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음악사 2-3중세시대 1 단성성가 그레고리오성가 입에서입으로 구전되어온 기적같은 음악 해설이 있는 클래식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인물로 보는 서양음악사 2ㅡ3
    중세시대 1
    클래식음악을 해설하기에 앞서 그 뿌리를 설명하다 보니 본의아니게 특정 종교음악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저는 특정 종교색체와는 아무관계가 없는 사람이랍니다~~^^
    단지 클래식음악을 전달하는 입장으로 말씀드리고 있답니다.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혹여 종교가 다른분들이 계시다면..
    단지 클래식음악의 뿌리를 이해하는 정도로 들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종교를 떠나 음악으로 받아들이시고 들어보셔도 좋을듯합니다.
    이제 시작해 볼까요??
    두둥
    서로마의 멸망이후 중세는 시작됩니다.
    중세라는 단어는
    르네상스학자들이 서양고대문명의 종착지와 르네상스시대 첫머리까지
    고대문명의 전통이 단절되었다 보았고
    그 시대를 중간시대, 즉 중세라 불렀답니다.
    서양역사를 자신들의 시대포함 고대ㅡ중세ㅡ르네상스의 세단계로 인식하면서 생겨납니다.
    그리고 고대문화를 모방, 계승하려 했었던 15세기학자들은 중세를 아무런 진보가 없는 암흑의 시대라고 했답니다.
    중세음악또한 암흑의 시대라 표현할 만큼 어두웠습니다.
    클래식음악에서 중세음악은 일반적으로 기독교가 정착되는 시기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중세에 그야말로 종교가 모든 문화와 중세 인들의 사고에 영향을 끼친 중요한 요소였답니다.
    중세유럽사회는 사람보다 종교를 우선시 하게 됩니다.
    예술의 자유가 없었던 암흑의 시대에는 음악도 종교아래 통제를 받으며 성장할 수밖에 없었지요.
    이제 음악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요?
    기원전 6세기부터 서기 4세기까지는 고대음악의 범주로 분류하는데
    이 시기에 발생한 기독교성가를 '고대 로마 성가'라 부른답니다.
    악기가 개입하지 않은 무반주 단선율형태로 연주가 되었습니다.
    중세교회에서는 가사를 담을 수 없는 기악음악은
    종교적으로 의미를 전달할 수 없다는 이유로 금지되었답니다.
    그래서 악기는 불필요했었지요.
    그리고
    종교의식을 위해 만들어진 중세교회음악을 통틀어 평성가라고 하구요.
    평성가는 지역별로 여러 종류가 있었고
    미사의 순서나 내용이 지역마다 조금씩 달랐지만
    일반적으로
    합창이나, 독창으로 악기 없이 부르는 무반주 단선율음악으로 시작되었지요.
    4세기이후부터 보편적인 기보법이 생기기전까지 수 백년 동안 수도사들은 놀랍게도 모든 성가를 외워서 불렀답니다.
    악보 없이
    입에서 입으로 구전 된 거죠.
    (정말대단...)
    합창자나 독창자에 의해 악기 반주 없이 성악으로만 불인 단선율음악이지요.
    로마에서 시작된 이 평성가는 주변국가로 퍼지게 되었고
    변형과 모방을 거쳐 다양한 방식으로 불려 지게 되었답니다.
    예를 들어
    프랑스 갈리아성가,
    이탈리아 북부 암브로시오 성가,
    이탈리아 남부 베네벤토성가,
    스페인에서는 모사라베 성가,
    영국에서는 새럼 성가 있었답니다.
    특히
    이탈리아 밀라노 평성가는 암브로시우스주교의 이름을 따서 암브로시우스 (이 성가는 화려하고 정교한 것이 특징이랍니다.) 성가라 했고
    프랑스에서는 프랑스만의 평성가와 로마의 음악이 엮여 이상적인 성가가 만들어졌는데
    그것이 바로 최초의 클래식음악이라 불리 우는 그레고리오성가였답니다.
    그레고리오성가는 각기 다른 8개의 교회선법으로
    이루어졌고
    이 교회선법은 고대그리스의 선법이론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하고
    17세기주반쯤부터 장단음계로 이어지게 되지요.
    초기에는 단선율의 음악 이였고
    몇 세기가 지난 후에 이것이 다성음악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이런 성가의 특징은 길게 이어지는 하나의 곡조로
    반주도 없이 화음도 없이 암송으로 노래한다는 사실..
    (그것이 가능한것은 참으로 기적같은 일입니다.)
    단성성가의 대표는 그야말로 그레고리오성가이지요.
    오늘은 단성성가와 그 대표적인 그레고리오성가.
    그리고 그레고리오성가의 특지에 대해 이야기나눠봤습니다.
    다음시간에는 중세 기보법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음시간 기대해 주시구요
    또 뵙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좋아요, 구독 꾹 눌러주세요.
    강연문의
    hohoyuni0303@naver.com
    최윤희음악연구소/해설이 있는 클래식
    구독하기(무료)
    bit.ly/2PkqVGb
    클래식여행 밴드
    band.us/band/5...
    최윤희음악연구소/해설이 있는 클래식
    구독하기(무료)
    bit.ly/2PkqVGb

Комментарии • 9

  • @김미숙-y6t7k
    @김미숙-y6t7k 4 года назад +2

    쌤 듣고 또 듣고 ~~아침을 여는 이시간이 행복임을요~~출근하기 싫다는 ㅎㅎㅎㅎㅎ

  • @기쁘미-s6n
    @기쁘미-s6n 4 года назад +3

    최쌤....좋은 아침 첫 투표하구 기분좋게 선생님 음성 들으며 시작 합니다.♥♥

  • @소리마을_김재광
    @소리마을_김재광 4 года назад +2

    좋은 공부했습니다.~^^

  • @galaxycho5825
    @galaxycho5825 4 года назад +1

    정말 너무 감사합니다
    깔끔하고 필요한 내용만으로 잘 성명해주셔서 감사해요 너무나 좋은 공부시간이였습니다
    제가 한단계 더 성장했습니다

  • @이죠반니
    @이죠반니 2 года назад

    평성가의 어원이되는 라틴어로는 어떻게 부르는지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전두석-c5p
    @전두석-c5p 4 года назад

    난 우물안에 개구리식 으로 살았고 학교 다닐때배운 국사. 세계사 ? 지리. 배운것이 별로없고 성경도 구약을 보지말라고해서 보지않아요 글쎄 어디가서 자식을낳면 보게될지 안볼진 잘모르겠어요 많이좀 가르쳐주세요 아멘파

  • @jiunkim4650
    @jiunkim4650 4 года назад

    작가 루이즈페니의 아름다운수수께끼 라는 추리소설 읽다가 검색끝에 여기까지 ..

  • @aumhaha1
    @aumhaha1 4 года назад +1

    선생님 그레고리오 성가 현재 전해지는 악보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악보 없는 즉흥 음악이라는 내용확인과 추가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전두석-c5p
    @전두석-c5p 4 года назад

    내가 알고싶은건 모세 이후의기록 이예요
    그리고 지금까지 유태인의 랍비의기록 그리고 성자 이후 카톨릭의탄생 이후의기록들 공부하려고요 사이비교주라 아멘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