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슬라 옥토밸브, BYD 나노밸브, 열 매니지먼트 시스템(TMS)기술 경쟁의 승자는?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테슬라옥토밸브#BYD나노밸브
    열 매니지먼트에서 앞서가고 있는 테슬라의 옥토밸브와 BYD의 나노밸브의 작동방식, 부품수, Cost, 소비전력을 비교 분석
    snleesnlee@gmail.com
    blog.naver.com...

Комментарии • 19

  • @3catfather
    @3catfather Год назад +10

    어디에서도 들을
    수 없는 높은 수준의 강의네요. ❤

  • @kouchun3047
    @kouchun3047 Год назад +1

    굉장하십니다. 분석 수준이 너무 좋아서. 본업에 활용하고 싶네요. 전무님! 항상 응원합니다.

  • @hanaro1313
    @hanaro1313 Год назад +3

    내용이 너무 좋네요. 진짜 전기차 기술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영상입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airwolf4naver
    @airwolf4naver Год назад +4

    최신기술 설명 감사합니다^^

  • @sjyoon0603
    @sjyoon0603 Год назад +3

    전무님! 이런 수준 높은 강의 무료로 볼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자료 준비에 정말 정성을 많이 드렸다는 걸 알수 있었습니다. 테슬라가 괜히 테슬라가 아니네여.

  • @김미정-l2o2u
    @김미정-l2o2u Год назад

    새로 알게된 정보네요 감사합니다 😊

  • @한글마로
    @한글마로 Год назад +3

    테슬라가 옥토밸브노하우로
    난방 냉방 겸용에어컨 만들면
    훨싸 잘만들수 있겠어요!ㅎㅎ

    • @hiner999
      @hiner999 Год назад +3

      옥토밸브는 하나의 히트펌프로 배터리 인버터 모터를 동시에 냉각과 가온을 실시간으로 하기 위해서 만든겁니다.
      즉 배터리는 가온하면서 모터 및 인버터를 냉각할 수 있는겁니다.
      일반 건축물은 계절에 따라 냉방 혹은 난방 하나만 작동하므로 필요가 없습니다.채택하면 쓸데없이 코스트만 올라갑니다.

  • @쏭l쏭
    @쏭l쏭 Год назад +6

    목이 많이 상하신것 같아요 감기 조심하세요

  • @seungalpha
    @seungalpha Год назад +1

    잘 배웠습니다😊

  • @기계돌이-h6w
    @기계돌이-h6w Год назад +1

    자동차 열관리가 이렇게 각광받는데 왜 한온시스템 주가는 빌빌거릴까요? ㅠ

  • @parkminsick6169
    @parkminsick6169 Год назад

    이번 ces에 마그네틱 체결 방식이 나왔다는데, 나중에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 @smithjack3497
    @smithjack3497 Год назад +2

    대단하네여

  • @기계돌이-h6w
    @기계돌이-h6w Год назад

    BYD가 배터리 냉매 직냉을 쓰는 이유 중 하나가 원가절감때문이라 하셨는데 BOM 기준 원가 비율 설명하실때는 동일 기능 냉각수 부품보다 냉매 부품이 비싸다고 하셔서 약간 헷갈리네요,,
    부품은 냉매쪽이 비싸지만 시스템적으로는 싸다는 말씀이신가요?

  • @뭘보노-v7g
    @뭘보노-v7g Год назад

    😊

  • @seungwooham3204
    @seungwooham3204 Год назад +3

    기술은 기업이 아니라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연구 하는 것이고 기업은 지금 있는 기술로 사람들에게 필요한 물건을 만들어서 수익을 내는 집단 입니다

    • @IlililililiilII-g7n
      @IlililililiilII-g7n Год назад

      기업들이 R&D 비용이라고 집행하는 수천억원의 비용은 뭔가요 그럼??

    • @seungwooham3204
      @seungwooham3204 Год назад +1

      @@IlililililiilII-g7n 좋은 지적이로군요 수조원의 돈을 가지고 있더라도 학문의 발전과 비교해서는 사실 큰 돈이 아닙니다. 앞서 소니나 캐논 일본의 거대 공룡 기업들도 잠깐은 님이 말한 비용으로 목숨을 부지했지만 결국 기업으로서 가지는 기본적인 틀에서는 벗어나면 사라지는 건 매한가지입니다. 애플이 아이폰 만드는 일화에 대해서 나오지만 자기들이 기술 연구하는 건 하나도 없습니다. 자기들이 원하는 기술을 가진 업체를 찾아내서 비용을 내고 그걸로 물건을 만드는거죠 사실 잘 생각해보면 기업이 기술을 원한다는건 그 기업이 수명이 다 해가고 있다는 소리와도 비슷합니다.

    • @Idontknowwhomi
      @Idontknowwhomi Год назад

      ​@@IlililililiilII-g7n 그건 연구소나 학자들이 만든 뭐랄까 이론적인 것을 산업화시키는 과정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