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Sub 근초고왕 vs. 고국원왕: 백제의 최전성기와 칠지도의 비밀 (King Geunchogo of Baekje vs. King Gogugwon of Goguryeo)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백제 근초고왕을 가로막는 고구려의 고국원왕. 둘 사이의 치열한 쟁패전을 정리하고, 칠지도에 얽힌 이야기를 풀어나갑니다.
    The two ancient powers in the Korean pennisula, Baekje and Goguryeo, finally met in the battle field. Which one will dominate the future of ancient Korea? Subscribe to our channel and learn more about the history of Korea!
    Production Music License Obtained from artlist.io/​
    #Animated​ Documentary #King​ Guenchogo #Kingdom​ of Baekje # King Gogugwon # Kingdom of Goguryeo #The Seven-Branched Sword #Yamato Kingdom of Japan #근초고왕 #백제역사 #고국원왕 #칠지도 #삼국시대 #야마토
    thehumanitiesprofiles2020@gmail.com

Комментарии • 15

  • @zion990113
    @zion990113 2 года назад +2

    너무 좋은 채널을 알게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 @kimwonkyu1693
    @kimwonkyu1693 3 года назад +4

    이야~ 퀄리티가.... 정말...

  • @daug_jang
    @daug_jang Год назад +1

    칠지도의 '기생성음(奇生聖音)'이란 명문은 "백제왕세자가 기이하게 태어났다"는 의미보단 벡제왕세자(근구수?)가 갑작스런(기이한:奇) 왕의 명령(聖音)이 있어(生) 이 칼을 만들었다는 의미가 더 말이 되는 것 같습니다.

  • @lch8313
    @lch8313 3 года назад +2

    크으 퀄리티..

  • @다공골-q1w
    @다공골-q1w 3 года назад +2

    이것도 양질이네요.

  • @hoihoi-x2rs
    @hoihoi-x2rs 3 года назад +3

    굉장히 흥미롭습니다. !! 기존의 주류학계의 역사관과는 다른 결을 가지고 역사를 풀어가는 방식이 아주 타당하고 근거가 있어 보입니다. 삼국사기의 기록만 놓고 볼께 아니라 당대 씌어진 일본서기의 기록도 첨부하여 잘 설명했다고 봅니다. 추후 기회가 된다면 백제와 왜 와의 관계를 더 다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특히 백제 곤지왕자가 일본에서 왕으로서 대접받는데 그 이유도 궁금하고 무령왕이나 동성왕이 일본열도에서 귀국하여 백제 왕위에 오르는데 이것도 궁금합니다. 뭔가 고대역사의 비밀이 풀리는것 같아 매우 흥미롭네요.

    • @hoihoi-x2rs
      @hoihoi-x2rs 3 года назад +1

      @@a4342342 개인적으로 우리나라 삼국사기는 어두운 역사는 고의적으로 누락을 시켰다고 보고있습니다. 그리고 주류학계에서는 일본서기에 대해서 상당히 부정적인 경향인데 이부분은 좀 편협한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제가 그렇게 생각하는 부분은 초기 신라 즉 사로국~ 내물왕~ 지증왕때 까지 신라는 왜에 심하게 표현하면 종속관계였다 생각합니다.
      광개토대왕의 신라원조가 아니었더라면 신라는 아마 사라졌을지도 모릅니다.
      일본서기의 신라에 관한 내용은 거진 사실이라 보고있습니다. 물론 백제, 가야에 대한 일본서기의 기술은 왜곡된게 분명해 보입니다. 그러나 적어도 신라에 대한 기술만큼은 일본서기가 삼국사기보다 좀더 디테일하고 사실에 가까워 보입니다.
      그러나 주류학계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겠지요. 일례로 신라가 왜에 볼모를 보내는것은 이것은 종속관계로 볼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광개토대왕의 신라원조가 아니었다면 신라는 삼국통일은 커녕 사라졌을 나라라 생각됩니다. 고구려가 백제,가야, 왜 를 거의 초전 박살 냈기 때문에 간신히 살아남아 기회를 엿보면서 외교와 처세를 적절히 훌륭하게 하여 살아남아 최종 승리자가 된 부분은 높이 평가합니다 그러나 과거의 진실을 너무 묻어버리는것도 좋지는 않아보입니다.
      그리고 백제 개로왕이나 무령왕, 동성왕이 왜에서 귀국하여 백제의 왕이 된 부분에서도 약간은 석연치 않습니다. 당시 백제는 고구려에 의해 거의 멸망하다 시피했는데도 채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전성기를 구가할수있었던 데는 왜세력의 도움이 컷다고 보여집니다. 이런 부분에서 주류학계는 전혀 인정하지 않는것으로 보입니다.

  • @정진국-z4g
    @정진국-z4g 2 года назад

    자료를 만든 근거 자료 올려주세요.

  • @정상철-r8d
    @정상철-r8d 3 года назад +1

    야마토를 밑으로 깐게 아니라 그저 동맹관계? 신문물과 군사력을 교환한 주종의 관계가 아닌 거래의 관계였네. 난 지금까지 주종관계인줄 알았는데...

  • @이창민-y1w
    @이창민-y1w 3 года назад +1

    빨리 패트론 열어주세요! 돈으로 제작비 지원하고 싶습니다.

    • @인문학프로파일
      @인문학프로파일  3 года назад +1

      관심 가져 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영광입니다. 초기 유튜브라 패트론은 아직 조금 이르고, 패트론이든 후원계좌든 조만간 진지하게 고려해 보겠습니다.

  • @eunjungcha7547
    @eunjungcha7547 3 года назад +3

    야마토 후국

  • @용각산조아
    @용각산조아 3 года назад +1

    왕인이 백제인인지 또는 천자문등을 전파했는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 @sunghowoo2618
      @sunghowoo2618 3 года назад +1

      왕인은 일본측 기록에서만 보이는 걸로 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