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를 통째로 외계로 옮기겠다는 정신 나간 계획... 이게 정말 가능하다고?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476

  • @리뷰엉이
    @리뷰엉이  Год назад +225

    영상 내용 오류를 바로잡고 재업한다 부엉😢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내용 오류를 지적해주신 yoonsik3584, ---CHAOS---님 감사합니다!

    • @신-k4q
      @신-k4q Год назад +7

      괜찮아요 그럴수있죠

    • @FvMarine
      @FvMarine Год назад +1

      시간이 되돌아간줄ㅎ

    • @HH-pd6dk
      @HH-pd6dk Год назад +4

      도르마무!

    • @---CHAOS---
      @---CHAOS--- Год назад +8

      한분만 적으셨네요 ㅋ
      저랑 또 다른 분도 있었는데

    • @냥아띠
      @냥아띠 Год назад +3

      2부 인줄알았는데 재업이였군요 ㅠㅠ

  • @jaehyounghyoung137
    @jaehyounghyoung137 Год назад +64

    뜬금없지만... 리뷰엉님 목소리 좋아, 잘때 들으면서 잡니다...ㅎㅎ 식상한 과학을 넘어 유쾌하고 신선한 소식 전해주신 노고에 박수를~~

    • @이마볼
      @이마볼 Год назад

      이선군 죽은날 이딴거나 봐야하다니 .. 한심하군

    • @병하몬
      @병하몬 Год назад +1

      엇...저도 맨날 리뷰엉님꺼 틀어놓고 자는데......

    • @l3ard-m8t
      @l3ard-m8t Год назад

      @@이마볼ㅉㅉ...

    • @김산-u5n
      @김산-u5n Год назад +2

      저도 틀고자는데ㅋㅋ

    • @vincentr6567
      @vincentr6567 Год назад

      뜸금없지만x 뜬금없지만o
      심각하다 진짜. 뭘 수정한 거임?

  • @byjun8946
    @byjun8946 Год назад +17

    우리 리뷰엉이 크리스마스에 무슨일이 있었길래 아에 태양계 자체를 옮기고 싶은거니 ㅎㅎㅎ 오늘도 흥미로운 영상 잘 봤습니다 ㅎㅎ

  • @보빈-k9h
    @보빈-k9h Год назад +56

    태양계 전체를 옮기겠다는 정신나간 계획은 진짜 상상해 본적도 없는데. 대단하다

  • @wagi8240
    @wagi8240 Год назад +6

    이야~~ 가오겔 리뷰 정말 좋았어요!
    그렇게까지 생각할 수 있따니~!

  • @테라리마리오
    @테라리마리오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근데 중요한건 그 거대한 태양도 은하중심의 중력에 의해 원심력으로 돌고 있는데 .. 지구나 다른태양계 행성도 태양이 없다 하더라도 우리은하 궤도를. 불규칙하게 돌고는 있을거에요 달이 태양에중심으로 안돌고 지구랑 가깝다보니 지구에 중력을 더 받아서 도는것뿐 ..
    그리고 사실상 지금 태양을 중심으로 도는 행성들이 은하중심과 상호작용하면서 같이 적용되면서 도는거라 ..그냥 달랑 빙공간에 태양을 두고 태양계행성들을 옮긴다면 어찌될지 ㅎㅎ

  • @반연을관두다
    @반연을관두다 Год назад +57

    태양계를 옮긴다는 생각은 한번도 해본 적 없는데 이미 1987년에 이론적으로 가능성을 확인하고 그럴 듯한 실행방법까지 생각한 사람이 있었다는게 참... 슈카토프 추진기라는 아이디어를 소개해준 리뷰엉님께 감사하고 인류의 위대함을 다시 한번 느낍니다.

  • @mojito249
    @mojito249 Год назад +16

    역시 과학유튜버 리뷰엉이님👍👍🦉 재업이지만 설명을 기똥차게 잘하는 덕분에 또 본 영상을 다시 재미있게 보게되네요ㅎㅎ 이게 리뷰엉이 매직인가??
    아 그리구,
    암흑물질 시리즈로 "암흑에너지" 영상도 보고싶어요오ㅎㅎ

    • @N_O_XJYH
      @N_O_XJYH Год назад

      암흑물질이라는게 진짜 있다면.. 블랙홀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물질에 힘이 존재 한다는건.. 그정도의 반대 요소가 생기니까요..;; 제생각엔.. 암흑물질 자체가 빅뱅이후 생겨난 물질이라면.. 가장 설득력이 높은게 블랙홀이죠.. 빅뱅자체가 우주전체에 팽창을 하는 힘인데.. 그 힘에 영향을 받았다면.. 분명.. 지금 인류가 알수없는 어마무시한 힘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수있음.. 암흑물질은 여러가지 이론들이 있지만..... 제 생각엔 블랙홀같아요...;; 빅뱅이 만들어낸 거대한 블랙홀들의 집합체...

    • @mojito249
      @mojito249 Год назад

      @@Whizz1256 오오~!!감사합니다~ㅎㅎ

  • @inspiration0515
    @inspiration0515 Год назад

    어제는 리뷰엉이님꺼 보다가 잠들었는데 영감 많이 받고 있습니다 너모 재밌습니다요 👍

  • @김진철-i6l
    @김진철-i6l Год назад +7

    행성 항성의 공전 자전 등의 힘이 현제도 균형이 아닌 변화하는 중이며 워낙 작은 수치로 변화해서 태양만 이동 시키면 행성들의 공전 및 자전 궤도가 100% 변합니다...
    지금도 지구에 운석이 떨어지는 이유가 태양계 내의 물질(행성 운석 등)궤도가 아직도 미세하게 변하기 때문이고 모든 천체가 상호작용을 하는데 카오스 이론을 대입하면 절대 불가능 할거라는게 분명해 보이는데... 태양을 옴길 기술력이면 테라포밍이나 다른 행성으로 이주하는 기술이 먼저 완성되겠죠...

    • @vincentr6567
      @vincentr6567 Год назад +3

      현제도x 현재도o
      옴길x 옮길o
      심각하다.

  • @somethumb9958
    @somethumb9958 Год назад +1

    a(은하중심) b(태양) c(지구) 외의 수많은 행상과 항성과 블랙홀들이 서로에게 작용하며 동시에 우주가 팽창하는 그 힘도 작용해서
    각 천체들이 궤도를 가지고 운동을 하는데
    그 중 태양만 다른 에너지원으로 인해 힘을 받아서 운동이 바뀌면 과연 지구가 지금처럼 태양 주위를 제대로 공전을 할까?
    인공위성도 궤도가 계속 변해서 그걸 조정하거나 몇년 쓰고 폐기하는데...

  • @llllIIllIIlIIlllllIIIIIlIIllIl
    @llllIIllIIlIIlllllIIIIIlIIllIl Год назад +9

    수억년 뒤 다른 은하단위를 지배할 정도 위치가 된다면 별 하나를 핵융합 발전기로 쓰기 위해 이동시키는게 고려될 순 있겠네요... 그래도 가성비가 너무 떨어지는듯

  • @조빵꾸-z4k
    @조빵꾸-z4k Год назад

    역시 유튜브 최고의 영화리뷰 채널~!

  • @dingdongdonge
    @dingdongdonge Год назад +12

    와... 진짜 리뷰엉이님 영상 보면서 매번 느끼는데 진짜 목소리 존잘에 설명도 얼마나 알기쉽게 하시는지 정말 시간 가는줄 모르고 보네요.
    리뷰엉이님이 과학선생님 하시거나 교수님이시면 성적 오르는건 시간문제일 것 같습니다.
    정말 감사히 잘 보고있습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

  • @untouchable9494
    @untouchable9494 Год назад +2

    원래 괘도를 벗어나서 수정된 궤도로 진입시키려면 그 태양의 원래속도에서 벗어나게 될텐데 그에 따른 부작용의 가능성은 없을까요?
    지구가 태양의 중력이 살짝 어긋나서 점점 태양과 멀어지게 된다던가

  • @왕이넘어지면킹콩-x6o
    @왕이넘어지면킹콩-x6o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궁금한게 있습니다.
    빛이 미세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면
    1. 태양의 모든 위치가 동일한 빛을 내뿜는가?
    2. 동일하지 아니하면 에너지가 큰 쪽과 적은 쪽이 있는가?
    3. 플레어가 발생한곳은 더 큰 에너지가 발생하는가?
    4. 빛의 양이 불규칙하다면 태양은 아주 미세하게 불규칙적으로 이동중인가?

  • @sbc6786
    @sbc6786 Год назад

    2:06 Vortex 무빙
    솔라시스템의 속도 약 70,000km/h
    ruclips.net/video/0jHsq36_NTU/видео.html

  • @angpang1114
    @angpang1114 Год назад

    이거 다시 볼려고 했는데 없어져가지거 놀랬었는데 재업로드 하셨네…다시 봐야지

  • @pneumonoultramicroscopicsilic0

    와 가오갤 내용 진짜 궁금했는데 리뷰와 결말까지... 와 진짜 감사드립니다

  • @아루마루-i5m
    @아루마루-i5m Год назад

    이런 내용의 영화를 리뷰하셨군요. 잘봤습니다.

  • @김심중-n9q
    @김심중-n9q Год назад +1

    제일 중요한게 더있습니다
    복사열을 어떻게 다른 행성에 영향을 주지 않을까???
    복사열이 몇프로만 높아지더라도
    모드누행성에는 치명적이고 폭력적인 상황이벌어질겁니다
    예를들어 지구가 5프로만 더 복사열을 받는다면 우리지구는 소멸합니다
    저거만들 재료또한 어찌어찌 모아만들어 치더라도 제어가 가능할까요???

  • @rockblack1895
    @rockblack1895 Год назад

    아 너무 기다렸어...❤❤❤

  • @아바타-d1o
    @아바타-d1o Год назад +1

    인공태양 기술이 완성단계에 이르고 우주 여행이 가능한 우주선에 탑재할 수 있다면, 인류는 더이상 태양이 필요없게 되는 것이 아닐까요? 태양계에 문제가 생기면 그냥 떠나면 되는거죠. 태양계 이사는 참 흥미로운 주제였습니다. 잘 보고 있어요.

    • @호크히든
      @호크히든 Год назад

      태양은 신입니다. 우리같은 인간이 감히 태양을 인공적으로 만들수있다고 생각하면안됩니다.
      태양이 보내주는 빛이 곧 우리지구의 모든생명입니다

    • @hjatgmwadtm
      @hjatgmwadtm Год назад

      ​@@호크히든 신이라고 말하는사람은 자기주장이없는 멍청한 인간입니다

    • @ye2184
      @ye2184 Год назад

      태양없으면 떠돌이행성이 될텐데 ㅋㅋ

  • @mycarrot
    @mycarrot Год назад

    며칠전에 빌빌졸면서 꿈에서 봤던느낌들던데 재업이네요ㅋ
    부엉이형 고마워

  • @ddnim4069
    @ddnim4069 Год назад

    영상 마니올려주세용 ㅠ

  • @geuejxbheudjenejxi
    @geuejxbheudjenejxi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추진력이 58000 일정하게 고정이 되지는 않을텐데 어떨땐 흑점때문에 추진력이 줄어들수도있고 어떨땐 늘어날수도있으니 태양과 직접 연결하지않는다면 언젠간 거울이 태양으로 끌려가거나 밀려나게될듯

  • @jamesl4373
    @jamesl4373 Год назад

    예전에 kurzgesagt에서 본 내용이네요 ㅎㅎ 굉장히 흥미로웠습니다.

  • @chikichiki_hello
    @chikichiki_hello Год назад +4

    최근 거울을 한번에 크게만드는 기술이 정말 어렵다고 하는 자료를 봤는데 다시금 떠오르게 하는 영상이네요 :)

  • @guideline277
    @guideline277 Год назад +1

    그냥 재미로 생각해볼 내용이군요 ㅎㅎ

  • @jhunterkim
    @jhunterkim Год назад +32

    팬데믹도 끝났는데 여전히 끝나지않는 인터스텔라 리뷰 ㄷㄷㄷ

    • @Mr.k201
      @Mr.k201 Год назад +11

      부엉피셜 가오갤 리뷰임

    • @김새치
      @김새치 Год назад +11

      어허 오늘은 가오갤리뷰입니다~

    • @qkdrnehdrn4253
      @qkdrnehdrn4253 Год назад +3

      아 ㅋㅋㅋㅋㅋ 가오갤리뷰입니까?ㅋㅋㅋㅋㅋ

    • @용기병-t6y
      @용기병-t6y Год назад +4

      유랑지구 인데요?

    • @jje0000
      @jje0000 Год назад

      ​@@용기병-t6y유랑지구 후속작 유랑태양계입니다

  • @markeb54
    @markeb54 Год назад

    리뷰 잘 봤습니다

  • @신-k4q
    @신-k4q Год назад +1

    전에 한번 올라 왔다가 지우셨던데 또 올라왔넹

  • @hypro-zf1dk
    @hypro-zf1dk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항상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과학을 좋아하는 과린이? 입니다.
    근데 태양계를 이동 시키려면 우리 은하 중심의 중력보다 더 큰 힘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 @dduhdy
    @dduhdy Год назад

    애초에 질량의 문제때문에 불가능합니다 해당되는 크기만큼의 알루미늄을 만들 수 있다쳐도 그만큼의 질량은 어차피 지구지량에서 빠져나간 것 이기에.. 지구에도 궤도가 변하거나 할수도 있는 문제라고 봅니다

  • @MLB1
    @MLB1 Год назад

    은하는 어디를 중심으로 공전하나요?

  • @표주박-d6y
    @표주박-d6y 24 дня назад

    2:03 이거보면 행성 일렬이 가능한건지 모르겠네요 정말 몰라서 그런데 실제로 된적이 있었나요??

  • @crucifix9247
    @crucifix9247 Год назад +1

    와~ 슈카토프랑 리뷰엉이한테 설득당할뻔 했다...

  • @이범진-l6q
    @이범진-l6q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애초에 변수가 너무 많아서 불가능함.태양계가 우리은하를 공전하고 있어도 태양에 새로운 힘이 적용될때 태양계 내에 있는 물질들이 동일하게 적용이 되는것 부터가 미지수임. 영상에 나온 지구와 달을 예를 들어 설명한것도 달의 공전괘도가 진행방향과 평형일때 성립되는 건데 태양계를 옮기는건 태양주위의 행성들의 공전괘도와 수직으로 되야 성립될 가능성이 높음. 뭐 태양을 반만 감쌀정도의 구조물 설치에서 무리겠지만...

  • @hip1zzil
    @hip1zzil Год назад +2

    이런 게 가능했군요...
    오늘도 좋은 지식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greenvilla6191
    @greenvilla6191 Год назад +2

    1억년은 지나야 효과가 있는 프로젝트라니 약간 우주선 개발의 역설같은 느낌이네요
    1천년 걸려서 센타우리로 갈수 있는 우주선은 발사할 필요가 없다... 50년정도 뒤에는 100년만에 도착할 기술력으로 새 우주선을 발사 할테니까...
    1억년 이득보려고 만들다가 천년쯤 뒤에는 이미 문제가 해결되버리겠죠

    • @vincentr6567
      @vincentr6567 Год назад

      해결되버리겠죠x 해결돼버리겠죠o

  • @hohoho8000
    @hohoho8000 Год назад +3

    행성 옆에 회전하지 않는 물체를 고정할수있나....? 무조건 공전을 해야하는거 아님? 인공위성처럼

    • @권태환-r8h
      @권태환-r8h Год назад

      아마 이동을 원하는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추진동력이 위치했을때만 분사하는 방식으로 가능하지않나 싶어요 우주에는 저항이 거의 없으니까 힘이 가해진 만큼 등속에 가깝게 이동할듯?

  • @오늘도_화이팅
    @오늘도_화이팅 Год назад

    태양계를 빛의 속도로 이동 시킬 수 있다고 해도
    태양계를 살릴 수 없지 않을까요..? 오히려 파멸로..
    태양은 우리 은하를 공전하는데 우리 은하를 벗어나면
    태양의 자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그렇게 되면
    태양을 공전하는 행성들에도 문제가..

  • @iwannafly-v7m
    @iwannafly-v7m Год назад +7

    과학자들은 생각의 스케일이 아예 다르구나

  • @백지기타
    @백지기타 Год назад

    저의 짧은 소견으로는 양자거품을 이용하면 어떨까해요
    비교적 최근 NAWCAD 에서 양자거품을 이용한 특허가 승인되었는데 이 기술을 이용하면 시공간의 흔들림을 만들어낼 수가 있답니다. (거짓같지만 실제 특허 ^^;)
    그래서 이 기술을 이용하여 태양 앞쪽의 시공간을 좁히거나 늘려서 회피기동 하는 방식으로 이용하면 재앙을 피할 수 있지않을까 싶네요 ㅎㅎ

  • @user-hp9hg8cm9n
    @user-hp9hg8cm9n Год назад +2

    6:30 왜 하필 복사압의 힘이 58000%일까요?🤔

  • @이차원-t3m
    @이차원-t3m Год назад

    오늘도 흥미롭고 신비로운 내용 감사합니다. 좋아요 했어요~

  • @sehyunlee1860
    @sehyunlee1860 2 месяца назад

    그러고보면 예전에 이미지 코믹스던가 정발했었던 캡틴 테일러 소설판 마지막 권에서 은하계 전체를 옮기는 내용이 있었죠.
    쫓아오는 행성인가 은하계에서 피하려고

  • @isaac1992-g4i
    @isaac1992-g4i Год назад

    태양 빛을 막는다는 아이디어는 금성을 테라포밍하는 작업에도 활용할 수 있을까요?

  • @jjjjjjj321
    @jjjjjjj321 Год назад +1

    궁금한게 생겼는데요
    태양 빛을 너무 많이 받아 뜨거워진 행성이나 적게 받아 차가워진 행성에 태양 빛을 조절해 받을수 있는 판을 깔면 어떻게 되나요? 뭔가 태양계를 움직일수 있다는 영상을 보다보니 궁금해져서요;;

  • @jaystv9099
    @jaystv9099 Год назад +2

    다시 올리셨네요.
    영상이 짤렸나요?

    • @리뷰엉이
      @리뷰엉이  Год назад +1

      슈카토프 추진기에 대한 설명에서 치명적인 오류가 있어서 다시 영상을 만들어 올렸어요😢

  • @minkim6879
    @minkim6879 Год назад +1

    이래서 일론머스크 가 스페이스 X
    스타쉽 우주선에 집중하는거구나ㅎ

  • @최현정-r7t
    @최현정-r7t Год назад

    그런데 거대 거울의 반사율이 높고 흡수율과 투과율이 낮아야 한다 하셨는데 그렇게 되면 결국 지구 등의 행성에 전해지는 에너지가 줄어들어서 태양빛이 부족해 온도가 급감하는 등의 현상이 일어나지 않을까요?

  • @돌멩이-g2f
    @돌멩이-g2f Год назад +2

    저정도 상황이면 깔끔하게 그냥 죽는게 낫지 언제 도착할지도 모르는 곳까지 무작정 가는건 생각만해도 끔찍함 ㅋㅋ

  • @hfr75gi544
    @hfr75gi54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런데 결국 문제는 이동경로. 그 험한 우주에서 행성 몇 개 잃는 건 약과, 태양 자체가 다른 별에 먹힐지도. 그걸 피해가는 경로 설정이 가능하냐는 문제에서 그 답은 불가능. 백번 양보해도, 태양을 옮기기 전에 어떠한 우주선이라도 가장 가까운 별 근처라도 가보고서 얘기해야겠죠.

  • @뺀찌쟁이
    @뺀찌쟁이 Год назад

    은하의 중력이 태양의 힘보다 더 클것 같은데요? 태양의 힘으로 추진력을 만드는것보다 지구의 탈출속도를 내서 우주로나가는 로켓을 만드는 것처럼 은하의 탈출속도를 내기 위해선 어마어마한 에너지가 필요할듯합니다.태양의 복사압같은 미약한 힘으로는 가능하지 않을듯 싶습니다.

  • @Daydream-lk8vp
    @Daydream-lk8vp Год назад

    은하도 공존할 수 있나요

  • @chory-c8n
    @chory-c8n Год назад +1

    근데 이렇게 공전하면 북극성의 위치는 자전축과 같아도 이전과 차이가 더 벌어져야 할텐데 이건 어때요?

  • @박지원-p7t5k
    @박지원-p7t5k Год назад +1

    3:58 태양 공전방향 저거 맞음?

  • @해성-g3s
    @해성-g3s Год назад

    7:54 원뿔의 꼭짓점이 태양쪽을 향해야 한다고 하셨는데 왜 다른 그림들은 태양을 감싸는 모습인가요?

  • @유유-s1u
    @유유-s1u Год назад

    올해 태양풍 피해가 크게 오는 주기라 하던데.. 저 추진기에 흑점 폭발이나 태양폭풍이 오면 견딜까요..?

  • @mapleisb
    @mapleisb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돛단배에 선풍기켜놓으면 앞으로가나요?

  • @sehwanchoi221
    @sehwanchoi221 Год назад

    저는 궁금한게 태양이 움직이는건지 2:06
    공간이 움직이는지 예를들면 풍동시험 했던거 처럼 물체는 정지해있고 바람을 속도에 맞춰서 토출하듯이요…

  • @밭가는소
    @밭가는소 Год назад

    영화 유랑지구에서 지구에 행성추진기를 설치한다는데 그럴라믄 우선 지구가 자전을 멈춰야하지 않나. 자전 멈추면 부작용 장난 없을텐데.
    뭐 그거 말고도 말도 안되는 설정이 많긴 하지만. 휴고상까지 받은 원작자가 설마 그런 것도 모를리도 없고.

  • @daekkaehak
    @daekkaehak Год назад +20

    태양계 이주 계획이라는 정신나간 계획을 상상했다는 것만으로도 대단하다 ㅋㅋㅋㅋ

  • @minnikashyap3772
    @minnikashyap3772 4 месяца назад

    유흥업소 관계자들이 뽑은 최고의 노리터 꼼 프 라 카 ㅎㅎ

  • @why-how
    @why-how Год назад

    지구 공전궤도는 우주선 발사의 영향으로 인한 작용 반작용의 결과로 태양에 가까워져서 지구 온도가 올라가고 있다.

  • @껌꾸끼까
    @껌꾸끼까 Год назад +2

    과학자들도 이제 그냥 막 던지고 보는 느낌이네
    저 정도 드립이면 거의 술쳐먹고 오징어 질겅질겅 씹으면 할 소리

  • @현이천사-k2x
    @현이천사-k2x Год назад +1

    슈카토프 만들 재료가 있으면 그걸로 다이슨 스피어를...ㅎㅎㅎ

  • @셸란
    @셸란 Год назад

    최고❤❤

  • @이응둘룸메
    @이응둘룸메 Год назад

    태양계가 태양중심으로 해서 공전하는 구조인데 축이되는 태양을 이동시키면 중력간의 수평이 끊어져서 오히려 탈주하는행성이나 태양에 끌려가는 행성이 있을지언정 상식적으로 같이 이동하는건 불가능할거같은데....

    • @Meunuaru
      @Meunuaru Год назад

      10억년 지나야 초속 20km 변하는 거라 행성이나 다른 태양계 물질들의 이탈 같은 건 거의 없을듯

  • @ehdgh2120
    @ehdgh2120 Год назад

    태양을 추진기로 빨리 움직여버리면 몇몇행성은 떨어져나갈거같은데..기존처럼 태양에 붙들리려면 더 큰 중력이 필요한거 아닌가?

  • @peach-tree-e
    @peach-tree-e Год назад

    저 정도 넓이에 아무리 얇게 만들어도 행성 몇개는 아작내야할껀데. 지구자원으로 할수있을라나요? 궁금

    • @백은우-z8y
      @백은우-z8y Год назад

      저도 그게 궁금함
      물질적으로 가능한지

  • @many2533
    @many2533 Год назад +1

    일론머스크는 인간의 진화를 은하철도999의 철이가 되어 다른 행성으로 가는거라는 의견도 있던데....그게 태양계를 옮기는 것보다 빨리 실현되지 않을까하는....

  • @lenlan493
    @lenlan493 Год назад

    태양계 질량 중 약 99.85%를 태양이 차지하고 있으며, 행성들은 단지 약 0.135%밖에 되지 않는다. 그 외 질량은 위성, 소행성, 혜성 등이 채우고 있다.
    근데 태양 주위를 뭘로 만들어서 감싸겠다? 재밌네요 ㅎㅎ
    지구와 붙어있는 달의 거리도 중간에 지구 31개가 들어간다고 합니다. 생각보다 엄청 멀리 떨어져 있죠

  • @ptahoteff
    @ptahoteff Год назад

    슈카토프 추진기 검색해봤는데, 자료가 참 없네요.

    • @수면노래
      @수면노래 Год назад

      Kurzgesagt

    • @ptahoteff
      @ptahoteff Год назад

      @@수면노래 거기가 이 영상의 원본이애요.

  • @유레카-b2l
    @유레카-b2l Год назад +1

    예전에 쿠르트게작트에서 비슷한 내용을 다루었습니다.

  • @polminginluv
    @polminginluv Год назад +1

    오잉 재업인가용???

  • @aisu357
    @aisu357 Год назад

    요상한 추진기를 만드는 능력으로 다이슨 스피어를 만드는게 좋지 않을까요?

  • @potential360
    @potential360 Год назад +1

    우선 지구로 충돌 가능성이 높은 소행성들 부터 하나씩 옮겨보자 부엉

  • @high-limousine4319
    @high-limousine4319 Год назад

    재미는 있었어요. 근데 슈카토피 만들 기술로 2지구 찾아서 테라포밍 ㄱㄱ

  • @stevejang8608
    @stevejang8608 24 дня назад

    태양계의 궤도를 바꾸면 … 다른 항성계와 충돌 또는 간섭을 받아 더 큰 문제가 생길 확률이 엄청 올라갈 것 같은데요?

  • @iu976
    @iu976 Год назад

    어쩐지...난 또 평행우주의 또 다른 내가 이 영상을 본 기억과 중첩되었었나? 이거 본적있는거 같은데? 라는 착각하며 다시 보구 있습니다 허허

  • @paradis0726
    @paradis0726 Год назад

    블랙홀이 태양계 주변에 온다면 예측도 할수 없어요.빛까지 삼키는 천체니까 안보이죠.블랙홀은 1000년후에 실제로 올수 있어요.근데 볼수 없죠.갑자기 망원경으로 해왕성을 보는데 해왕성이 없네 그러면 큰일난거죠.태양계는 종말이에요.그날부터 우리가 아는 푸른 하늘,태양,지구 흔적도 없이 사라지기만을 기다려야 해요.

  • @Taotao184
    @Taotao184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지구를 침략할때, 지구 공격할것도 없이 태양 빛을 막아버리는게 제일 효율이 좋겠네요

  • @제임스웹-r1c
    @제임스웹-r1c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결국 결론은 불가능하다

  • @최강ktwiz
    @최강ktwiz Год назад

    와.... 인간의 한계는 어디인가??? 물론 저걸 단 몇년만에 만들지 못하는게 한계지만 그 이론을 완성햇다는것에 너무 놀랍다.

  • @흐우꾸우흐우꾸우흐
    @흐우꾸우흐우꾸우흐 Год назад

    거대한 태양을 붙잡아두고있는 은하의 중심에 있는 무언가는 엄청 강력한 중력이 있을텐데 왜 지구같은 행성은 은하의 중심이 아닌 태양 주변을 돌고있는건가요?

  • @료멘스쿠나-g8n
    @료멘스쿠나-g8n Год назад

    태양계 전체에너지를 사용하는 문명이되면 은하에너지 다음 다음 이렇게 있던데

  • @inariukanomiya7441
    @inariukanomiya7441 Год назад

    핵융합 엔진으로 밀어내는 강력한 액티브 스텔라 엔진은 안 다뤄주셔서 좀 아쉽네요...

  • @user-rax146
    @user-rax146 Год назад

    지구에서 탈출할 생각만 했지 태양계 전체를 이동시킨 다는 생각은 하지도 못했네요.

  • @labin1120
    @labin1120 Год назад

    이거 됨? 빛 한쪽을 막아도 태양이 내뿜는 빛에 의한 운동량은 전 방향 같아서 결국 멈춰있는 거 아님? 거울이 고정되어있는 힘도 결국 빛의 추력인데 빛이 반사되어 다시 태양으로 가는 게 아니면 똑같을 것 같은데 ..? 진짜모름

  • @문지학-k6b
    @문지학-k6b Год назад

    후.. 일단 그렌라간부터 만들도록 할까요.. 은하 정도는 잡아서 던질 수 있을테니..

  • @Cyphers__
    @Cyphers__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러다가 실수로 행성 하나가 우주로 튕겨나가기라도 하면 ... 가능성은 있는데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

  • @T3nXoR_-
    @T3nXoR_- Год назад

    설령 슈카토프 추진기를 고효율로 해서 성공하여 태양계를 움직인다고 해도
    방향을 잘 잡아야 함. 잘못하다 초신성이나 블랙홀로 가는 수도 있음.

  • @michael_tankpa
    @michael_tankpa Год назад +1

    아! 가오갤 리뷰였구나! 휴.. 난 또 과학이야기인줄

  • @actttca9224
    @actttca9224 Год назад +18

    일전에 올라왔던영상 아닌가요?

  • @ALProAce
    @ALProAce Год назад

    제가 우주행성 시뮬레이터 게임으로 태양을 옴겨봤는데요, 안딸려 옵니다 ㅡ
    오히려 궤도가 틀어지면서 태양계 행성들은 타원궤도를 만들어 조금 돌듯 하다가 흩어지구요
    태양 혼자 이동해서 사라집니다 ㅡ

  • @Novice-jq4uu
    @Novice-jq4uu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근데 무작정 옴기다 다른 별,은하의 중력의 영향으로 궤도가 바뀔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entry_waniwani
    @entry_waniwani 8 месяцев назад

    08:29 얼음지구 이지만 불은 들어오는ㅋㅋ

  • @Keysersoze0211
    @Keysersoze0211 Год назад +1

    태양계도 움직이고 있단 걸 알게 되고 나서 어쩌면 태양계 자체가 새로운 문명(외계인)을 찾기 위한 고도의 우주탐사선 같은게 아닐까 상상해 보곤 했다. 태양이 에너지 원이고 지구에 살다가 지구 에너지가 고갈되면 화성으로 이주해서 또 살아가고 그런 식으로 탐험을 이어 가는거지.

    • @김원빈-z9s
      @김원빈-z9s Год назад

      아... 예... ㅎ

    • @콜라-x8j
      @콜라-x8j Год назад

      누가탐사하고있는대여

    • @Keysersoze0211
      @Keysersoze0211 Год назад

      @@콜라-x8j 인간이지 누구겠어요? 이렇게 거대한 태양계를 움직이게 하려면 그만큼 큰 폭발적인 에너지가 필요했을 것이고 그 충격으로 아틀란티스는 물에 잠기고 다른 문명도 박살나고 어떻게어떻게 살아남은 아이 두 명은 아담과 이브 뭐 그런 상상이죠.

    • @수면노래
      @수면노래 Год назад +2

      @@Keysersoze0211그런 재밌는 상상이 결국 과학을 발전시키는 거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