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당구를 만들어 가는 방법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янв 2024
  • СпортСпорт

Комментарии • 27

  • @user-pn8kr8nk2h
    @user-pn8kr8nk2h 4 месяца назад +3

    선생님 안녕하세요 ~
    모든기술을 다보여주시네요
    께달음이 있는분들은 금방케취하시겠지만..
    이런강의는 구독자님들 어디든 쉽게볼수
    없습니다
    선생님영상 잘 보고..저만의 무기를
    또 하나장착하고 갑니다
    건강유의하시고.. 언제나 행복한날
    되시길 바랄게요

  • @user-up8bh8pl4q
    @user-up8bh8pl4q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스킬트리 선생님 안녕하세요? 항상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10여년 전 쯤에 당구장에 두번 찾아가서 뵙고 가르침을 받은 적이 있는데 그 이후에는 방문하지를 못했네요. 참 감사했습니다. 중간에 손을 놓았다가 다시 시작하면서 강의를 보는데 가르침을 체득하는 것이 조금씩 늘어나서 요즘 재미붙이고 있습니다. 지금은 하박을 이용한 간결한 샷에 적응해 가는 중입니다. 이전에 카페에서 상박근육을 단련하는 운동을 알려주신 적이 있는데, 하박으로 샷을 하더라도 상박 근육의 고정력이 기반이 되면 샷이 간결해도 수구가 충분한 운동력을 보여 주더군요. 샷이 안정되니 기복도 줄어들고, 이해되는 것이 늘어나니 강좌를 반복해서 봐도 재밌네요. 지나가면서 툭 하시는 말씀에도 깨닫게 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많은 도움 받고 있습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 @user-ri9rf6ql7g
    @user-ri9rf6ql7g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최고의 명강의 입니다. ‘당구학개론’ 유투브를 통해 잘 보고 있습니다. 교수님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하세요.

  • @user-oo6uj6tj9g
    @user-oo6uj6tj9g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새해 첫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앞으로가 넘 기대됩니다.
    늘 건강하시고 좋은 강의 많이 부탁드립니다.

  • @user-sg5wi4pb4m
    @user-sg5wi4pb4m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오늘도 감사합니다, 선생님.

  • @user-qq1it1wf1g
    @user-qq1it1wf1g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늘건강하게 지내세요

  • @user-wh9mp5xx5v
    @user-wh9mp5xx5v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 하십시요. 감사합니다.

  • @user-hl8ko7pb9c
    @user-hl8ko7pb9c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스스로를 살펴보고 생각할 수 있는 좋은 강좌... 감사합니다.

  • @hmb6378
    @hmb637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열심히 배우겟습니다!

  • @user-ph3lo1ol1k
    @user-ph3lo1ol1k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형님 새해에도 건강하시고 복 많이 받으세요

  • @user-zh3ob9bg7d
    @user-zh3ob9bg7d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여수에 계시면 배우러 가고 싶네요 ㅠㅠ

  • @user-px2nt6ri1o
    @user-px2nt6ri1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것은 정말 유용하네요.

  • @user-zc5pp2fm6u
    @user-zc5pp2fm6u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렇게 쉽게 자신만의 기준을 잡는법을 알려주는 간단한 내용인데 이해못하는 분들이 많아 안타깝네요.^^

  • @user-bk6ds4cp7i
    @user-bk6ds4cp7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 @brainstorm6094
    @brainstorm6094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근데 이렇게 하면 시스템은 의미가 없고 모든걸 스트록 결국 느낌에 의해서 쳐야한다면 오히려 기준이 더 애매해지는거 아닌가요? 절대 딴지가 아닙니다 그럼 기준을 어떻게 잡아야하는지 정말 궁금합니다

    • @RebelliJiN
      @RebelliJiN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영상에서 선생님도 말씀 하시잖아요.
      시중에 떠도는 시스템대로 안되면 게임에서는 자기의 익숙한 스트록에 맞는 기준으로 치되, 시스템대로 갈수 있게끔 스트록 연습을 하라시네요.
      실제로 게임칠때 시스템에 맞는 스트록도 못하면서 시스템으로는 맞아있다고 곧이 곧대로 쳤는데 맨날 길게 실수하면 오히려 시스템은 독입니다.
      저역시도 옆돌 시스템 중 3팁 시스템을 영상만 보고 (연습도 없이) 내꺼로 만들려다가 시스템보다 맨날 길게 빠져가지고 옆돌이 아예 엉망이 되어버려서 고생중이네요. 그전에 내가 만들어 놓은 기준도 덩달아 엉켜짐..ㅋ
      어떻게 기준 잡느냐.. 제 경험담으로 말씀드리자면
      옆돌 섰을때 엇각이든 빗각이든 정면이든 수구와 1적구가 어느배치에 있던 간에 가운데 흰점을 지날수 있는 나만의 편한 두께와 편한 당점과 제일 편한 스트록을 찾아냈습니다. )이건 저만의 편한 스트록 이기때문에 다른사람들에게 그당점 그두께로 치라하면 공 한두개차이로 차이가남.)
      그 이후 가운데 흰점을 기준으로 짧고 길고를 당점이나 회전량 혹은 스트록등으로 보정하고 치죠. 이게 자신만의 당구를 만들어가는 방법 아닐까요.

  • @RebelliJiN
    @RebelliJiN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밀끌당구 작년에 처음 접하고(24점) 대박이구나 싶었습니다. 그런데 바로 슬럼프가 왔습니다. 몸은 아직 모르는데 머리만 커져가지고 스트록이 상당히 꼬이더군요.. 그래서 당분간 시청금지 했던게 1년이네요.. 그리고 지금 26점이.되고 다시 요즘 보는중인데 또 슬럼프가 오네요 ㅠ.ㅠ 스트록이 꼬여서 게임중에 엉망이 되더라도 쓴게 보약이다 생각하고 봤던거 또보고 또보고 하는중입니다.

    • @user-nd3un5gm4o
      @user-nd3un5gm4o 4 месяца назад

      저랑 똑같은 증상입니다ㅜㅜ극복!!

  • @user-jr8lg1hj4p
    @user-jr8lg1hj4p 4 месяца назад

    J님에게!
    댓글을 달려고 했어나 달리지 않아 덧글로 진심으로
    죄송한 마음을 전합니다.
    어리 석은 생각이 그리 지나친 언어 표현이라고 미처 생각 하지 못했습니다. 저 역시 밀끌 당구 편으로서 밀끌 당구를 아끼는 사람으로써 믿고 보고 는 매니아 입니다.
    항상 고마운 마음으로 생각 없이 보고 있습니다. 소중한 생각에 아픔이 이었다면 진심으로 미안한 마음 전합니다. 어리 석은 생각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한번 반성합니다.
    댓글 달아 주시면 어리 석은 생각을 지우 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이해 해 주시기 바랍니다.

  • @user-we8lr5fk5o
    @user-we8lr5fk5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

  • @user-so4iv3vy6f
    @user-so4iv3vy6f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user-zg5qp7vu4d
    @user-zg5qp7vu4d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안녕하세요 ~~^^구장위치는 안나오네요 어디로가면되나요?한번 찾아갈께요 ~~^^

  • @user-dt4zy3wv9j
    @user-dt4zy3wv9j 4 месяца назад

    선생님 명강의 열심히 공부하며 50년동안 엉터리로 치던 모든것을 새로 배운다는 생각으로 연습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나이가 먹으니까 마스크 쓰시고 강의하시니까 목소리가 하울링이 생겨 좀...

  • @juhwanbyon3810
    @juhwanbyon381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저는 밀끌당구 매니아 입니다.
    또한 당구를 잘치러고 애쓰는 초보자입니다ㅡ
    하지만ㅡ지나치게 스트록 위주의 강의는 호불호가 있을수도 있다는ㅈ생각을ㅈ합니다

    • @juhwanbyon3810
      @juhwanbyon3810 4 месяца назад

      간만에 복습하러 들어왔는데ㅡ제 의견과 생각에 어리석다는 댓글이 달려있네요.

    • @juhwanbyon3810
      @juhwanbyon3810 4 месяца назад

      누구이신지는 모르겠으나ㅡ지나친 언어표현은 자중하시기 바랍니다. ㅡ본인과 생각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상대방에게 무례하고 불손한 언행을 표현하는 귀하야말로 제가 보기에는 상당히 어리석은것 같습니다.

    • @RebelliJiN
      @RebelliJiN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당구영상 댓글 보다보면 꼭 두께랑 당점이랑 몇팁이냐고 콕 찝어서 알려달라는 댓글들이 많습니다. 솔직히 상당히 근시안적인 접근 방법이죠. 공이 배치가 똑같을수가 없는데 당점을 알았다고 해서 득점이 쉽게 될까요? 게다가 그에 맞는 스트록을 해야할진데...
      100의 힘으로 때려치는 사람과
      70의 힘으로 때려치는 사람과 똑같은 배치에 똑같은 당점으로 쳐보라 하면 둘다 똑같이 때려치는 성질이라해도 스트록의 차이로 공의 진로는 달라집니다. 그런점들을 이해한다면
      어디서 몇팁에 몇두께를 치면 어디 간다더라. 라는게 참고는 될지언정 당구실력을 늘리는데 있어 정답이 될순 없을거에요. 공의 배치에 따라 그에 맞는 스트록으로 공을 표현할 줄 알아야 공의 원리를 알아가게 되는거고 그리되면 배치에 따라 득점확률이 높아지는 감각을 몸으로 찾아낼 수 있습니다. 밀끌당구는 그걸 알려주시는거 아닐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