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공부를 하다가, 네트워크, 운영체제 등등 이런 컴퓨터의 기본적인 내용들이 필요하다 싶어서 널널한 개발자님을 접하게 되어 강의를 듣고 있는데, 정말로 퀄리티가 좋네요... 진짜 대박입니다. 현재 제 개인 블로그에 강의 내용 정리하면서 듣고 있습니다. 좋은 강의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재밌게 잘 듣고 갑니다^^ Text file : 링크를 통한 참조가 불편함 따라서 티모시 버너스 리 선생님은 문자열(Link)을 통해 확장이 가능한 문서(HTML)을 고안함(HyperText를 Markup) 이를 인터넷에 연결해 전달할 수 있는 방법(HTTP 프로토콜)을 고안함(HyperText를 Transfer) HTML이 서로 연결된 것이 얼키고 설킨 것이 마치 거미줄 처럼 보인다(Web) 이 개념들을 묶어 웹 서비스라고 부르게 됐다 프로그램을 이루는 구조는 인터페이스 제어 Data 로 이루어 지는데 티모시 버너스 리 선생님이 이 구조를 설계해서 만드신 셈 (TCP/IP 통신규약을 만드신 빈턴 G. 서프와 함께 인터넷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 Markup : 문서가 화면에 어떻게 표시될지 (폰트, 글씨 크기, ...)기술하는 언어 Markdown : 일반 텍스트로 서식이 있는 문서를 작성한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 Hypertext : 하이퍼링크와 함께 이어지는 비선형적인 텍스트 (A에서 C로 가려면 무조건 B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 Hyperlink : 주소와 주소 사이를 중간과정 없이(비선형적으로) 옮겨다닐 수 있는 링크
인터넷과 그주변에 있는 것들의 대부분이 컴전공자들이 아닌, 물리학이나 수학이나 뭐 그런거 하시던 분들이 본인들 쓰실려고 불편해서 그렇게 시작된게 참 많죠.... 그게 오픈소스로 풀리면서 발저에 발전을 거듭하고 서부 개척 시대 같은 그 시절이 참...부럽기도 하고, 그립기도 합니다. 우리의 아이들에게도 그런 설램의 기쁨이 함께 할 수 있기를 그냥 어른중 한명이..
Wi-Fi 대부분은 NAT기술이 적용된 인터넷 공유기 기능을 제공합니다. 접속한 기기에게 DHCP로 사설 주소를 할당합니다. 이 때 공유기 설정에 따라 할당하는 주소 대역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즉, 단순히 호스트 ID정도가 아니라 IP주소 전체가 재설정 되는 것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강의를 들을 때마다 초등학생 때, 아파트 밑에서 "축구하자"는 단어가 들리면, 심장이 뛰면서 설레이는 마음으로 내려갔을 때와 똑같은 감정이 드네요. 여러 네트워크 강의를 수강했지만, 그냥 최고십니다. 유익한 강의 감사드려요!
와우~~! 너무 좋게 봐주신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
표현이 예술입니다
보안 공부를 하다가, 네트워크, 운영체제 등등 이런 컴퓨터의 기본적인 내용들이 필요하다 싶어서 널널한 개발자님을 접하게 되어 강의를 듣고 있는데,
정말로 퀄리티가 좋네요... 진짜 대박입니다.
현재 제 개인 블로그에 강의 내용 정리하면서 듣고 있습니다.
좋은 강의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보안의 가장 힘든 점 중 하나는 모든 IT기술에 보안이 따라 붙는다는 것이죠. 평생 공부하기 딱 좋은 분야가 아닐까 싶습니다. 보안하시는 분들은 늘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블로그 주소가 어떻게 되실까요 구경 가고싶어요 ^^
강의 구성이 항상 좋으신 것 같아요. 어떤 유익한 영상이든 결국 재밌어야하는데 선생님 강의는 재미도 잡으셔서 빨려들어갑니다! 강의 감사합니다.
좋은 평가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열심히 올리겠습니다. ^^
네트워크 강의 듣다가 너무 재미있어서 늦은 시간까지 들어버렸네요 ㅋㅋㅋㅋ.. 재미있는 강의 항상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기본기가 늘어나는 기분이 계속 들어요.
오늘 작정하고 공부하는 모양입니다. 좋은 평가와 피드백 감사합니다. ^^
웹서비스 웹은 그냥 생각 없이 듣고 있던건데 영상보니 미쳤네요. 와...
좋게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
오늘도 재밌게 잘 듣고 갑니다^^
Text file : 링크를 통한 참조가 불편함
따라서 티모시 버너스 리 선생님은 문자열(Link)을 통해 확장이 가능한 문서(HTML)을 고안함(HyperText를 Markup)
이를 인터넷에 연결해 전달할 수 있는 방법(HTTP 프로토콜)을 고안함(HyperText를 Transfer)
HTML이 서로 연결된 것이 얼키고 설킨 것이 마치 거미줄 처럼 보인다(Web)
이 개념들을 묶어 웹 서비스라고 부르게 됐다
프로그램을 이루는 구조는
인터페이스 제어 Data
로 이루어 지는데 티모시 버너스 리 선생님이 이 구조를 설계해서 만드신 셈
(TCP/IP 통신규약을 만드신 빈턴 G. 서프와 함께 인터넷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
Markup : 문서가 화면에 어떻게 표시될지 (폰트, 글씨 크기, ...)기술하는 언어
Markdown : 일반 텍스트로 서식이 있는 문서를 작성한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
Hypertext : 하이퍼링크와 함께 이어지는 비선형적인 텍스트 (A에서 C로 가려면 무조건 B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
Hyperlink : 주소와 주소 사이를 중간과정 없이(비선형적으로) 옮겨다닐 수 있는 링크
인터넷과 그주변에 있는 것들의 대부분이
컴전공자들이 아닌, 물리학이나 수학이나 뭐 그런거 하시던 분들이 본인들 쓰실려고
불편해서 그렇게 시작된게 참 많죠.... 그게 오픈소스로 풀리면서 발저에 발전을 거듭하고
서부 개척 시대 같은 그 시절이 참...부럽기도 하고, 그립기도 합니다.
우리의 아이들에게도 그런 설램의 기쁨이 함께 할 수 있기를
그냥 어른중 한명이..
목마른 사람이 우물파고 오지랖 넓은 사람이 나서는 것이지요. ^^
티모 선생님 감사요^^
티모시 버너스 리 선생님이 3분 중 제일 중요한 분인거 같은데.. 이제야 알았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제가 더 감사합니다. :)
❤
감사합니다.
웹 강의 흥미롭네요 잘보고 갑니다
네트워크를 다루는 분들도 알아야 할 내용이라 생각해서요. ^^
요긴 넘어가두 되나 하구 점프하고 다다음꺼 볼랬더니 ㅋㅋ 다 이어지네요 ..-_-ㅋㅋ 다시 돌아와서 봅니다..ㅎㅎ ㅋㅋ
내용이 좀 이어집니다. 열공하시고 좋은 결과 얻으시기 바랍니다. ^^
구독과 좋아요는 필수죠 잘보고가요~
좋은 평가 감사합니다. ^^
네트워크 기초이론 스터디
9강 시청완료 / 5월 7일 / 헬스장
아...여기까지 오셨군요. 이어지는 영상들...나름 제가 신경쓴 영상입니다. 보시고 의견도 부탁드려봅니다. ^^;;; (혹시 잘못된 부분은 없나 늘상 걱정입니다.)
이렇게 좋은 강의를 무료로 풀어주시다니…. 넘 감사드립니다. 이해가 쏙쏙 되네요 ㅎㅎ
궁금한 것이 이 강의는 따로 수업 진행 중 촬영해서 올라온 것인가요???
좋은 평가 감사합니다. 따로 수업을 진행한 것은 아닙니다. 유튜브 게시 목적으로 촬영한 영상입니다.
ip주소 체계 중 앞에 24비트 네트워크 아이디+ 뒤에 8비트 호스트 아이디에서
연결된 와이파이가 변경되면 뒤에 호스트 아이디도 변경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호스트는 네트워크가 연결된 컴퓨터로 알고 있는데 그러면 같은 기기에선 같은 번호가 부여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Wi-Fi 대부분은 NAT기술이 적용된 인터넷 공유기 기능을 제공합니다. 접속한 기기에게 DHCP로 사설 주소를 할당합니다. 이 때 공유기 설정에 따라 할당하는 주소 대역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즉, 단순히 호스트 ID정도가 아니라 IP주소 전체가 재설정 되는 것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에 설명하시는 게 MVC 군요
네, 결국 그렇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왜 Text 앞에 'Hyper'가 붙었나 했더니 이런 이유였군요 감사합니다.
네, 그렇습니다. 피드백 감사합니다. ^^
Data: HTML, 제어로직: 브라우저엔진, GUI: Web Brower가 되는 걸까요?
제어로직은...JS엔진이 되겠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nullnull_not_eq_null 인터페이스는 HTTP 맞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