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각장 태부족 (3) - 스트레이트 129회 | 골라보는 스트레이트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8

  • @소박한따뜻함
    @소박한따뜻함 Год назад +2

    소각장 증설의 이유가 되지 않습니다. 자원재활용은 최고의 고용창출 영역입니다. 자원없는 우리나라는 필히 재활용율을 높이기 위해 정부가 고심해야 합니다. 87프로가 넘는 재활용율이 허구라고 할 게 아니라, 재활용율을 높일 대책을 강구해야지요. 소각장의 다이옥신 다량 배출로 국민의 건강은 안중에도 없이 나랏돈들여 노조원들의 밥벌이, 정치자금줄을 만드는 데 혈안입니다. 제발 국민들을 바보로 만드는 이런 방송좀 집어치워 주세요. 제발

  • @heim1725
    @heim1725 3 года назад +7

    정신 안차리면 우리 아이들이 20살 되기전에 지구에서 인류가 사라질 수 있다는 말, 새겨 들어야 합니다. 일회용품에 일회용품세를 쎄게 부과합시다. 배달음식 테이크아웃 음식에도 일회용품세 부과합시다.

    • @thskno1188
      @thskno1188 3 года назад

      잡았다 요놈
      당신같이 모든 문제를 증세로 해결할려니 지금 세금이 계속 오르지

    • @heim1725
      @heim1725 3 года назад

      @@thskno1188 저 때문에 세금 많이 내셨군요. 죄송합니당~

    • @김수현-c7p8m
      @김수현-c7p8m 3 года назад

      인류보다 우리나라가 먼저없어질꺼같음ㅋㅋㅋㅋㅋ

  • @유창준-f7u
    @유창준-f7u 3 года назад +8

    정부에서 쓰레기 재활용 공장을, 국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 @야롱-z1l
      @야롱-z1l 3 года назад +1

      동감입니다ㅠ

  • @유하이나
    @유하이나 3 года назад +6

    배달 음식용기 참 심각헙니다.
    대책이 있어야 하는데
    그 전에 개인이 분리 수거 철저히 해야 합니다.
    우리나라 금수강산 후대 손손 깨끗하게 물려 줘야죠.

  • @짱선생-d5b
    @짱선생-d5b 3 года назад +3

    이번 보도 또한 좋았습니다 기업정부국민 모두가 다시한번 심각하게 생각해보고 대책마련 서둘러야할듯

  • @chasecult-qd2gj
    @chasecult-qd2gj Год назад

    마시고 남은 음료는 하수구 같은 곳에 버리신 후에 빈플라스틱 용기만 버려주세요
    빈 용기는 태우는 데 아무 문제가 없지만 음료가 남아 있으면 소각로에 많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음식물도 마찬가지입니다
    빈 플라스틱 용기에 음식이 조금 묻어있는 것은 소각로에 들어가도 잘 타지만
    큰 덩어리 음식물이 소각로에 들어가면 잘 타지도 않고 눌러붙어서 갖은 고장을 일으킵니다
    음식물은 따로 배출해주셔야 합니다
    소각로 고장을 유발하는 여러 습관들만 없어져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남희정-z9l
    @남희정-z9l 3 года назад +3

    맞아요.먹으면 쓰레기가 나오죠.정부가 대책마련을 해야해요.불법은 철저히 조사해야하고 처리방법도 연구해야해요.심각하죠.여러곳에 생겨야 할것같아요.처리장을

  • @koleanan1001
    @koleanan1001 2 года назад +1

    쓰레기 소각으로 발생하는 매연이 싫다면 이보다 더 독한 매연을 내뿜는 자동차는 끌지 말고 원시시대처럼 살아야 합니다.

  • @pifrfdk
    @pifrfdk 3 года назад +4

    이런데에서 국영에서 운영하는 일자리 많이 늘어나야 한다고 봅니다.

  • @moonimsoon
    @moonimsoo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발생지 처리원칙은 공공소각장을 더 짓기위한 그럴 듯한 사기성 가스라이팅에 불과합니다. 지금 운영 중인 민간소각장 또는 시멘트업계 시멘트 제조에 사용하면 주거지역 300m 인접지역 마다 공공소각장 더 짓지 않아도 되는데 여기 각 지역주민이라면서 발생지 처리원칙 찬성하며 자체소각장 지어야 한다는 분들 혹시 공공소각장 정부보조금 나눠먹기 이권에 개입된 건 아니시죠? 마치 소각장 설치 반대하는 양 시민을 대표한다 하면서 소각장 설치 찬성 쪽과 정부보조금 파이 키워서 서로 나눠먹기에 의도가 있는 듯한 전형적 짜고치는 고스톱 모양새 라서요.

  • @hyuncho8316
    @hyuncho8316 Год назад

    일회용 없애야한다 ~ 그게 답이다

  • @nanalim1814
    @nanalim1814 3 года назад +2

    프라스틱을 다 없애야

  • @도깨비깃발
    @도깨비깃발 2 месяца назад

    쓰레기 소각장 강제법 반대.발생지 처리원칙파기 시멘트공장이용하라 처리비용저렴하다.

  • @전강-y7t
    @전강-y7t 3 года назад

    배달용기 재사용 가능하게 재질 바꾸고
    세척하는 업체도 일감주고 택배 포장 재질도 스티로폼,골판지박스 제품판매 업체에서 가져갔으면 좋겠음
    음식물 쓰레기 걱정도 해야하고 결제전 환경부담금 의무적으로 설명후 적용하고 결제하게끔 해야함 다먹으면 환급해주고

  • @junl6748
    @junl6748 3 года назад

    울릉도 독도 사이에 화산 섬하나 올라오면 좋겠네요
    영해도 늘어나고 자연 소각장으로 굿

  • @빨갱이-o6t
    @빨갱이-o6t 3 года назад +1

    쓸데없이 엉뚱한
    자기들 배떼기 채우기에
    급급하니~!
    혈세가 제대로 된 곳에
    사용 될 일이 만무하지
    쯧쯧쯧
    갑갑하다 답답해

  • @mjpark2157
    @mjpark2157 2 года назад +2

    배달용기 쓰레기를 줄일 발상의 전환은 안하고 소각만 강조, 여기 교수들, 기술력을 갖추면 안전하다구요? 실제로 어떻게 운영되는지를 알면 그런 무책임한 소리는 못 할걸요. 기자가 편집해서 내보낸건지 실제 인터뷰 내용이 이게 다 인지 모르겠지만 분노합니다.

  • @존만이-r9v
    @존만이-r9v 3 года назад +1

    쓰레기대란 오겟다, 조만간이다,
    소각시설 빨리 늘리야겟네 , 오염안나오는 기술 갖춰서

    • @panicdro
      @panicdro 3 года назад

      이미 하고 있어요.. 설명에도 다 나와 있음 약품 뿌리고 세정해서 다 처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