먹여야함

    • @재범-o1w
      @재범-o1w 3 года назад

      하자보증기간 늘릴거면 밑에 하도급사들한테까지 제 값 하도급사 직원,실행 사람들한테 제대로된 값을쳐줘야지 이건 시스템, 행정부, 입법부 모두의 문제임

    • @xc90t8
      @xc90t8 3 года назад +1

      10년은 강산도 변하는데...

    • @길냥이-y1m
      @길냥이-y1m 3 года назад +6

      하도급이하도급하고 또 가격깍고 하도급또찾고 악순환임
      선시공후분양이좋음

    • @박수민-k1r
      @박수민-k1r 3 года назад

      시간,돈

  • @mavelyaromi
    @mavelyaromi 3 года назад +224

    우리집도 4년 넘었는데 욕실타일에 30키로짜리 거울선반 달려있는데도 멀쩡하게 잘붙어있음. 30키로 하중도 견디는데, 저건 그냥 벽인데도 떨어지다니 진짜 밀가루 반죽으로 붙인거아니냐ㅡㅡ접착제가 정품이 아니던가 단가 낮추려고 이물질 많이 섞은듯.

    • @오로라-s1w
      @오로라-s1w 3 года назад +18

      그건 아니고 인건비랑 시간 아낄려고 기술자 아닌 사람 데려다가 대충 붙인거에요

    • @강림-w7q
      @강림-w7q 3 года назад +26

      @@오로라-s1w 그건 아니고요 그냥 시멘트를 과하게 넣은거 아마도 타일시멘트가 문제인듯 제가 타일공 30년차 인데 모래와 시멘트 배합이 중요하죠 저건 미장용 쓰면 저래요 제가 업자들 엿 먹어라 하면서 쓰던거

    • @강림-w7q
      @강림-w7q 3 года назад +20

      @@오로라-s1w 생각해보니 예전에 미장용을 쓰기도 했는데 난 쓰면서도 이걸 왜? 쓰지 전 그나마 타일을 물에 적시고 붙이긴 했는데 20년전쯤 그당시에 그랬어요 난 반대 했는데 ㅂㅅ 들이 괜찮아요 하면서 쓰라고 분명히 하자 나거든요 벽째로 떨어져서 사모레 라고 시멘트와 모래 조합 타일은 보통 6~9대1 거기 넘으면 안돼요 그 편차는 모래의 점도 전 모래도 입에 넣어봤는데 미장용은 잘모르겠지만 더 끈적한 물론 타일공이 미장도 하는데 실력은 별로라서 우리집 미장 제가 했거든요 돈 아까워서

    • @일하고돈벌고놀고
      @일하고돈벌고놀고 3 года назад +2

      @@강림-w7q 타일은 경력 상관없음

    • @hyunwoocho8388
      @hyunwoocho8388 3 года назад +14

      @@일하고돈벌고놀고 무슨 개소리임ㅋ

  • @SH-zu5gx
    @SH-zu5gx 3 года назад +73

    하도급에서 과도한 입찰경쟁으로 인해 낮은비용과 단기 공정으로 무리한 시공이 이루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두번째는 건설사가 중요하기보다 그 현장에 배치되있는 기사들과 작업자들이 어떤 사건사고로 공기단축을 위했든 감리가 잘 안이루어졌든 문제가 있었을것

    • @이정운-p1f
      @이정운-p1f 3 года назад +1

      분양하면 끝. 저런회사는 미분양 나야 반성

  • @hjlim5173
    @hjlim5173 3 года назад +96

    하자보수의무기간을 악이용하는거네요. 겨우 그 기간만 넘길 정도로만 시공하는거지. 저런 사회악영향을 끼치는 업체는 망하게 해야지.

    • @행복해미쳐
      @행복해미쳐 3 года назад +1

      안망해요
      절대~
      우리나라 건설사 모두의
      자화상이고 행태입니다.
      저런걸 건설한다는 건설사들을
      과연 누가보호하고 잇는걸까요..
      우리세금좀먹는 좀비공무원들이요.
      죄값받을날 올거예요.

    • @75grosso
      @75grosso 3 года назад +3

      어떻게 하자보증기간에 맞춰서 시공을 합니까ㅋㅋ할수 있으면 정말 대단한 기술이네요
      그냥 지들딴에 이정도면 괜찮겠거니 하고 시공했는데 하자가 난거죠

    • @행복해미쳐
      @행복해미쳐 3 года назад +6

      @@75grosso 모르시는구나.
      삼전폰도 2년 에 한번 바꾸게
      만들어진다는거~
      외국의건물들은 100 년도 갑니다.
      한국의 아파트는 20년30년만에
      재건축해야되죠.
      그만큼 낡는속도가 빠르죠.
      아파트 마감재 살짝 얹은듯한
      디테일한 내부보셧나요?
      입이 떡벌어집니다.ㅎ

    • @성수동은수저
      @성수동은수저 3 года назад

      @@75grosso 시공할때 대충 안답니다 귀신같이 그 기간 지나면 하자남

  • @brianhwang5278
    @brianhwang5278 3 года назад +59

    아파트명 공개하고 해당 감리사 조사하자.

  • @착하게-t2v
    @착하게-t2v 3 года назад +49

    소송에서 이기면 징벌적배상하게 해야 소송전에 합의 할것이 틀림없는데 우리나라는 소송에서 이겨본들 변호사비 성공사례비 지급하고 나면 본전도 못찾습니다 변호사 좋은 일만 합니다 소송비용 청구소송은 다시 소송하라고 하니 법이 대한민국 판사, 검사, 변호사 배불리기 바쁘니

  • @tlightkim852
    @tlightkim852 3 года назад +19

    건설산업법에 타일 하자보수 기간이 정해져 있어요.
    거진 모든 하자는 2년 안팍으로 정해져 있어요.
    법으로 가면 시공이 불합리하다는 것을 밝혀야 하는데 쉽지 않아요…
    참고로 국내 아파트가격 마진률 엄청 높습니다.
    ‘아파트에 한해서는’ 추가적으로 하자보수기간 늘려야한다 생각드네요

    • @테레사할맘
      @테레사할맘 2 года назад

      단체소송,끝까지.하세요.조사들어가면,비리가있을겁니다!

  • @조커-z7p
    @조커-z7p 3 года назад +137

    어휴 아니 무슨 시공사가 발뺌하면 끝나는건가?? 법이 너무 쓰레기 같네

    • @qIIIllIldj3h
      @qIIIllIldj3h 3 года назад +7

      층간소음 문제도 그렇고, 건설사에 국가적차원소송 먹여야함.

    • @qIIIllIldj3h
      @qIIIllIldj3h 3 года назад +6

      건설사가 워낙 굴리는돈이 크다보니, 정치인들 로비하는게 쉬워서

    • @김나라라병아리
      @김나라라병아리 3 года назад +1

      저희도 분양받은지 1년됐는데
      화장실 타일이 뜹니다
      ㅂㅇ 공사를 똑바로하든지
      하자보수를 해주던지
      진짜 가진가가 법이내

    • @poojp001
      @poojp001 3 года назад

      머 헬조선 개돼지 국가니까요 처벌이 약하고 정치하는 국개의원은 그냥 자기밥그릇 챙기기 바쁘니

    • @롤케익
      @롤케익 3 года назад +1

      미국 총기협회 포지션 = 한국 건축시공사 포지션

  • @WDL7228
    @WDL7228 3 года назад +20

    국회여 일하라....악덕 건설업자모두 구속하고 전재산 압류...뉴스에 건설사 명기토록하고.....건설업면허취소 경영진 전부 30년이상 징역형에 1조원의 징벌적 배상토록 건설업에 오렌지법을 도입하라....

  • @쌀과보리의쌀보리
    @쌀과보리의쌀보리 3 года назад +8

    소송을 가면 결국 입주민이 하자 수리 받을꺼에요.
    다만 소송이 한 두달만에 끝나는 것도 아니고 1~2년은 기본 갈텐데... 문제는 그 시간 동안 입주민들은 해당 아파트에서 살아야하기에...
    울면서 자기가 수리를 해야하죠 ...

  • @cklee-gw2pr
    @cklee-gw2pr 29 дней назад +1

    나도 4년차 신축인데 욕실타일 툭터지고, 깨지고, 금가고해서 욕실가기가 겁나는데 시공사는 하자보수기간 지났다고 못해준단다.
    부실시공 해 놓고 지네 책임 아니라는 시공사에게 법적 책임을 묻지 않는 국토부는 왜 존재하는거냐?

  • @츕추파
    @츕추파 3 года назад +21

    기존에 타일 부착 공법이 시멘몰탈로 붙치는 떠발이 라는 공법인데 다음에 하자보수 받을때 다른공법 으로 해달라고 하세요 그럼 업체쪽에서 기존 벽이 나빠서 하기 힘들다고 할거에요 그러면 입주자는 시간이 오래 걸려도 좋으니 벽 좋게 만든 다음 계량압착 공법으로 필히 해달라고 하세요
    계량압착 공법이 떠발이 공법 보다 좋은공법 입니다
    그리고 가만히 생각 해보면 똑같은 공법으로
    하자보수 받으면 똑같은 일은 또 생기지 않을까요 ㅋㅋ

    • @오들휘
      @오들휘 3 года назад

      와~그렇군요

    • @한얼-k1s
      @한얼-k1s 3 года назад

      그렇게 하면 아파트 분양가는 상승하겠죠. ㅋㅋ 그렇게 분양가 상승하면 저 건설사 아파트 분양 안될텐데요?ㅋ 단순하게 생각하면 맞는 말이지만 몰라서 안하는거 아닙니다.

    • @강림-w7q
      @강림-w7q 3 года назад +1

      흐흠 그건좀 그러네요 타일공 이라서 그런데 압착 시공이 단가는 싸요 회사는 고생이죠 일본이 타일은 잘하죠 문제는 단가가 한국의 2~5배 미국이나 호주 유럽도 최소한 3~5배 한국보다는

    • @한얼-k1s
      @한얼-k1s 3 года назад +1

      @@강림-w7q 바닥은 더 쌀수도있는데 벽 입착은 더 비싸요. 공종이 하나가 더들어가고 공기도 더 길죠

    • @sanglee7877
      @sanglee7877 3 года назад +5

      @@한얼-k1s 이미 분양가를 ㅈ나게 올려 받아놓고 무슨 소리

  • @권우찬-c4y
    @권우찬-c4y 3 года назад +87

    국토부가 쓰레기 같으니 매번 이런일이 반복되고 있지

  • @사랑-h2l
    @사랑-h2l 3 года назад +117

    국가에서 건축물을 하나하나 다 관리해야 하는 상황이 온거네요.

    • @필승6년전
      @필승6년전 3 года назад +7

      @gamer ㅋㅋ 지금 가격도 정상은 아닌거같은데

    • @zmfhlwl
      @zmfhlwl 3 года назад +1

      지금도 아파트 감리하잖아? 하자보상 기간을 늘리던가 감리인력을 보충해야된다고하면 수긍이되는데 이건 뭔소리지? 아몰랑 큰정부충?

    • @morakano7
      @morakano7 3 года назад +2

      이걸 왜 국가에서 관리 해야 되는거죠? 국가에서 관리 한다고 더 나아질 건 있나요?

    • @사랑-h2l
      @사랑-h2l 3 года назад

      민간에 맡기니 민간이 제대로 하나요? 전 그런걸 본적이 없어서요. 그리고 엄밀히 말하면 국가가 아니라 군에서 해야 하는게 맞는거구요. 김영삼 때부터 지금까지 함 보시죠. 정치권을 민간에 맡겨서 경제에서 안보까지 아파트에서 토목에 이르기까지 제대로 된건 하나도 없어요.

    • @monster__119
      @monster__119 3 года назад

      국가에서 해도 비슷함
      뒷돈만 받음

  • @지현-x1h2y
    @지현-x1h2y 3 года назад +8

    시공사는 소송을 은근히
    바라고 있어요!
    제가 신규 입주아파트
    관리과장으로 2년 근무했었는데
    소송을 은근히 바라더라고요
    소송을 진행하면 하자보수는
    중단됩니다.

    • @franceair5114
      @franceair5114 2 года назад

      어차피 보수 안해줄거 소송이라도 해야겟죠

  • @tomtom-ht3ns
    @tomtom-ht3ns 3 года назад +27

    저런 무능한 업체는 실명을 공개해서
    매장 시키고 공사비 다 토해내게 해서
    다른업체에 맏겨야 한다
    저런 업체는 건설 현장에 암 덩어리다

  • @lunajun2598
    @lunajun2598 3 года назад +45

    아파트명과 시공사를
    공개하라고!
    쉬쉬하는게 좋은게아님

    • @ksoul2439
      @ksoul2439 3 года назад +1

      집값떨어진다고 아파트명 공개는 절대안함 ㅋ

  • @Chamchikim
    @Chamchikim 3 года назад +19

    요즘 신축아파트 저런곳 엄청 많습니다. 대한민국 현실은 피해자를 보호해주기는 힘든 실정이고요.

  • @어이쿠손이미끄러-h5i
    @어이쿠손이미끄러-h5i 3 года назад +78

    1. 저런 시공방법을 현장에서는 [떠발이]라고 합니다.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타일 뒷면에 접착 시멘트를 바르고 그 상태로 벽면에 붙이는 식이죠. 쉽게 생각한다면 씹던 껌을 종이 위에 올려두고 그 종이를 벽에 붙이는 것을 떠올리시면 됩니다.
    2. 저런 방식은 벽면이 불균일 할 경우 유효합니다. 어차피 타일을 붙일 벽면이라면 면이 울퉁불퉁, 그러니까 데꼬보꼬 지더라도 시공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죠.
    3. 그러나, 쉽게 알 수 있는 것처럼 시공자의 기술에 의존한다는 것과 현장의 여건에 크게 좌우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4. 실제 시공현장을 보지 못해서 뭐라 말씀드리기 조심스럽습니다만, 가정집도 그렇고 추세는 타일의 대형화 입니다. 아주 예전 200각 짜리 타일은 현장에서는 안 쓰죠. 영상을 보니까 떠발이 한 뒤에 시멘이 뭉텅이로 있던데, 유로폼 사용했는데 저 정도로 레벨을 맞춰야 할 벽면이 나올까...싶습니다.
    5. 떠발이 하는 시맨트 양은 접착력이 나온다는 전재하여 적을수록 좋습니다. 양생시간도 단축될 뿐 아니라, 벽과 타일 사이의 공간이 이격되면 그만큼 하자생길 확률이 높아지거든요.
    6.벽면이 잘 나와서 [본드발이]라고 하는 세라픽스라는 접착제를 사용해서 그냥 발라버리거나 아니면 방수석고보드를 치고 그 위에다가 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7. 오히려 지금은 제대로 떠발이 할 줄 아는 기술자가 드뭅니다. 저런 APT현장이라면 몇 개 팀이 나눠서 들어갔을 텐데...뭐 복불복 이라고 밖에는///

    • @zihunlee1539
      @zihunlee1539 3 года назад +6

      비슷한쪽 노동을 하는 사람입니다. 확실히 전문가적인 견해인거 같아서 크게 공감합니다.

    • @한얼-k1s
      @한얼-k1s 3 года назад +8

      저렇게 단체로 떨어지는건 자재 하자일 가능성이 높죠. 아무리 시공자들의 실력이 편차가 있더라도 저렇게 떨어지진 않아요. 타일용 레미탈 문제이거나 콘크리트 면처리 하는 프라이머(몰다인) 문제일 가능성이 가장 큽니다. 진짜 개초짜 바보 기술자 아니고서야 저렇게 대단위 하자 나기 힘들어요. 그리고 한사람이 시공하지 않을진데 시공자 탓하긴 인과성이 매우 떨어지죠. 자재가 잘못되있으면 초초초특급 시공자 할애비가 와도 하자 납니다. 시공자 문제로 보이진 않아요. 그리고 아파트는 벽식구조라 건식공법(방수 석고나 CRC보드) 안씁니다. 모듈러나 목조, 조립식 또는 넓은 공간에 새로 욕실이나 화장실을 만들때 쓰고요. 거기다 건식은 비노출 우레탄 방수나 시트방수를 해야되서 단가 자체가 많이 상승하죠. 그냥 시공자 관점에서만 바라보면 안되죠.

    • @한얼-k1s
      @한얼-k1s 3 года назад

      @무제 방수를 이야기하게 아니라 본글 분이 방수석고 이야기를 하시길레 아파트에서는 안쓴다고한것뿐이에요

    • @한얼-k1s
      @한얼-k1s 3 года назад

      @무제 그 문제는 아니고 저상태에서 미장을하고 입착시공을 하면 됩니다 문제는 분양가 상승으로 나오겠죠 결국 비용문제고 소비자는 싼걸 찾는다는거죠 ㅋ 결국 시공잘해봐야 분양이 안되는 딜레마에 빠질수도 있어요

    • @바실리카
      @바실리카 3 года назад

      떠발이는 떨어지는 시공방법같아요

  • @박노상-j8e
    @박노상-j8e 3 года назад +23

    건설사
    공개하세요.

    • @bsy6110
      @bsy6110 3 года назад

      ㅋ 일반 민 간 업체 죠

  • @globalrichperson2534
    @globalrichperson2534 Год назад +1

    아파트 비싸게 분양하고 짓을때는 저까치 짓어 놓고 이제 와서 보증기간 끝났다고 수리 못 해준다 ㅋㅋ

  • @mash8554
    @mash8554 3 года назад +6

    부실시공 맞습니다.
    하자보수 기간이 지났다해도 부실시공이니
    하자보수 강하게 밀어 붙히세요.
    어느 회사인지는 모르겠지만

  • @jamindewhite6659
    @jamindewhite6659 3 года назад +13

    하자보수를 어떻게 해야 한다는 법은 잘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그 법을 지키지 않았을때 벌칙규정은 미비 합니다.
    법령상으로 딱 2가지 있습니다.

  • @그냥타일
    @그냥타일 3 года назад +65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대부분 원인은
    1.날씨가 추워짐에 따라 수축팽창 반복으로 들뜸
    2.저 시공법은 떠발이 인데 타일이 물을 충분히 먹지 않은 상태에서 시공
    혹은 사모래 배합불량
    3. 1차 시멘 방수배합 문제로 떠발이 밥과 통째로 떨어짐.
    4. 타일 시공후 사춤(사모래로 밥을 채워주는작업) 을 해주지 않음
    정도가 될려나요..

    • @지구최강자
      @지구최강자 3 года назад +4

      저의생각은 동절기 공사한거같네요

    • @예진-p5d
      @예진-p5d 3 года назад +3

      전문가의 존재를 뿜뿜 간지

    • @샤넬보스-u9p
      @샤넬보스-u9p 3 года назад +3

      5. 최저 입찰로 너무 싼 가격에 공사를 해서?

    • @chimsuyeom_pirates
      @chimsuyeom_pirates 3 года назад

      전 금가면 다시 띄어내서 실리콘 쏘는데,,,,

    • @kuknam
      @kuknam 3 года назад +4

      떨어진 타일을 보면 타일 떡밥이 벽의 시멘트 액체방수와 같이 떨어져 있습니다.
      액체방수가 떨어진 벽을 보면 견출을 한것처럼 매끄러워 보이네요.
      방수를 해야 하는 벽면에
      1. 견출 실시 (도장마감외에는 보통 노출마감의 벽에 견출 실시)
      혹은
      2. 골조 벽체 콘크리트의 미려한 면 마감을 위해 고로슬래그 배합시 배합비 불량.
      이렇게 견출벽면 혹은 고로슬래그 배합이 불량한 벽면에 액체방수를 실시하여 골조면과 방수면의 접착이 불량한걸수도 있을듯 합니다.

  • @오들휘
    @오들휘 3 года назад +10

    우리집은30년지나도 거뜬한데 저건 부실공사네.보상해라

  • @ksado99
    @ksado99 3 года назад +8

    이중처리가 문제가 아니라 애시당초 시공에 문제가 있어 발생 한 것이라면 시공사의 책임아닌가???????????그리고 하자 보수 기긴도 문제........너무 짧다.......우리가 그렇게나 좋아하는 미국 하자보수기간 5년 이며 일정 부분의경우는 최대 10년까지 보장한다. 외국 수주 아파트들만 잘지으면 모하나 내수는 하자보수도 기긴도 잛은고 전국에 부실 시공 아파트는 천지고.......

  • @srv408
    @srv408 2 года назад +1

    이게 건설사 어디임?

  • @나비무늬-t8y
    @나비무늬-t8y 3 года назад +12

    1. 콘크리트 골조에 시멘트 액체방수 하자
    2. 액체방수위 2차 비노출 방수 누락.
    3. 타일 부착의 시멘트 몰탈 채우기 불량.
    4. 타일 부착시 긴결 철물 누락.
    5. 화장실 유리 칸막이 고정 설치시 칼블럭 철물 길이 현저히 짧음.
    6. 칼블럭 고정시 건식 케미컬 미 주입.

    • @오필리아-p4v
      @오필리아-p4v 3 года назад +1

      칼블럭은 생각 못했는데 칼블럭은 시공자 100퍼 하자네요

    • @kye37102
      @kye37102 3 года назад

      몰탈 배합비 불량과 타일밥 채우기 불량이 주요 하자죠.

  • @박정훈-f3j
    @박정훈-f3j 3 года назад +14

    저 정도면 바닥은 온갖 잡동사니 자재 쓰레기가 묻혀 있겠는데?

  • @ngede80
    @ngede80 3 года назад +13

    외국인 노동자 쓴 댓가~
    특히 중국인들~~
    업체 선택이 문제~

  • @하람이네대빵
    @하람이네대빵 3 года назад +16

    이런 아파트 시공사좀 공개하자..
    앞으로 좀 피해자가 덜 나오게

  • @위드미-g7m
    @위드미-g7m 3 года назад +7

    참 이 나라는 법이 이상해....
    하다못해 천원짜리도 이상있으면 환불해주는데 가장 비싼 자동차나 집은 환불이 안됨.

    • @_LJH_
      @_LJH_ 3 года назад

      당연히 천원짜리는 판매자도 부담이 별로 없으니 쉽게 환불이 되는거지 비쌀수록 환불받기 어려운건 세상의 이치임

  • @김진오-g5m
    @김진오-g5m 3 года назад +30

    바짝마른 콘크리트 옹벽에다 떨발이로 시공할때는 옹벽에 물을 적당히 흡수되게큼 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에 타일 붙임용 몰탈을 쓸때도 시멘트와 모래 섞이는 비율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시멘트가 많이 첨가될수록 이렇게 들뜨는 하자가 생기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숙련된 타일기공들은 이런 원인을 잘 알것입니다.

    • @훗훗-e3x
      @훗훗-e3x 3 года назад

      몰탈 시멘트 모래 비율 문제가 아니에요 요새 아파트 짓는데 직접 걲어 씁니까 제품으로 다 나오는데

    • @훗훗-e3x
      @훗훗-e3x 3 года назад

      @@3261-y7o 아파트는요 그걸 섞어 쓸 공간이 없어요 1층서 섞어서 날라다 하겠어요? 타일용 몰탈이 20킬로 포장되서 다 있어요 요새 다 그거 씁니다

  • @RFC-el9gw
    @RFC-el9gw 3 года назад +42

    원가절감 아파트는 승강기만 보더라도 판별가능 ㅋ

    • @xc90t8
      @xc90t8 3 года назад +2

      저도 집 보러 갈 때 승강기 제조사 부터 확인 함ㅋㅋ

    • @흰토끼-k4d
      @흰토끼-k4d 3 года назад

      오호 좀만더 알려주세요 괜찮은 제조사 이름 이라던가

    • @RFC-el9gw
      @RFC-el9gw 3 года назад +1

      @@흰토끼-k4d 오티스 랑 미쓰비시가 비싸긴 한데. 현업분들 말로는 미쓰비시가 비싼만큼 부품에 원가절감도 하지않았다 라는게 그 업계 이야기 입니다

    • @흰토끼-k4d
      @흰토끼-k4d 3 года назад

      @@RFC-el9gw 좋은정보 얻어갑니다ㅎ

    • @buckle_up
      @buckle_up 3 года назад

      @@RFC-el9gw 오티쓰 회사에 이번에 새로들어왔는데 완전 개판으로 일하던데 / 오티스는 거르는게 좋다 차라리 현대엘베가 좋은듯

  • @강력반영구
    @강력반영구 3 года назад +6

    어느지역 어디 아파트까지 나와야지 ㅠ

  • @물멍게-z7e
    @물멍게-z7e 3 года назад +13

    시공할때 빈공간 없이 시공해야 하는데 공간이 생기면 온도 차이로 인해 공기가 팽창 수축을 하다가 어느 순간에 타일이 깨지거나 무너져 내립니다. 입주할때 타일을 두드려보고 빈 소리가 나면 바로 하자 보수 신청해야 합니다.

    • @kye37102
      @kye37102 3 года назад +2

      80%이상 채워야하는데 영상에서보면 무척 부실하죠. 몰탈배합비도 엄망아닐까 싶네요.

    • @한국대한민국-x9c
      @한국대한민국-x9c 3 года назад

      그렇게 공사하면 그 만큼 공사비 줘야 하는데 어느 시공사가 그 비용처리 해줍니까....

    • @용박-b7m
      @용박-b7m Год назад

      빈공간이 있어서 하자가 생긴다는 말은 어설픈 지식이네요.... 영상을 보아하니 자재 문제로 보입니다(베합)

  • @라이프굿-l6v
    @라이프굿-l6v 3 года назад

    타일에 시멘트 살짝발라서 붙인게 끝인가? 저건 언제라도 떨어질수 있는 부분아닌가요 안쪽에 시멘트를전체는 아니지만 그래도 어느정도 매워준다면
    같은 하자가 없을꺼같은데아쉽네요..
    총각때 오피스텔때도 그렇고 지금 아파트도 그렇고 화장실벽면 저렇게 시공하면 결국은 깨지거나 떨어지는게 당연한듯요..
    하자보수기간 따지지말고 해결해주길............

  • @박수봉-b5c
    @박수봉-b5c 3 года назад +2

    건설비리는 엄벌. 권력 등이 개입할 수 없도록 벌금은 물론 추징금까지 이익의 5~10배로 부과하고 형사상 중형으로 다스려야.

  • @이상헌-q2g
    @이상헌-q2g 3 года назад +6

    요즘 새집보다 10년정도된 중고집이 더 튼튼하고 잘지은거 같더라.

  • @하늘꾸리
    @하늘꾸리 3 года назад +1

    저희집도 그래요 일년에 한번싞 계속 이런현상이 일어납니다
    시공을 해도 계속 이런 현상이 일어나니 저희는 시공 조차도 안하고 그냥 살고 있어요 원인은 땜빵 시맨 타일의 크기가 넘 커서 그렇다고 시공 하시는 분들이 이야기를 하내요 어떻게 해야 답이 될런지 답이 없내요

  • @MemoroMotoCustom
    @MemoroMotoCustom 3 года назад

    시공사, 즉 원청입니다. 시공사에서 직원이 타일 붙이지는 않습니다.
    하청을 주죠. 하청은 타일을 도매상에서 구매합니다. 타일본드 또는 몰탈을 비율에 맞게 섞어서 벽에 바르고 레이저 수평기로 라인을 잡고 타일을 시공합니다.
    결국 돈이 제일 많이 드는건 인건비입니다. 시공 후 보통 일주일 정도 타일 시공한 사람이 하자를 봐주긴 하죠.
    부실 시공이라고 하기도 힘든 부분은 욕실은 타일,몰탈,매지 보통 이것뿐인데, 재시공해도 같은 문제라면 욕실 벽이 결로가 있던지, 건물이 틀어짐이 생겨서 타일이 밀리는 겁니다.

  • @hanakim4678
    @hanakim4678 3 года назад +2

    온갖 혹한조건에서 운행하는 자동차도 3~5년 안에는 거의 문제 생기지 않는다. 그래서 보증조건도 3년6만킬로 5년 10만 킬로이고. 근데 빈집도 아니고 사람 살고 있는 집이라면 최상의 조건인데. 외장제도 아니고 내장제가 저런 문제가 생긴다는건 부실 공사 일 수 밖에 없다. 3년 전 우리가게 70평 인테리어 할 때 업체에 안 맡기고 따로 일꾼들 구해서 나도 같이 거들면서 한달 반 동안 인테리어 주먹구구식으로 했지만 그래도 저런 문제는 안 생긴다.

  • @kwon_na_gyeongTV
    @kwon_na_gyeongTV 2 года назад

    우라나라 떠붙임 공법을 금지해야 합니다. 보증 되지는 않는 공법을 하는게 문제 인거죠, 외국 처럼 등급이 있는 접착제를 사용 하는게 하자가 없는 법이죠, 우리나라 브랜드 아파트 칸띄기 전문가가 해도 아무리 잘해도 하자가 시간이 지나면 무조건 생깁니다.

  • @E.Y-v5e
    @E.Y-v5e Месяц назад

    우리집도 4년된 아파트인데 거실화장실 타일이 금가기 시작해서 관리사무소 물어봤더니 하자 보수기간 끝났다고함 아니 무서워서 살겠나??언제 깨질지 모르는 공포감에 떨고있어야하나???

  • @이명희-r7n9g
    @이명희-r7n9g 3 года назад +4

    타일기술이 부족해서 일어난 사고 저러고도 업주들은 나몰라라 어이가없다 하자보수 외면하면 반드시 형사처벌 해야한다

  • @별이랑-k2b
    @별이랑-k2b 3 года назад +10

    공사를 잘못 하니까 저렇지! 인테리어 공사를 해보면 전문가들은 틀리다.
    혹시나 직접 시공 같은거 하시는 분들은 정말 정밀하게 해야 합니다. 어느날 화장실 세면대 (벽에 붙어 있었음. 큰거울)거울이 갑자기 뚝 떨어져 박살 난 적이 있었어요. 이사오기전부터 있었던 거울이였어요. 이사와서 오래 살았어요. 그런데 어느날 갑자기 그런 일이 생겼어요.

  • @엘로라도
    @엘로라도 3 года назад +1

    어느건설회사일까?

  • @111gunner
    @111gunner 3 года назад

    타일과 타일 시멘트는 온전한데 방수층 보호 몰탈이 떨어져 나간걸로 보이네요
    아 참 에메하네요...
    타일에 몰탈 올려논걸로 보면 (일명 떠바리) 시공 상태를 보면 타일 기술자는
    일은 잘하는 사람이 한걸로 보이는데..
    업계에서는 시공방법 자체로 문제를 제기하기도 하는상황이라..
    떠바리 시공 자체가 잘못이라고 하면 타일문제인데
    지금 화면상으로 보면 방수층이 뜯겨저 나간거라
    타일 시공자는 잘못이 없어요
    혹시 욕실 방수를 할때 동계에 시공한게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드네요..

  • @JonguLim
    @JonguLim 3 года назад

    타일 부실 시공이며 현재 방법은 입주 시 두드려서 확인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타일 시공도 그렇고 새시 시공도 그렇고 부실공사가 많은 데 이걸 일반 소비자가 다 점검하기 힘듭니다. 이런 걸 전문적으로 검사하는 서비스가 있어야 하고 이건 건설업체가 아니라 입주민회에서 선정하고 주체하는 그런 절차와 제도가 있어야 됩니다. 그래야 제대로 검사합니다. 또한 입주 후 일정주기로 교체해야 하는 자재들도 많기에 입주민회에서 자재 목록과 도면을 제공받아야 됩니다.

  • @오건-h7r
    @오건-h7r 3 года назад +13

    유리문 고정 칼부록 깊이가 타일에만 고정 최소한 콘크리트 50mm이상 박혀야하는데 칼부록 짧은걸 썼다 시공한놈 미친 놈이냐 그러니까 유리문이 타일을 당기면서 통채로 떨어지지 그리고 욕실 타일 시공은 타일 본트 시공해야지

  • @하딘10서버
    @하딘10서버 3 года назад

    저희집도 3년 밖에 안되고 2년일때 매매로 구매를 해서 현재 살고 있습니다. 화장실에 있는 타일들이 큰 소리가 나면서 금이 갔습니다. 업체에 전화를 해서 문의를 했더니 하자보수 2년 지나서 개인적으로 수리를 해야 한다고 하네요. 어이 없네요 그리고 날씨가 겨울이였는데 밖에 공기하고 안 공기가 차이가 나며는 추위때문에 금이 갈수 있다고 하네요 업체에서요 어이 없는말만 합니다.

  • @Bichon-friselove
    @Bichon-friselove Год назад

    콘크리트면에 타일 접착제 시공해야 되는거 아닌가요?
    벽체보니 (견출면)풀칠면에 붙여놔서 접착이 오래 못간듯 해보이네요

  • @sung7664
    @sung7664 3 года назад +5

    30년 넘은 주택에서 20년 넘게 살고 있지만....부실 시공은 1도 없어...벽이 튼튼해서 이대로라면 몇십년도 유지 가능한 상태...아파트가 안 부러운 이유다...내가 살기 좋은 집이 진정한 집이라고 생각함...저거보면 아파트 쓸때 없이 비싼거야...비싸면 그만큼의 가치가 있어줘야 되는 거잖아...저 거지 같은 집을 청약 받고 당첨돼서 얼마나 좋아했을까?...집 좀 단디 못 짓으면 아예 분양하지 마라...저 집에 사시는 분들 울분을 토하게 생겼네...

  • @zmfhlwl
    @zmfhlwl 3 года назад

    우리동네다! 집값 떨어질걱정하지말고 항의할껀 강하게하시길

  • @루웃자
    @루웃자 3 года назад +13

    옆에 수화 해주시는 선생님 표정이 너무 리얼해서 선생님 한테만 집중된다...........시선이

    • @yangaudi
      @yangaudi 3 года назад

      표정연기 대박이네요 ㅎㅎ

    • @예수-e3s
      @예수-e3s 3 года назад

      다시보니 보임 ㅋㅋㅋㅋ
      지리네요 ㅋㅋㅋㅋ

  • @AllLookSoGood
    @AllLookSoGood 3 года назад

    전형적인 박리현상인데 저게 어떤 의식구조를 지니면 저런 무책임한 발상을 하고 싶은건지?
    원인이야 다양하겠지만, 모재와 접착재간의 불순물 비제거 혹은 접착제의 강도부족 혹은 건물골조와 타일의 현격한 신축률차이
    아마 세기도 어려울만큼 여러 매개변수가 존재할 것이고 그거 제대로 분석하고 판정하는것도 기술적인 문제와 이권의 복잡미묘한 개입
    그리고, 행정과 법리유권해석간의 괴리...결론은 소비자들에게 쉽지 않아보이네요.
    그래도 지름길 가려거든 아파트가 집단으로 잘나가는 법률대리인 선정해서 대리전으로 가야하지 싶습니다.

  • @봉고3
    @봉고3 3 года назад

    쉽지 않을 듯합니다.
    장사 입장에선 보증기간 끝나면 안해주는게 맞는거고
    소비자 입장에선 아쉬운 거고
    자동차도 보증기간 끝나기 무섭게 여기 저기서 고장이나기 시작함
    핸드폰 할부끝날때쯤 폰이 불편해지기 시작 바꿀수 밖에 없는 상황이 옴

  • @백종범-l1q
    @백종범-l1q 3 года назад

    타일 시공하는 사람이 초보였나 혹은 애매하게 시공했나
    타일 잘 안떨어지는데 어찌 시공한것인지..............
    건설업 종사자로써 참 깝깝하네요
    저거 시공할때 타일 시공 업체 불러서 시공 했을건데
    당장은 잘 붙어 있으니까 감리에서 넘어갔을거고
    하..
    진짜 건축 업자들 대충 공사하지말고 주거 시설이든 상업 시설이든
    제대로 정성껏 시공했으면 좋겠습니다 ㅠㅠ

  • @sempeepo2107
    @sempeepo2107 3 года назад +2

    타일이 저러면? 10년이 지나면 아파트 무너지나?

  • @1inyong
    @1inyong Год назад

    마래푸도 쉬쉬해서 그렇지, 대부분 세대 입주시공 변기는 몇 년뒤 반드시 깨지고 화장실 타일도 떨어지고 깨지는 집 수두룩 함.

  • @dkswjdqls456
    @dkswjdqls456 3 года назад

    아니 타일 뒤에 저 시멘트 저렇게만 붙이는게 맞나요??.. 벽면 전체를 다 시멘트 칠하고 붙여야 하는거 아닌가요?

  • @bigbingbig7735
    @bigbingbig7735 3 года назад +1

    타일붙일때 타일용 본드나 에폭시를 안쓰고 시멘트로 땜빵하니 균열간거 아닌가... 게다가 화장실에 물이 뭍을게 뻔한데 시멘트 타일을 떡칠 해놧고 방수용 시멘트인가??

  • @soungwook1971
    @soungwook1971 3 года назад

    공사중에 인거비 자재아끼려고 싼하청이 문제일거 같네요 겉만 번지르르하게하고 그것만 중시하는 사람들도 문제이죠
    그것도 아시나요 벽속배관도 아파트건 관 싸이즈가 작아요 나중에 누수터지면 그런 배관부속 찾으면 없다는거
    다 자재비에서 줄이는 문제죠

  • @hunkim9851
    @hunkim9851 3 года назад +1

    이런거 보면 신축들어갈필요가없음. 95년도에 삼풍 붕괴 일어나고 건축법이 강화되서 90년대 후반 지어진 아파트들이 제일 튼튼하고 폐기물 시멘트도 안쓰고 깨끗하고 안전하게 지었음.

  • @큰대추
    @큰대추 3 года назад +32

    영상에서 보면 시멘트밥이 타일쪽에는 붙어있지만 벽면에는 모조리 탈락되어 있는거 보면 시멘트밥의 문제가 아닌 벽면 몰다인(프라이머)쪽의 문제로 보입니다.
    아마 포세린 타일을 붙일거라 판단해서 벽면에 흡습이 안되는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떠발이 시멘트밥이 지탱을 하지 못하고 우수수 떨어진걸로 봅니다

    • @gonomcham522
      @gonomcham522 3 года назад

      맞아요 저건 부실시공이죠

    • @끄이하네
      @끄이하네 3 года назад

      어떤 자재 쓰기로했는지 조사를 해야한다고 봅니다 말도안되는 하자네요.

    • @큰대추
      @큰대추 3 года назад

      @@끄이하네 신축시 시공서류에 욕실 타일을 포세린으로 쓰는지, 도기질 타일로 쓰는지 확인하면 바로 파악이 가능합니다.
      시공서에 포세린 타일 시공으로 명시된거라면 중간에 횡령착복한것이고, 도기질 타일 시공으로 명시한거라면 흡습 안되는 프라이머 도포한걸 타일 붙이는 사람한테 인수인계를 안해서 발생한걸로 추측되어 집니다.

  • @불가살단활
    @불가살단활 3 года назад

    타일 특히 화장실 이라는곳이 습하기에타일이 떨어지고 뜨는경우가 많습니다 노가다 댕기면서 알개된건대 건물 즉 특정 지형아파트들이 유독 이런경우가 많을걸 들었고 직접 철거작업하러 가보면 희안하개 그동만 그아파트만 그런경우 봤습니다 같은시기 같은업자들이 작업했어두 틀린거죠 왜그런지는 몰지만일단 타일 뿌래카로 철거하다보면 일단 물기가많음요 그건 다른곳 아파트들에서는 볼수없을 정도임

  • @cool8570
    @cool8570 3 года назад +1

    시공사가 책임지고 또 하청업체에 충분히 돈주고 시공요구 하자시 하청업체에 배상요구 법 만들어 놓아야함 . 그래야 하청업체도 장인정신 가지고 시공함
    이런법 만들어 놓아야 하청업체들도 섯불리 돈안되는 공사 참여안함 , 돈 조금 주고 공기 단축 닥달하니 대충 발라놓는것임 제대로 받고 제대로 시공 가능한곳만 참여하고 그래야 함

  • @애인이필요하오
    @애인이필요하오 3 года назад

    하자 제일 간편하게 알아볼수있는 방법..
    두둘겨 봐서 텅텅 빈소리가 난다 하자 초기 증상입니다...밥을 재대로 안줘서 나는 소리입니다..
    더 말하고 싶은데..장문은 저랑 안맞아서리여.ㅎㅎ

  • @황당무개
    @황당무개 3 года назад

    이게 왜 그런지 아십니까?
    추운 겨울날 시공해서 그렇습니다
    겨울철에 타일붙힌건 다 떨어집니다
    날씨가 춥거나 겨울철에는 습식 공사를 하지 말아야 합니다
    타일도 시공 잘되어 있음 10년이상도 그대로 있습니다

  • @fsunos98
    @fsunos98 3 года назад

    인테리어관련 직종이신분들 뭐가 문제라서 저렇게 다 타일이 들떠버린건가요?

  • @mcu_y7143
    @mcu_y7143 3 года назад +3

    삼성레미안 사원들은 준공전 검사할때 저런거 손망치로 퉁퉁치다가 텅텅빈소리들리면 바로부시고 사진찍어가고 그랬는데 부실공사하면 준공전검사때 얄짤없이 부셔버리고 다시하라고해야하는데 감리잘못이지~

    • @ak_allin
      @ak_allin 3 года назад +1

      레미안직원이 개양아친거에요ㅋㅋ평소에관리감독해서 바로잡어야지 준공때 걸리는것만 다뿌시고ㅋㅋ 그거갑질이고 기물파손입니다

  • @KimCD-r8t
    @KimCD-r8t 3 года назад

    보증 기간이 지났다고 꺼지라고 한다면,
    부실 공사로 고소 하시기 바라며
    타일 관련 전문가에게 타일이 접착되고 떨어진 사진을 보여준후 공사가 부실이였다는 상담 내용을 첨부하여 법원및 담당 변호사에게 제출 하여 시공사를 엿먹이기 바랍니다.
    애초에 떨어지게 만든 공사였다! 라는것을 입증하시면 됩니다.
    법원에 제출시,
    현 부실 공사 사진과 오리지널 작업 사진을 둘다 제출하여 판사가 비교 판단 할수 있게 하시기 바랍니다.

  • @락동죽돌이
    @락동죽돌이 3 года назад

    근데 4년은 좀 ㄷㄷ 언제까지 보증해줘야 하나요? 궁금하네요

  • @별성욱
    @별성욱 3 года назад +1

    아파트 후분양 제해라

  • @god8535
    @god8535 3 года назад

    보기엔 단열시공제대로 안하고 타일붙여서 떨어진것같은데 시공한지도 4년밖에 되지않았고 개인적으로 저정도는 시공한 업체측에서 해결해줘야하는게 맞다고봅니다 누가요즘 저렇게 시공하나요?

  • @teamzhangmoon4935
    @teamzhangmoon4935 3 года назад

    저 시공사 어딘가요??

  • @껀껀사사
    @껀껀사사 3 года назад +7

    내가 백수일때 파견근로 사무실로 몇번 일나간적 있음. 승합차 타고 아파트 건설 현장 가면 전부 나같이 건설업 처음인 사람과 외국인들만 있음 대충 설명듣고 일하는데 아파트 안 무너지는게 다행이지...

  • @DD-fl6ff
    @DD-fl6ff 3 года назад

    어느 시공사인가요?

  • @찐과학
    @찐과학 3 года назад

    매년 수천건이 접수되면 접수되는 업체들 전부 공개를 좀 해라..............................왜 가만히 놔두냐

  • @로즈-v6n
    @로즈-v6n 3 года назад

    시공사가 어디에요?

  • @ahnseungjai9172
    @ahnseungjai9172 3 года назад

    시공사가 어디인지 알려주시면 참 좋을 것 같네요.

  • @lorencia12320
    @lorencia12320 3 года назад

    집을 만들기도 전에 돈을 지불하는 시스템
    완성 후 전문적인 검수과정이 없음
    하청에 하청에 하청인 시스템이여서
    문제 생기면 서로 떠넘기고 나몰라라 하는
    시스템이니
    날로먹기 딱좋죠 분양법부터 바꿔야함

  • @유늬-z4k
    @유늬-z4k 3 года назад

    울 아파트는 저런 하자는없어서
    진짜 감사하긴한데
    층간소음 어떻게안돼나...
    오늘 울산 부모님뵙고 용돈좀 드리고 srt 첫차타고 아침에 도착해서 자려고 누웠는데..윗집 부부싸움하는소리
    다 들려..ㅆㅂ

  • @이캐롤-x8i
    @이캐롤-x8i 3 года назад

    어디 건설사 인지 알려주세요.

  • @yeahS-o6p
    @yeahS-o6p 3 года назад

    저아파트 어디래여?너무 심하다..

  • @kcs7551
    @kcs7551 3 года назад

    어디아파트인가요?

  • @아이스라떼-r9x
    @아이스라떼-r9x 3 года назад +1

    우리나라는 뭐든 소비자가 하자를 입증해야 한다. 자동차든 집이든.... 저렴한 물건이면 모르지만 ... 큰금액이 걸린 문제인데.. 어떻게 계속 피해자만 손해보고 감내해야 하는지...

  • @y.t.b3932
    @y.t.b3932 3 года назад

    어디 건설사 인가요.

  • @이상훈-f5i6y
    @이상훈-f5i6y 3 года назад

    시공사가 후려치기로 싼단가로 시공하니 저런 일이 발생하지...
    입주전에 시공상태 점검철저히 하세요들... 요즘들어 지은아파트들 저런곳 많습니다...

  • @이경호-k2r
    @이경호-k2r 3 года назад

    어디업체인지도 알려주세요~

  • @천상천하-i9u
    @천상천하-i9u 3 года назад

    욕실 인테리어 할수밖에 없을듯 하네요
    소송까지 갔으니 건설사는 법적으로 안해줘도 되니까 입주민들만 힘들겠네요
    요즘 타일 인건비 엄청 비싼데
    욕실2군데 타일 다 교체하면 500만원정도 들겁니다

  • @크리스다니엘
    @크리스다니엘 3 года назад

    하청 주는 순간부터 이미 예견된거 아닌가..? 건설사에서는 시공비 아끼려고 최대한 하청한테 안줄려고 타협볼거고 하청은 보잘것없는 시공비에서도 남겨야 하니까 재료를 최대한 싼거 쓰거나 보여주기식으로 마감도 제대로 안할거고..;; 결국엔 피해받는건 입주민.. 이건 구조적으로 정부에서 법을 재정을 해야된다고 본다

  • @ninzacap
    @ninzacap 3 года назад

    2천원짜리 믹스앤픽스도 저런건 안떨어지던데.... 뭐지? 도대체 뭘쓴거길래 저게 떨어지나?? 중국산?

  • @ronicarisboa9155
    @ronicarisboa9155 3 года назад

    건설사 이름은 ?

  • @user-xy1rl8ki3w
    @user-xy1rl8ki3w 3 года назад +1

    여기 아파트 시공사 문제가 아님 우리아파트도 똑같음 개인이 알아서 수리했음

  • @이영주-r2f7w
    @이영주-r2f7w 3 года назад

    우리집도 소리와 함께 화장실 타일이 금이 갔어요
    하자보수기간 끝났고 개인이 해야한다네요

  • @oppapara
    @oppapara 3 года назад

    타일은 전부 저렇게 시공해놓음.욕실뿐 아니라 복도도 마찬가지임. 타일용 시멘트도 아님. 그렇게 해놨는데도 2~3년 버티는거 보면 기술이 대단한거 같음.

  • @길나루
    @길나루 3 года назад

    보증기간 끝나면 아파트 무너져도
    괜찮는거야?

  • @hanistar
    @hanistar 3 года назад

    어떻게 계산하면 이중처리가 되는거지?

  • @lemon_c
    @lemon_c 3 года назад

    아파트,건설사,시공사 어디인지 아시는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