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설 다시보기] 7년 만에 경상수지 적자, 수출 때문?…“주력 부문 한계 도달”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직설] 7년 만에 경상수지 적자, 수출 때문?…“주력 부문 한계 도달”
    [직설] 내수 경제 활성화, 최저임금 인상 따른 영향은?
    [이슈 따라잡기] 文 대통령 김원봉 언급, 여야 시각차·5당 대표 회동 불투명·황교안 취임 100일
    [원일희의 직설] 경제가 애국이다
    ◇용감한 토크쇼 직설 (월~금 오전 10시~ 11시 30분, 앵커: 원일희)
    용감한 토크쇼 직설 페이지 바로가기 : goo.gl/UEMLYt

Комментарии • 58

  • @그리운나날들
    @그리운나날들 5 лет назад +18

    조영철 교수는 문정부 대변을 해주는 사람인건 알겠는데 좀 팩트를 제대로 말하고 진단을 해야하는데 능력이 없는건지 아니면 숨기는건지 답답하네요.
    능력이 안되면 출현을 안해야하는게 아닌가요?

  • @outyou4517
    @outyou4517 5 лет назад +11

    조영철님 그래서 무슨이야기를 하고 싶은건대요?
    전부 나쁜거는 사실이 아니라고 하면 지금 경제가 좋나요? 학생들 가르치시는 분이 라서 더욱 걱정됩니다

  • @주수정-f9e
    @주수정-f9e 5 лет назад +11

    국내서는 기업을 할수없어 다 외국으로 나가고 문을 닫는다. 어떻게 경제가 성장하나. 알량한 위장으로 국민을 오도 하지 말라. 곧 초상난다.미국이나 일본을 봐라 잘된다..

  • @seejey2033
    @seejey2033 5 лет назад +18

    조영철이라는 사람 말은 초딩이 들어도 궤변이네
    당신이야 괜찮다 하고 아님 끝이지
    저런사람들 쉽게저런말 못하게해야된다
    출연시키지마라

  • @hkebinj7539
    @hkebinj7539 5 лет назад +11

    조영철... 너도 어지간하다.... 우기기만 한다고 바뀌나... 외환위기 당시에 이런 인간들때문에 위기가 왔지...

  • @회는초장에푹
    @회는초장에푹 5 лет назад +1

    여러분 실업급여가 뭔줄 아시지요?
    5월 사상최대치랍니다...

  • @사커의
    @사커의 5 лет назад +10

    좀 진행자를 좌우에 치우침 없이 담백하게 공정성있게 진행하는 사람좀 세우길

    • @블루문-z6y
      @블루문-z6y 5 лет назад +1

      원일희가 처음에는 공정하게 하는것 같더니만... 최근 들어서는 거의 대놓고 편향적으로 진행을 하더라고요....ㅎ 먹었나?

  • @cursorseol4042
    @cursorseol4042 5 лет назад +9

    헛소리 하지마시오
    매년 주식배당을 했는데 올해만 배당소득으로 경상수지가 마이너스라고? 웃기는 소리하지 마셔

  • @chani2370
    @chani2370 5 лет назад +4

    조영철 왜 저런게 자꾸나오냐 직설 진짜 토나오게 할래? 보기 싫어지게 만드네 기업이 잘되야 고용도 늘고 일하는사람 돈을 많이 주고 내수가 좋아지지 기본도 모르는게 왜 교수 비스무리하게 하고 이런데 나오는거야 저런것들 나라 망친 댓가로 재산 몰수해서 국민들에게 사죄비로 돌려라 책임을 져야지 저런 소주성 정책민 학자들

  • @체리-p5h
    @체리-p5h 5 лет назад +4

    조영철 저 사람 경제학자 맞아???? 정치인 할려고 하는 거???

  • @JSJSKYLER
    @JSJSKYLER 5 лет назад +5

    이종욱교수님 완전 정곡찌름!
    외국인 고졸이 한국인 대졸보다 "생산성이 높다"!!!

  • @명영식-p3v
    @명영식-p3v 5 лет назад +4

    직설을 듣는방법,
    조교수의 썰은 불편해도 넘기면서듣는다. 시장 다죽여놓고 희망과 위로를 받고싶은 국민들 염장지르는 궤변만 늘어놓고있으니 시청자들의 고충도 SBS는 참고해주시길...

  • @우리우-d5s
    @우리우-d5s 5 лет назад +5

    원일희씨는 근본좌파라서 막말로
    판단하시겠지만, 참전용사들입장에
    선 절대막말이아닙니다..편파방송하
    지 마세요!!

  • @김김병래
    @김김병래 5 лет назад +6

    길거리점 나가보고 토론해라 imf보다 어렵다

  • @markov2k2
    @markov2k2 5 лет назад +3

    조교수님은 패널로 나오기 전에 학생들 앞에 두고 리허설 좀 하세요...

  • @김하늘이-d8p
    @김하늘이-d8p 5 лет назад

    책임지는 사람은 없고 핑계만 대고 있고 나라가 망하던 말던 나만 잘먹고 잘사면 된다라는 정치권과 기득권의 마인드로는 한국은 틀렸다고 보는게 맞다고 봅니다.

  • @yongsoonpark4860
    @yongsoonpark4860 5 лет назад

    조열철 당신 경제 학자 맞습니까 사회자 질문 이 나의 질문입니다 최저임금 이 삼성 같은 회사 에는 상관이 없다면 최저임금 을 올리면 수출하고는 상관이 없는 것 아닌가요 그런데 왜 내수가 이렇게 않좋은 것일까 요 여기에 대해서 설명을 좀 하시오

  • @정상철-y6w
    @정상철-y6w 5 лет назад

    시급은 올라가고 일은 52시간만 하는데 무슨 생산성이 있겟냐 당연 경제가 어려워지지요

  • @jonggoogkwon4169
    @jonggoogkwon4169 5 лет назад +1

    팬더맨탈이 울겠다 의미도 모르는 놈들
    팬더맨탈이 보이냐

  • @이영하-v4n
    @이영하-v4n 5 лет назад +1

    암 걸리겠다

  • @꿈구는제임스
    @꿈구는제임스 5 лет назад +2

    반도체 비중도 높지만 반대로 다른 업종이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는거라 본다

    • @정은모-x2b
      @정은모-x2b 5 лет назад

      조영철씨 빠지면 직설방송 안되나.

  • @koreauncensored6022
    @koreauncensored6022 5 лет назад

    반도체, 석유화학 수출 감소가 이번이 처음이냐? 2015, 2016년 수출 떡락하던 시절 좀 보고 와라. 그때도 경상수지는 플러스였어. 심지어 사드 보복까지 당하면서도

  • @서철규-x2r
    @서철규-x2r 5 лет назад +3

    연말이면 좋아진다고 하셔 어렵게 빙빙돌리지 말고 ㅠㅠ

  • @어어이-d2l
    @어어이-d2l 5 лет назад

    그리고 자꾸 소주성이 유일한 대안인것처럼 영철이 진행자 헛소리들 하는데 잘나가는 미국보면 소득세 법인세 상속세 낮췄고 공무원 줄여 정부 구조조정했으며 우리처럼 이상한 퍼주기 이딴거 안했음

  • @울아토미
    @울아토미 5 лет назад

    잘되면 내탓 안되면 니탓 기업을 옥죄고 돈이 벌어질것이라는 해괴한 생각을 하는 자들이 정부에 꽉들어차 있으니 갈수록 망해갈 것은 뻔하다.

  • @이기상-c9h
    @이기상-c9h 5 лет назад

    배당은 올해만주냐 해마다주는건대 수출입이 적자여서 배당수익이 표가난거지 그걸 이유라고 하냐 상품수지가 적자인거지 경제가 나빠서 그런건데 경기나쁘다는소리 하기싫어서 배당핑께대냐 하지 공동묘지가면 죽은놈 다 이유가 있지 이유가 없겠냐 이유를 정확히알고 말해야지 남탓만하는정부 이유도 제대로 확인도못해

  • @zootyann
    @zootyann 5 лет назад +2

    앵커님.지금까지제가본경제관련프로그램중에최고이십니다.시청자들의궁금증은물론.패널분들이야기를정확하게정리.질문.해주시는데....진짜.정말👏

  • @사람1호
    @사람1호 5 лет назад

    조영철 궤변

  • @kimyou49
    @kimyou49 5 лет назад

    그리고 서울여대 교수의 요지는 '대기업 주도 수출 only 경제'를 더욱 극단적으로 밀고 나가자는 것인데, 크게 두 가지 비판점이 있다. 첫째, 미중 무역전쟁과 더 이어질 21세기 패권전쟁으로 인해 미국은 한국을 비롯한 개도국에게 무역수지 '적자'를 감내할 인내심이 점점 더 고갈되어가고 있고, 그리고 중국도 한국에서 중간재 수입해서 완성재 만들어 미국 시장에 내다파는 기존 패턴을 바꿔서 중간재 조차 직접 생산 조달하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된다. 둘째, 수출 전선에서 왜 재벌들이 포진한 대기업들만인가? 중견/중소 기업들의 수출 역할에 우리 정부는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김대중 이래 민주당 정부는 긴말 할 것 없고, 바로 '중소기업'의 정부여야 한다.

  • @kimyou49
    @kimyou49 5 лет назад

    Scandinavia 나라들은 현재 지구상, 많은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칭찬 받을게 많다. 대표적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소득불평등, 상대적으로 높은 경제성장률 (예, 스웨덴은 유럽 나라들의 평균 경제성장률이 2% 채 안 되는데, 2.4%를 기록했단다), 높은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 등등 칭찬 받을 게 많다. 하지만 또 다른 스칸디나비아 나라, Norway는 다르게 봐야 한다. 노르웨이는 기본적으로 자원부존국이다. 그렇다. 북해산 원유가 이 나라의 힘이다. 아래서 언급한대로 Norway의 GDP 대비 수출입 비중이 69.4%나 되는 배경에는 북해산 원유가 자리잡고 있다.

  • @kimyou49
    @kimyou49 5 лет назад

    수출지상주의적 시각에서 조금만 벗어나면 합리적 범위 내에서 국내 내수를 활성화시키면 수출의 GDP 기여분이 대폭 감소하는 것을 메꿀 수 있다는 계산을 할 수 있다. 지난 해 민간소비 증가가 경제성장률을 앞지른 첫번 째 해라는 점은 아는가? 내수경제 활성화 한다고 미국이나 일본 처럼 20-30%대를 지향하는 것으로 악의적 프레임 지우지 마라. 수출지상주의자들의 급진적 마인셋과 달리 나는 현실적이다. 잠재성장률 2.8 혹은 2.9%라고 할 때, 수출의 경제성장률 기여분이 감소하는 만큼 민간소비나 정부지출이 메워주도록 하면 될 것 아닌가? 가장 중립적 연구기관 KDI 도 2% 초반대 경제성장률을 조정 전망했다. 2.8 - 2.1 = 0.7% 정도의 부족을 내수를 추동할 수 있도록 정부지출과 민간소비를 늘리자.

  • @kimyou49
    @kimyou49 5 лет назад

    눈 맑은 사람들은 바로 알겠지만 복지와 성장의 균형을 이루고 사회적 양극화 정도가 지구상에서 가장 덜하다는 스칸디나비아 나라들(덴마크, 스웨덴)이 빠져 있다. 우리 경제는 만성적인 유효수요 결핍을 겪는 경제다. 적정 수준의 유효 수요는 '고사하고' 다만 현재 보다 조금 더 늘어난 유효 수요만으로도 우리가 입만 열면 떠드는 '내수를 살리자'는 국민 구호를 실현할 수 있다. 우리의 잠재성장율을 2.9% 대 안팎이라 하고, 온갖 경제기관들이 내놓는 올해 경제성장률의 컨센서스는 2%대 초반이다. 그러면 0. 몇 % 정도 내수가 담당하게 경제 운용 못 하나?

  • @kimyou49
    @kimyou49 5 лет назад

    경제담론이 일부 전문성을 갖고 있다고 하는 사람들에게만 독점되선 안 된 일이다. 경제담론의 '민주화'가 절실하다. 소주성의 핵심 아이디어는 성장과 균형의 '선순환적' 버팀목 효과, 좀 다른 버전으로 총공급과 총수요의 균형 잡힌 경제 운용에 대한 새로운 문제제기이자 고민이다. 한국은 GDP 대비 수출+수입이 84.8%로 과하게 경제에서 수출입의 비중이 크다. 우리 보다 더 비중이 큰 나라는 독일이 86%로 유일하다. 노르웨이(69.4%), 프랑스(61.4%), 영국(56.7%), 호주(40.0%), 미국(28.0%).

  • @kimyou49
    @kimyou49 5 лет назад

    경제담론의 '민주화'가 절실한 이유는 이렇다. 경제담론은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근간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시장의 영역을 침범하고 정부의 역할을 강조하는 모든 담론이 불온시되기 마련이다. 시장의 효율성을 인정하고 제대로 긍정적 효과를 받아들이돼, 시장근본주의자/시장교조주의자가 되어선 안 될 일이다. 분명 문 정부는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을 통해서 영세한 자영업자나 열악한 소기업의 소득을 최저소득 노동자들에게 '이전'하는 우를 범했다. 이는 시장의 위배다. 총수요를 추동하고, 진작할 정도의 소득 이전은 정보기술 혁명의 수혜자 고학력 고소득자들의 주머니에서 낮은 임금을 받는 사람들에게 '이전'되어야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