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엽군은 미추왕의 음병이었나 |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 신라편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6 сен 2024
  •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 신라편 #0160] 죽엽군은 미추왕의 음병이었나 | KBS라디오 20071110 방송
    방송일자 2007-11-10
    진행자 김연갑
    연출자 이상여
    작가 이상락
    출연자
    김영식,김태웅,박영재,이지환,차진욱,주재규,방우호,심승한,김석환,백승철,정형석,장민혁,남도형,이승주
    음악 박복규 효과 신현파 노동걸 김기평 기술 김남희
    초록
    * 유례이사금 14년, 금성으로 처들어온 이서국과의 전투와 미추이사금 과의 연관성
    - 이서국이 금성으로 쳐들어온 전투에서 사로국을 구원한 죽엽군의 정체와 전투 진행상황 분석
    - 삼국사가와 삼국유사에서 모두 죽엽군에 관한 기사가 실린 배경과 그 의도 분석
    - 제37대 혜공왕 때 김유신이 무덤 속에서 나와 미추왕 무덤으로 갔다는 기록에 담긴 의미
    * 유례이사금 15년12월, 임금이 사망
    * 신라 제15대 임금 기림이사금의 가계에 대한 기록
    - 조분이사금의 손자로 기록된 기림이사금은 누구이며 그가 왕위에 오르기까지 과정 분석
    * 기림이사금 시기, 신라와 북방 세력과의 관계
    - 기림이사금 3년2월, 왕이 순행하였다는 비열홀의 위치 분석
    - 기림이사금이 태백산에 망제를 지낼 때 낙랑과 대방 양국이 귀순 하여 신라에 복속하였다는 기록 분석
    * 기림이사금 10년, ‘나라 이름을 '신라' 라고 불렀다’라는 기록 분석
    - 신라, 사라, 사로 등의 국호가 수백 년 간 함께 쓰였다는 증거 사례
    - 함께 사용했던 사로국과 신라국 국호 의미의 차이
    * 기림이사금 13년6월, 임금이 사망
    * 신라 제16대 임금 흘해이사금 즉위 관련 기록
    - 흘해이사금의 가계에 대한 기록 분석
    * ‘흘해이사금, 급리를 아찬으로 삼고 내외병마사를 겸하도록 하였다’라는 기록 분석
    - 급리의 딸을 왜국 왕실에 보내 혼인동맹을 맺게 되는 배경
    인서트리스트
    01 유례이사금 14년 금성으로 쳐들어온 청도를 기반으로 삼고 있던 소국 이서고국이 사로국에 맞설 만큼 강력한 세력이 존재할 여건이었는지를 분석하는 이문기 경북대역사교육과교수 01:57 02:42
    02 죽엽군에 관한 기사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모두 실려 있는 배경과 의도를 분석하는 이문기 경북대역사교육과교수 08:34 09:20
    03 미추왕 설화에 나오는 죽엽군이 모자에 대나무 잎을 꽂은 이유를 분석하는 이문기 경북대역사교육과교수 10:40 11:15
    04 능호가 죽장능인 미추왕릉에 실제로 대나무가 서식했는지를 추정하는 주보돈 경북대사학과교수 11:35 12:10
    05 이서국과의 전투 과정에서 구원군으로 나타난 죽엽군은 김씨 족단에 속해 있던 병력이었을 것이라고 분석하는 강종훈 대구가톨릭대학교수 13:57 14:42
    06 내물왕 즉위 후 박씨 석씨 등 다른 씨족 세력을 완전히 눌러 이길 수 있었던 결정적 계기가 이서국과의 전투에서 죽엽군이 구원 때문이라고 분석하는 강종훈 대구가톨릭대학교수 16:03 16:43
    07 삼국유사의 미추왕 설화 마지막 부분에 김유신의 혼령이 미추왕 무덤으로 가 하소연 하였다는 내용이 실리게 된 배경을 분석하는 주보돈 경북대사학과교수 이문기 경북대역사교육과교수 20:45 22:06
    08 신라의 제15대 임금 기림이사금을 유례이사금의 아들이라 하지 않고 조분이사금의 손자라고 기록한 이유를 분석하는 이문기 경북대역사교육과교수 23:50 24:37
    09 기림이사금 시기 사로국에 사신을 보냈다는 왜국의 정체를 분석하는 이문기 경북대역사교육과교수 27:45 28:25
    10 기림이사금 3년 2월에 임금이 지금의 함경남도 안변군인 비열홀을 순행하였다는 기록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이문기 경북대역사교육과교수 29:28 30:05
    11 ‘유례이사금은 3년 2월에 우두주에 이르러 태백산에 망제를 지냈다’라는 기록에서 논리에 맞지 않은 부분을 지적하는 이문기 경북대역사교육과교수 30:26 31:11
    12 위례이사금이 재위3년 2월에 우두주에 이르러 태백산에 망제를 지냈다는 기록에서 '우두' 라는 지명은 후대 사가들이 춘천을 연상하고 태백산을 연결시킨 것이라고 분석하는 주보돈 경북대사학과교수 31:41 32:26
    13 기림이사금이 태백산에 망제를 지낼 때 낙랑과 대방 양국이 귀순하여 신라에 복속하였다 라는 기록의 올바른 해석은 어떤 것인지 분석하는 이문기 경북대역사교육과교수 33:06 33:52
    14 기림이사금이 태백산에 망제를 지낼 때 낙랑과 대방 양국이 귀순하여 신라에 복속하였다 라는 기록의 올바른 해석에 대해 낙랑과 대방의 잔존세력 중 동해안 북부 지역에 있던 그런 세력 또는 그와 상관없이 막연하게 북쪽 지역에 있던 그런 세력을 지칭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오늘날 황해도 평안도에 있던 낙랑 그 다음에 대방이라고 이해를 할 수는 없다고 분석하는 주보돈 경북대사학과교수 34:02 34:42
    15 기림이사금 10년에 나라 이름을 신라라고 불렀다 라는 기록에 담긴 의미를 분석하는 이문기 경북대역사교육과교수 35:54 36:39
    16 기림이사금 시기에 '신라' 라는 국호가 등장해 여러 이름들과 섞여 쓰이다가 지증왕 때에 신라로 확정된 것이라고 설명하는 이문기 경북대역사교육과교수 37:53 38:29
    17 사로국과 신라국이라는 국호를 함께 사용 할 당시 그 의미에 차이가 있었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주보돈 경북대사학과교수 40:11 40:53
    18 지증왕 대에 국호를 신라국으로 통일하면서 국호에 '덕업일신 망라사방' 이라는 유교식의 고상한 의미를 부여하게 된 상황을 설명하는 주보돈 경북대사학과교수 41:53 42:35
    19 흘해이사금이 우로의 아들이라는 기록을 통해 드러나는 신라왕실 재위연간의 연대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주도본 경북대사학과교수 45:08 45:49
    20 흘해이사금은 기록처럼 우로의 아들이 아니라 우로계의 대표로서 왕위에 오른 것으로 보는것이 합리적인 해석이라고 말하는 이문기 경북대역사교육과교수 46:19 47:09
    21 초기 신라의 기록에서 초기의 임금들에게 자녀가 없었다고 나오는 배경의 진실을 분석하는 주보돈 경북대사학과교수 48:40 49:12

Комментарии • 5

  • @김병진-p6p
    @김병진-p6p 2 года назад +4

    잘봤어요 유례이사금을 도와준게 죽엽군이 아니라 김씨족단이라고 하네요 그리고, 신라라는 국명이 지증왕때 처음으로 통일됐다고 하네요

  • @육조혜능-l2b
    @육조혜능-l2b 2 года назад +2

    잘 들었습니다~~^^

  • @김홍섭-l9s
    @김홍섭-l9s 2 года назад

    혜공왕은 36대임

  • @김병진-p6p
    @김병진-p6p 2 года назад +3

    잘봤어요 유례이사금을 도와준게 죽엽군이 아니라 김씨족단이라고 하네요 그리고, 신라라는 국명이 지증왕때 처음으로 통일됐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