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컴포넌트간의 마진을 어디에 넣으실래요??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3

  • @junjeong9807
    @junjeong9807 7 дней назад +4

    크으 제가 고민했던 부분이었는데 제가 내린 결론과 일치해서 내심 뿌듯하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 @chickenboysdonath
    @chickenboysdonath 6 дней назад +4

    child 에게 마진이 있어야한다면 parent 가 갖는건 패딩이 아닌가… 생각이 드는데 뭐 그게 지금 중요한건 아니긴하니까 넘어갑시다

    • @지룽이-h1e
      @지룽이-h1e 4 дня назад

      이게 맞음 부모에게 넣을거면 마진을 넣어야되고 자식한테 넣을거면 패딩을 넣어야함 애초에 문제 에러임

    • @ZeroChoTV
      @ZeroChoTV  4 дня назад

      네 맞습니다. 부모와의 간격이 아니라 부모에 존재하는 형제와의 간격에 관한 문제입니다

  • @hello-1024-wellcome
    @hello-1024-wellcome 7 дней назад +1

    선생님 안녕하세요!
    설 연휴에 넥스트 강의 구매후 달리겠다고 인프런 넥스트 강의 질문게시판에 올렸던 사람입니다.
    먼저, 약속을 지키지 못한 점 정말 죄송합니다.
    곰곰히 생각해봤는데 이미 아는 지식들이지만 자신이없다고해서 구매후 강의를보는것은 안좋다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대신에 설연휴 할인을 받아 제로초 선생님의 네트워크 강의를 구매했습니다.
    금토일 삼일간 공부를 하여 블로그에 정리하려고합니다.
    이 강의 수강후 내껄로 만들고 그다음은 디자인패턴 수강을 하려고합니다.
    여담이지만 회사에서 메타에서 만든 렉시컬에디터(?)를 활용한 리치텍스트 구현하는데 약 일주일쯤 걸렸는데 커서ai를 활용하니까 더 깔끔하게 코드가 짜였고 약 한시간채 안걸렸네요..ㄷㄷ
    그래서 결국은 ai라는 도구를 더 잘쓰기위해 컴퓨터 과학 지식과 이론들을 더 아는게 중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했고 부랴부랴 네트워크 강의 결제했습니다!ㅎㅎ. 선생님 늘 감사합니다 행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kkomjang
    @kkomjang 7 дней назад

    tailwind쓰먄 clsx + twMerge 먹이고 m-0 밖에서 넣어주는 식으로도 재활용 가능하긴함니다

    • @ZeroChoTV
      @ZeroChoTV  7 дней назад

      밖에서 마진을 주입하는게 차라리 더 낫지 않을까요?

  • @suspense17
    @suspense17 7 дней назад +2

    마진만을 위한 Margin 컴포넌트를 만들어 쓰는것도 봤는데 혹시 이 방법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정윤호-e7c3e
      @정윤호-e7c3e 7 дней назад +1

      저는 레이아웃 컴포넌트를 따로 두는걸 선호합니다.

    • @MMulgogi
      @MMulgogi 7 дней назад

      있으면 편하죠 많은 css-in-js가 tailwind보다 짜증나는것중 하나가 코드에서 레이아웃볼때 css파일 별도로 왓다갓다 하다보니 구조를 한눈에 파악하기 귀찮고 cost 소모가 꽤 있는거거든요.
      이거 해결하려고 다양한 extension쓰고 Margin 컴포넌트같은거 쓰는것도 있고..

    • @kijhossnine
      @kijhossnine 18 часов назад

      저 같은 경우에는 Spacing이라는 공간만을 위한 컴포넌트를 사용하고 있습니당
      type으로 수직 수평을 받아서 받아온 값만큼 공간을 차지해줍니당

  • @goyoung22
    @goyoung22 7 дней назад

    요소 간격을 줄때 margin-top과 margin-bottom 중에 어떤걸 선호하시나여?

    • @ZeroChoTV
      @ZeroChoTV  7 дней назад

      저는 margin-bottom 쓰긴하는데 한 번도 생각해본적이 없긴 하네요 ㄷㄷ

    • @donghoonsong7649
      @donghoonsong7649 7 дней назад +1

      @goyoung22 저는 margin-top 선호합니다. A 컴포넌트 아래 B를 넣는다고 가정하면, B가 끼어 들어서 사이 margin이 필요해진 것이라고 생각하고, margin-top으로 관리를 하면 B를 지울 때 통째로 지우면 되기 때문에 관리하기도 편합니다. A에 margin-bottom을 넣었다면 B 컴포넌트를 지우고 A의 margin-bottom을 지워야 하니까요 :)

  • @고냥이-z6h
    @고냥이-z6h 7 дней назад

    리액트를 시작한지 하루라서 뭔 소리인지 모르겠으니 한 달 후에 오겠습니다

  • @pamhn
    @pamhn 7 дней назад

    음 근데 마진을 전혀 안주고 싶은 컴포넌트가 생겨버리면 더 복잡해지지 않나요?

    • @ZeroChoTV
      @ZeroChoTV  7 дней назад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안 주고 싶은 컴포넌트는 안 주면 되죠

    • @pamhn
      @pamhn 7 дней назад

      음 그럼 두개의 자식 컴포넌트중 하나는 마진이 있고 하나는 마진이 전혀 없고 싶다면 재사용이 아니라고 봐야할까요?

    • @ZeroChoTV
      @ZeroChoTV  7 дней назад

      그러면 부모로부터 css를 주입받아서 재사용하는 게 좋죠

    • @pamhn
      @pamhn 7 дней назад

      음 넵 감사합니다. 바쁘신데 답글 달아주셔서 영광입니다!

  • @실눈의달검사
    @실눈의달검사 6 дней назад

    디자이너한테 안바뀌는거 맞죠? 하시죠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