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낙청 공부길 155] 20세기 최대의 한국 사상가 소태산 박중빈의 후천개벽사상과 변혁적 중도주의 - 원불교 예비교무 청년공부길 1편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 이용덕: 원불교대학원대학교 학생, 예비교무
    황경원: 원불교대학원대학교 학생, 예비교무
    백낙청: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창작과비평』 명예편집인
    백낙청 교수와 원불교 예비교무들이 변혁적 중도주의와 소태산 사상의 친화성을 논의한 청년공부길 1편 (2024년 12월 12일 녹화)
    『어디가 중도며 어째서 변혁인가』 『근대의 이중과제와 한반도식 나라만들기』
    소태산 박중빈 선생은 20세기 최대의 한국 사상가
    변혁적 중도주의와 소태산 후천개벽사상의 친화성
    불교적 의미의 ‘중도’와 후천개벽이라는 ‘변혁’과제 설정한 소태산
    일제강점기 혁명노선, 불온사상이었던 소태산 정신
    소태산과 이후 교단의 온건노선이 같은 차원일까
    왕산 종법사 취임 법문 “마음을 하나로! 세상을 은혜로!”의 본뜻

Комментарии • 6

  • @now-o2b
    @now-o2b День назад +2

    중도라는 것은 중간을 의미햐는게 아니라 분별성과 주착심이 없는 상태의 마음자리를 의미하며 그 자리에서 어디에도 치우침이 없이 모든 일어나는 현상을 파악하고 연구하여 현실속에서 오직 덕이 나투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을 자신의 삶속에서 그대로 구현하도록 하신 법이 윈불교훈련법이며, 불법이 생활이 되고 생활이 불법이 되도록 하신 것이다.
    이 중도 실천이 바로 진흙속의 연꽂으로 사는 삶이며 여기에 정답을 정해두지 않고 매번 순간 순간 삶속에세 그 답을 찾아가는 여정인 것이다.

    • @user-sogu73jdnv
      @user-sogu73jdnv 9 часов назад

      이것이 원불교의 가르침입니다. 그 가르침이 생활에 발현되었을 때 사람들에게 온건한 중도로 보이겠지요. 소태산은 적어도 예수와 같이 성전 앞에서 직접 시위를 하지는 않았습니다.

  • @정인-r8s
    @정인-r8s 18 часов назад +1

    백선생이 원불교를 지지하는 것은 자유지만 불교를 제대로 공부한 후 말하는지 오히려 변혁적 중도를 ㅣ
    주장하기 위해 원불교를 끌어들이지 않는지 먼저 답해야 한다

  • @인동초-b3m
    @인동초-b3m 23 часа назад

    대한민국 종교 대부분이 정치와 연결이 되있다는걸 알았습니다 서로 분열되서 대립하는 종교의 의미가 과연 제대로된건지 잘모르겠습니다 순수한 종교인들까지 폄하하도록 만든 종교들이 많다는게 안타깝습니다

  • @dokpark5547
    @dokpark5547 День назад

    한국적인 종교만 찾지말고 ,바하이, 같은 세계 동포애를 함께 한 종교와도 연관시키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