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азмер видео: 1280 X 720853 X 480640 X 360
Показать панель управления
Автовоспроизведение
Автоповтор
저 질문 있습니다.Clausis-Clapeyron 식에서 델타H제로vap를 쓰셨는데 책에는 델타Hvap라고 나와있네요. 제로가 안나와있어요! 뭐가 맞는거죠?
델타H는 제로가 있든없든 거의 차이가없습니다
델타 H 도트는 표준 상태에서 엔탈피 값을 말하는거에요.
궁금한게 있습니다!온도가 증가하면 원래 평형상수도 커지는거아닐까요?? 근데 발열반응에서 lnK가 감소한것은 어떻게 이해할수잇을가요??
Kim Dh 평형상수랑 속도상수랑 헷깔리신거같아요, 교수님께서 설명해주신것처럼 평형상수는 흡열인지 발열인지에 따라 K가 증가될수도 감소될수도잇어요~
4년 전 댓글이지만 답글 답니다. 일단 반응식이 A+B -> C에서 발열반응이면 열이 생성물 쪽에 생기게 되고 온도가 증가하게되면 르샤틀리에 원리에 의해 역반응이 활성화됩니다. 따라서 K값은 작아지게 되므로 lnK값은 작아지게 됩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저 질문 있습니다.
Clausis-Clapeyron 식에서 델타H제로vap를 쓰셨는데 책에는 델타Hvap라고 나와있네요. 제로가 안나와있어요! 뭐가 맞는거죠?
델타H는 제로가 있든없든 거의 차이가없습니다
델타 H 도트는 표준 상태에서 엔탈피 값을 말하는거에요.
궁금한게 있습니다!
온도가 증가하면 원래 평형상수도 커지는거아닐까요?? 근데 발열반응에서 lnK가 감소한것은 어떻게 이해할수잇을가요??
Kim Dh 평형상수랑 속도상수랑 헷깔리신거같아요, 교수님께서 설명해주신것처럼 평형상수는 흡열인지 발열인지에 따라 K가 증가될수도 감소될수도잇어요~
4년 전 댓글이지만 답글 답니다. 일단 반응식이 A+B -> C에서 발열반응이면 열이 생성물 쪽에 생기게 되고 온도가 증가하게되면 르샤틀리에 원리에 의해 역반응이 활성화됩니다. 따라서 K값은 작아지게 되므로 lnK값은 작아지게 됩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