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3]서울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해결책은?_SK broadband 서울뉴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B tv 서울뉴스 강혜진기자]
    [기사내용]
    네. 서울 서대문구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을 직영으로 재가동하려다
    인근 지역 주민들이 못 살겠다 호소하면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이 문제를 시작으로 저희가
    서울지역 전체 음식물 쓰레기 처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고
    문제점은 무엇인지 알아봤는데요.
    이와 관련한 학계 전문가 모시고
    해결방안은 무엇인지 진단해 보겠습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배재근 교수
    스튜디오에 모셨습니다. 안녕하세요.
    배재근 / 서울과학기술대 환경공학 교수
    Q. 먼저 서대문구 난지자원화시설 재가동을 놓고
    고양시 주민과 서대문 간의 갈등이 깊어졌습니다.
    이 지역 문제에 대해선 이미 알고 계실텐데
    자치구와 주인 갈등은 여전히 풀지 못한 숙제인데
    어떻게 해결해야 된다고 보나?
    Q. 환경부 지침도 그렇고 보도한 내용을 봐도
    자치구 쓰레기는 해당 자치구가
    처리하는 것이 맞는데 실상은 그렇지 못합니다.
    일부 몇 자치구가 하고는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가 무엇인지?
    Q. 서울을 권역별로 나눠하는 광역처리.
    또는 민간투자 방식 처리
    둘 다 문제가 있는데,.. 어떤 차이인지?
    Q. 서울의 음식물 쓰레기는
    공공처리가 27%에 불과하다.
    잘 아시다시피 시민 대다수 쓰레기 처리시설은
    기피 시설인데 인식을 전화할 방법이 있지 않나?
    해외 사례와 비교할 때.
    Q. 난지자원화시설에도 통합바이오 개념으로
    광역이나 지하화 방식이 있는데
    앞으로 나아갈 방향은?
    서울시민 누구나 한 번은 관심을 갖고
    알아할 지역 현안 문제죠.
    내쓰레기는 내가 치운다는 인식 전환을 바탕으로
    서울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문제
    이제는 해결책을 찾을 때입니다.
    오늘말씀 감사합니다.
    -------------------
    심층예고)
    내가 사는 서울, 여러분의 교통수단은 어떻습니까.
    서울의 425개 행정동별로
    전철역 현황을 모두 분석해
    서울의 도시철도 빈곤지역이 어디인지 알아봅니다.
    현재 추진하고 있는 광역철도와 도시철도가
    서울의 철도 빈곤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지역 현장을 찾아 취재합니다.
    심층기획 '서울의 철도 빈곤지역 문제와 해결책'
    3월 5일부터 7일까지 B tv 주간종합 뉴스에서
    보도합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11

  • @kba9208
    @kba9208 4 года назад +5

    서울시는 지화하 한다고 하는데 서대문구는 왜 지상에 재가동하려는지 알 수가 없네..예산낭비다!!!

  • @쩡-n3d
    @쩡-n3d 4 года назад +4

    재가동금지!!!!
    이런식이면 물처리시설 지하화도 반대 👎
    너희 시설 너희가 다 가져가라

  • @민트나라-l2m
    @민트나라-l2m 4 года назад +2

    심층취재 감사합니다. 문제점부터 해결책 모색까지.. 깊이가 있네요.

  • @서정민-z6q
    @서정민-z6q 4 года назад +3

    각 지역 기피생활시설은 각 지역내에서 해결하고 보상도 충분히 이루어지는것이 당연하다고 봅니다
    재가동 절대 반대합니다

  • @jiwoo_0912
    @jiwoo_0912 4 года назад +3

    재가동 하면 절대 안됩니다!

    • @홍반장-o3l
      @홍반장-o3l 2 года назад +1

      그러면, 다른 해결책은??

  • @marshallyoon9369
    @marshallyoon9369 4 года назад +4

    서대문구는 주위 구들과 난지도나 평화공원, 안산, 서오능 뒷산등 수많은 자체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무난할 것입니다.
    어느 환경공학박사는 각 가정등에서 음식쓰레기를 갈아서 정화조로 보내거나 하수처리장으로 보내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 하더군요.
    정책을 전환하는 것도 시급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민트나라-l2m
    @민트나라-l2m 4 года назад +3

    1.하수처리 + 음식물쓰레기 처리 지하화 구체적인 계획이 없는것도 문제
    2.난지만 하수+음식물쓰레기 모두 감당하게 하는것도 문제

  • @홍반장-o3l
    @홍반장-o3l 2 года назад +1

    답이 없나??

  • @바다-m8b
    @바다-m8b 3 года назад

    이것은 충분히 예산만 있다면 난지 인근 주민이나 새로운 입주민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얼마든지 처리가 가능하다. 지금까지는 2년 동안 민간업체 위탁을 통해서 처리했다. 단순히 서대구가 예산을 아끼기위해 대한민국 국민이자 고양시의 시민들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것이다. 이 인근에는 초,중교도 들어온다. 난지물센터 자체가 많이 낙후되었고 난지센터 지하화 추진 후 가동된다면 모를까 그 전에 가동하는 것은 서울시 서대문구이 이기적인 행정으로 고양시민을 죽이는 행위인 것이다.

  • @홍반장-o3l
    @홍반장-o3l 2 года назад +1

    서울 음식물 하루 몇 톤 나오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