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는 진심 영웅... 논쓰남님 유투브 강의가 많이 도움되었고 이런거 없었으면 아무것도 못하고 저 백지로 낼뻔했네요. 근데 두번쓰라면 못쓸거 같아요 ㅠㅠ 솔직히 제가 쓴건 질이 안좋지만 제출 할수 있는것만으로도 감지덕지입니더. 다른 과목보다도 SPSS는 쓰는 내내 고문을 받는 기분이었습니다 ㅠㅠㅠ 그러나 개인적으로 시간 짬날때 이 분야 실력을 끌어올리고 싶긴 합니다 ㅋ
우리나라 통계는 일단 용어부터 글러먹었다. 외계인 용어 귀무가설, 대립가설(이건 영어 해석이 잘못된건지 원 단어는 alternative 대안 인데 왠 대립? ) 뭔 .. 차라리 중국처럼 영가설이라고 하던지.. 아니면 원단어 그대로 h0/h1 아니면 단어를 좀 생각해서, 부정/긍정 가설은 어떤가. 무관/유관 가설, 무효/유효가설 등등... 훨씬 이해가 쉬울듯. 왜 이런건 학계에서 고치질 않을까.
통계를 배우는 데 희망의 빛이 보입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너무 감사합니다.
논쓰남님 덕분에 석사학위논문 잘 끝내고 박사과정 용기내서 시작했어요
박사 과정에서도 제 유튜브 보실텐데,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박사 과정 합격 축하드려요!
그대는 빛,, 그대는 사이버 통계교수님
그대는 진심 영웅... 논쓰남님 유투브 강의가 많이 도움되었고 이런거 없었으면 아무것도 못하고 저 백지로 낼뻔했네요. 근데 두번쓰라면 못쓸거 같아요 ㅠㅠ 솔직히 제가 쓴건 질이 안좋지만 제출 할수 있는것만으로도 감지덕지입니더. 다른 과목보다도 SPSS는 쓰는 내내 고문을 받는 기분이었습니다 ㅠㅠㅠ 그러나 개인적으로 시간 짬날때 이 분야 실력을 끌어올리고 싶긴 합니다 ㅋ
이런 영상을 원했어요ㅠㅠㅠ!!!
핵심만 말씀해 주시니 이해가 넘 잘 돼요!! 감사합니다!!
대단하시네요. 멋져요. 돈을 주고 싶을 정도에요
감사합니당
안녕하세요 궁금한 점이 있어 댓글 남깁니다.
혹시 일반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과 교차분석만으로 소논문을 작성할 수 있나요?
선생님! 혹시 케이스처리 요약 부분에 결측이 N에 수가 표시되는 이유가 뭘까요? 결측값이 없는데두요.. 유효 부분 N수는 전체표본과 동일하게 나타나는데 결측부분이 왜 생기는지..ㅠ
논문 분석 중 궁금한 점이 있어 댓글 남깁니다. 교차분석의 경우, 2개의 변수-3개의 변수 끼리도 가능한 것 맞나요?... 이 영상보고 해석했는데 ㅠ 컨설팅해주시는 분은 이렇게 하는 게 아니라고 하셔서...제가 이해를 잘못한 것 같아 여쭤봅니다 ㅠㅠ
2개의 변수, 3개의 변수가 어떤 뜻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교차분석은 두 개의 비메트릭 변수 간의 빈도 차이를 보기 위해 실시하는 분석입니다.
@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학교급 - 담임 여부를 교차분석으로 분석할 수 있는지가 궁금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학교급(초/중/고) - 담임여부(담임/비담임) 입니다.
@jj8349 당연 가능합니다! 컨설팅 해주시는 분이 잘못 알고 계시는 듯 합니다.
@@nssn 너무 감사합니다.. 여러번 보아도 저도 가능하다고 판단이 되어서.... A 경험 횟수 (0, 1~3, 4~6, 7~9, 10이상) 과 B 경험 여부 (여, 부) 도 가능한 것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교수님... 또 몰라서 영상보고 있읍니다....... 혹시 집단 A와 집단 B에 대해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는데, 두 집단의 크기는 달라도 상관없을까요?
집단의 크기가 달라서 그런지 결측이 생기는 것 같아서요 ㅜㅜ
저 교수 아니에요…. 두 집단의 크기가 다르면 크기가 작은 표본으로 맞춰집니다. 따라서 표본이 없으면 값이 안나타날 수 있습니다. 표본이 적을땐, fisher’s test 하시면 됩니다
흑흑...감사합니다 천재박사님.....
감사합니다ㅠㅠ
선생님 영상 감사합니다ㅜㅜ 논문을 보다가 질문이 있어 댓글 남깁니다. 논문에서 X2/t 값을 기재해놓던데 X2값과는 다른가요?? 무슨 값인가요??
자유도가 1이면 (2x2)이면 무조건 연속성 수정 값 읽어야 하나요?
우리나라 통계는 일단 용어부터 글러먹었다. 외계인 용어 귀무가설, 대립가설(이건 영어 해석이 잘못된건지 원 단어는 alternative 대안 인데 왠 대립? )
뭔 .. 차라리 중국처럼 영가설이라고 하던지.. 아니면 원단어 그대로 h0/h1 아니면 단어를 좀 생각해서,
부정/긍정 가설은 어떤가. 무관/유관 가설, 무효/유효가설 등등... 훨씬 이해가 쉬울듯. 왜 이런건 학계에서 고치질 않을까.
카이제곱 검정 표에서, pearson 카이제곱 값위에 a 주석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하.. 논문 쓸수 있겠찌........ 논쓰남 화이팅
화..화이팅
ㅋㅋㅋ 통계 공부하다가 잠시 머리 식히러 왔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