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 퇴직할 예정입니다" "국민연금을 '계속' 넣어야 할까요?"(59세A씨의 고민. 딱 해결해 드릴께요!)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56

  • @남이종건-j3e
    @남이종건-j3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내년 퇴직이시면 안너도 되는것 같으면
    더 넣지 마시고
    가초연금 받으세요
    새빠지게 넣으면 뭐합니까
    연계감액햇부마 차라리 안넣는게 낫지요

  • @이규태-k3r
    @이규태-k3r 2 года назад +8

    국민연금 수령액과 상관없이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다면 임의계속가입이 훨씬 이득이겠지요..기초연금이 보장되는게 아니라면 당초 예정된 금액으로 수령하는게 낫을 듯 합니다.

  • @파워클래식
    @파워클래식 2 года назад +22

    건강보험료, 기초연금 연계감액, 종합소득세등을 보면 기초연금을 전액탈수있고 피부양자에서 탈락되지 않을 정도로만 넣는게 제일 이익으로 보입니다.
    더 넣어봤자 이런저런 방법으로 정부에서 다 빼았아 갑니다. 차라리 여유되시면 국민연금을 추가로 넣지말고 비과세상품으로 알아 보시는게 날강도를 안당하는 길입니다.
    퇴직교육을 해주는 강사들이 한결같이 하는말이 제때 받던지 당겨받아서 차라리 개인적으로 준비해라 입니다. 부부가정이면 추납도 잘 생각해서 해야됩니다. 한사람이 먼저 사망하면 힘들게 넣은 한사람분의 연금은 그냥 날라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공단에서는 그냥 사탕발림으로 손해보는것에 대해서는 아무말도 안해주는데 완전 국민들 등쳐먹는 짓을 합니다.
    우리나라는 열심히 일한 사람만 바보됩니다. 참 이번에 새로 말이 나오는게 개인연금도 건강보험료 산정에 합산한다고 하네요. irp나 개인연금은 합산 안한다고해서 열심히 넣었더니 결국 여기에도 부과하네요. 그냥 집에 금고 사다가 현금으로 쟁여 놓아야 될것 같네요.

    • @화수분-x5c
      @화수분-x5c 2 года назад +2

      동감입니다.

    • @gomdoribom3831
      @gomdoribom3831 2 года назад +4

      열심히 일한 사람만 바보 됩니다. > 완전 공감합니다. 열심히 일하고 열심히 저축하면 정부에서 다 빼앗아가는데... 일하고 싶은 생각이 안 드네요. 게으르고 가난하면 국가에서 다 챙겨주니 그렇게 살아야 겠어요.

  • @빠삐용-y5u
    @빠삐용-y5u 2 года назад +6

    국민연금 하나만 놓고보면 선생님의 말씀이
    지극히 옳습니다. 그러나 기초연금과 연계를
    하게되면 신중히 결정해야될 사안인 것같습니다.
    즉, 임의계속가입을 하더라도 기초연금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면 맞는 말씀이고, 임의계속
    가입으로 기초연금 자격상실 가능성이 있다면
    절대 가입하시면 안됩니다.

  • @TV-op6uq
    @TV-op6uq 2 года назад +5

    국민연금
    의료보험
    방만하게 운영하다가 인구 비율이 바뀌니 뒤통수 치는 형태로 바꿈
    기초연금과 의료보험 관련해서는 국민연금 수령금과 기타 수익금이 합해서 최소 월 200만 원 이상일 때부터 비율로 적용해야 함
    이 영상의 주제
    퇴직 후 다른 직장 안 다니면서 개인적으로 연장해서 넣을 필요 없고 다른 직장 얻으면 계속 넣는게 좋습니다. 직장에서 주는 월급 없이 개인적으로 통장에서 빼내어 추가로 넣는 것은 수령할 때까지 기간도 짧아 별 의미 없고
    신이 아닌 이상 95 세 넘어 100 살까지 산다는 보장 못 합니다.

  • @드로-s8s
    @드로-s8s 2 года назад +3

    연계감액부분과함께설명해야할듯

  • @이도현-k3l
    @이도현-k3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애구 소득이 없을때 9% 가 아니라 최소금액 9만원 냅니다 소득이 있을때는 소득월액의
    만 60넘어서 9% 내구요 60넘어서 월급 230만 받는데 연금 20만원 떼갑니다. 반대로 됐네요 제가 그렇구요 국민연금공단 확인사항입니다..

  • @경영최
    @경영최 2 года назад +29

    속지마세요!
    국민연금 월 수령액 150만원이면 조기수령! 반드시 조기수령하세요.
    저도 같은 상황이었는데요~ 4.5년 임의 계속 가입하고, 연금 수령시기 늦춰서 현재 월182만원 받고 있습니다.
    근데 년2,000만원 넘는다고 피보험자 탈락하여 지역가입자되고, 의료보험 폭탄 맞아요.
    뿐만 아니라 기초 연금 깎이고, 조기연금 못받는 등 손해가 엄청납니다.
    겨우 최저생계비 맞춰놨는데 여기 뜯기고, 저기 깍이고 하니 생활이 않되요.
    결론적으로 조기연금 수령하여 투자 또는 저축하고, 가능하면 몇년 더 소득있는 생활하셔서 노후 자금 마련하셔요.
    절대 믿지말고 속지마세요.

    • @passion5986
      @passion5986  2 года назад +2

      금액이 언저리 였던 것이 었군요. 국민연금을 많이 수령하기에 생긴 것이지요. 우리나라 국민연금 평균 수령액이 68만원 밖에 되지 않습니다. 20년이상 직장시 평균수령액120정도 불과.
      무조건 조기연금 이런 식은 안됩니다. 조기연금, 정상연금, 연기연금 제영상에서 수치로 손익분기점까지 분석한 영상 있습니다. 글 감사합니다

    • @좋은날-f4o
      @좋은날-f4o 2 года назад +1

      배당도 연 천만원 넘으면 의보떼가요! 그리고 우리나라 병원가기 좋아 의보는 안아깝던데요!

    • @조영진-o5u
      @조영진-o5u 2 года назад

      정답

    • @sjwon
      @sjwon Год назад

      연금 100만원 넘으면 노인 일자리 탈락 됩니다. 연금 80만원 받고 노인일자릴 70만원 총 150만원 받는게 연금 120만원 받는것 보다 이익

  • @이효성-i6o
    @이효성-i6o 2 года назад +5

    국민연금 많이 받으면 기초연금 깎이거나 지역가입자로 되어 건강보험료로 떼이게 됩니다
    그만 납입하고 조기수급자가 되새요

  • @youngsinchang112
    @youngsinchang112 2 года назад +2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사랑-g2n
    @사랑-g2n 2 года назад +5

    60세 이후 소득이 계속 발생하는 경우에는 연기연금이 유리한것이 맞습니다.
    그리고 이런 분들은 건보료, 기초연금 따위는 생각 안해도 될정도의 소득을 갖고 있다면 무조건 연기연금이 유리합니다.
    그 외에 건보료, 기초연금까지 생각하시는 분들은 효율대비 조기연금이 가장 좋습니다.

  • @arunachalpradesh4637
    @arunachalpradesh4637 2 года назад +3

    영상 7분경 ᆢ
    소득 있을때와 없을때가 서로 뒤바뀐듯 하네요 ㆍ

    • @홍경미-h3m
      @홍경미-h3m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런것맞죠??
      계속고민했어요

  • @peter-um5ew
    @peter-um5ew 2 года назад +3

    생활비 있으면 연기가 좋다고 봅니다

    • @passion5986
      @passion5986  2 года назад

      60부터 연금수령시까지 넣는것을 말 하는 것입니다~

  • @거부기-y1n
    @거부기-y1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저도 은퇴했지만 국민연금 의무가입으로 65세까지 납부하려 합니다. 어짜피 기초연금은 못받으니 최대한 연금액 늘리려고 합니다.

    • @passion5986
      @passion598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기초연금 못 받으신다면, 국민연금 최대한 늘리는 방법이 정답

  • @김경훈-x7g
    @김경훈-x7g 2 года назад +1

    임의계속가입자가 최고 리미티드로 낼때도 적용부탁합니다.60세이상. 본인이100프로 낼때

  • @kevinlee6950
    @kevinlee6950 2 года назад +10

    영상잘봤습니다. 그런데 국민연금 임의가입으로 연금을 많이 받더라도 건보료나 종합소득세 등에서 불이익이 있을수 있다고 들었는데 이 부분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passion5986
      @passion5986  2 года назад +1

      증가되는 금액이 크지 않기에..큰 부담은 안됩니다.

  • @달무리-r8v
    @달무리-r8v Год назад +1

    국민연금이 노후보장인지 소득수단인지 혼란

    • @passion5986
      @passion5986  Год назад

      둘다 이지요. 어쨋든 많을수록..

  • @무소유-e1v
    @무소유-e1v 2 года назад +6

    국민연금 11만원씩 55개월 추납했는데 지금와서 생각해보니 후회가 되네요
    40만원씩 내서 국민연금 수령액을 더 늘릴걸~
    국민연금 예상금액이 백만원인데 만65세까지 임의계속가입하면 110만원
    나온다고 하는데 연금금액이 너무
    적어서 배당주를 조금씩 조금씩 모아가고 있네요

    • @passion5986
      @passion5986  2 года назад

      늘리는 방법은 자신에 맞게 하면 되겠지요. 일단 늘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글 감사합니다

    • @성오강-h8e
      @성오강-h8e Год назад

      국민연금 많이 낸다고 낸것만큼 많이 받지 않습니다
      소득분배효과때문에
      적게 내더라도 오랜기간내는게 더유리

  • @좋은날-f4o
    @좋은날-f4o 2 года назад

    나하고 같은'나이네요! 난 와이프 연금탈때까지 일해야 하는데

  • @seheemoon1924
    @seheemoon1924 2 года назад

    극민연금은 퇴직 후 계속 가입이라면 본인이 100% 내야 합니다 사업자 부담없습니다

  • @일기일타
    @일기일타 2 года назад +5

    국민연금 수령 6개월 앞두고 있는데 임의가입해서 납부중이며,중간에 납부못한 추납도 하고 있어요.
    납부총액 원금 회수율이 월 수령예상액으로 계산해봤더니 3년 8개월.
    설명한 것처럼 무조건 길게 납부하면 과장해서 로또당첨입니다

    • @passion5986
      @passion5986  2 года назад +2

      맞습니다. 잘 하셨습니다. 무조건 유리. 적게 넣고 더 받을 수 있다면 최고이지요. 은퇴후엔 한푼이라도 아쉬울 수 있기에.. 감사합니다

    • @정기만-f8g
      @정기만-f8g 2 года назад +1

      무조건.조기수령이답

    • @HkLee-kj8ul
      @HkLee-kj8ul Год назад

      국민연금 백만원이상 받으시면 기초연금 50% 이상 깍여요 ㅠㅠ

  • @powerlee-lp4mw
    @powerlee-lp4mw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무조건 안넣는게 좋음!

  • @Son-dd6sg
    @Son-dd6sg 2 года назад +2

    퇴직하고 무소득이면 어떤것을 기준으로 9%를 산정하나요? 소득이 없는데 ...

    • @arunachalpradesh4637
      @arunachalpradesh4637 2 года назад +1

      9만에서 497000사이 금액을 선택하는거로 보이네요

    • @피카츄-f9i
      @피카츄-f9i Год назад +1

      소득이 없을때와 있을때의 납부금액을 반대로 말했네요.소득이 있으면 소득의 9%납부,소득이 없으면 본인이 알아서 금액을 선택하는게 맞습니다. 이 유튜버 웃기는 아저씨네.

  • @드로-s8s
    @드로-s8s 2 года назад +3

    조기수령이더나을듯

  • @kimsunghan7
    @kimsunghan7 2 года назад +1

    돈 뜯어갈때는 다 달콤한 말로 꼬신다. 대한민국 정부눈 대기업을 위한 정부지 국민을 위한 정부가 아니다. 이자 없어도 난 내집 금고에 달라로 바꿔서 넣어 놓을란다. 정부를 믿느니 옆집 개를 믿는다.

  • @김경훈-x7g
    @김경훈-x7g 3 месяца назад

    혼자 사는 사람은 절대
    추후납하지마세요
    유족연금.다 날라갑니다

  • @김경훈-x7g
    @김경훈-x7g 2 года назад +1

    고소득자는 임의계속 가입자는 더 받는 금액이 저소득자보다 매우 많이 작아지는 기현상!!!!

  • @dkfls777
    @dkfls777 2 года назад +3

    일본보다 한국 고령화 속도가 더 빨라서,,,정말 노후대비도 필요하고 노후대책도 필요해보인다. 국민연금도 자영업자 중 영세상인들은 가입도 못해서 지원도 못받는데,, 진짜 국민연금도 형평성 문제가 있다. 초기가입자(다이아몬드계급)는 2-3천만원 넣고 90세 이상 살면 2-3억 이상 10배를 챙기는데, 호구,브론즈계급(80년~00년대생)은 20-30년 붓고 유럽처럼 고갈 시 신규가입자금액으로 대체한다고 하는데 언 발에 오줌 넣어보았자 몇년을 버틸지...... 요즘 수익률도 저조해서 이러다 2040년 고갈될지도ㅜ차라리 국민연금 개혁해서 미국 401K제도처럼 낸만큼 본인의 수익에만 맞게 챙겨가게 보장해서 지속가능하게 만들고 기초연금비용을 늘려서 차라리 어려운 처지분들 부양하는데 힘을 더 실어줬으면 좋겠다. 일본처럼 편의점, 기타 명소 안내 등 고령화에도 일자리 있는 곳에 채용할 수 있게 제도를 개선하는 부분도 시급해보인다. 노후대비를 위해 연금저축도 200 올린다 하지만 올리는 것 플러스 국내주식에 가입해서 한국기업을 부강하게 만드는 것도 필요해보인다.다들 S&P500, 나스닥etf 에 넣을 생각만.. 국민연금도 국내증시 공매도 문제도 있고 수익저조하다고 외국에 투자를 더 늘리는 것도 진짜 한심해보이고, 직장인들 돈모아 한국기업 투자하고 안키우고 해외에 투자라......씁쓸하다.

    • @passion5986
      @passion5986  2 года назад

      오늘 우리의 현실 쭈~욱 다 지적. 옳으신 말씀.
      긴 글 감사 합니다. 여러 문제점들 정책 당국. 해결 할 수 있었으면 좋겠는데..

  • @7경도
    @7경도 2 года назад +2

    돈 쓸데 없으면 임의가입 하시고 어려우시면 조기 수령하세요,,,

  • @정의-q9y
    @정의-q9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돈많은 사람은 연기해라고 하라
    난 돈이 없다

  • @SWL-w1e
    @SWL-w1e 2 года назад +2

    절대 추납, 연기하면 안됩니다.

  • @휴대폰-p6m
    @휴대폰-p6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 @sungwookim2186
    @sungwookim2186 2 года назад

    받는소득만을 생각해서 추가납 절대로 하지마세요~
    건강보험이 지역보험으로 전환 되면 ...
    평생 납부하게 됩니다...
    지금은 년소득이 2천만원 넘어가면 지역보험으로 전환되지만, (작년도는 3400만원이었음)
    언제또 적용소득이 낮아질지 모릅니다...

  • @최낙길
    @최낙길 2 года назад +2

    만63세까지 임의 가입자로 가입하는것이
    정답이 될것으로 본다

  • @click21cn
    @click21c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는 국민연금 받는 64세까지 추납 예정입니다. 아내가 공무원이라 기초연금과 피부양자 자격에서도 탈락이 확정적이라 국민연금을 최대한 많이 늘려서 받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