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 프록시마 센타우리까지의 실제 거리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50

  • @국밥왕
    @국밥왕 4 года назад +72

    가장가까운별이 이정도거리이고 이정도거리씩두고
    우리은하에만 4천억개의별이있고 그런은하들이 별사이보다 더먼사이로떨어져서 2조개정도있고 여기까지도 관측가능한우주이고 그이상머가더있을지는아무도모르니, .,
    우주는 사람의 생각으로는 정확히 상상하기도힘든크기인거같습니다
    생명체또한 여기저기 셀수없이있겠죠...
    신이 있다면 생각보다 많이바쁘시겠네요
    신의존재마저 우주의크기를생각해보면 부정할수밖에... 우주를 생각하면 저또한 마음의해탈?과 편안함 죽음또한 더이상두려운것이 아니게느껴짐니다. 정말 티끌보다작은곳에서 아주잠깐 찰나의순간을살아가는게 새삼 느껴지네요 이번지구에삶 여행 마무리잘하고 몇십억년후 태양도 없어진우주에 나의왼팔은 다른행성의 바위의일부성분이되있고 오른팔은 또다른행성의 미역의일부분이되서 파도에흐느끼며 살겠죠 두려울꺼도없고 삶이 힘들어할이유가전혀 없는것같습니다. 이번지구여행 지적생명체로 살수있음에감사하고 즐기며 행복하게 살면될꺼같아요

    • @최병운-c7y
      @최병운-c7y 3 года назад +2

      이밤에 숙연해지네요

    • @랜덤올
      @랜덤올 3 года назад +8

      이 넓은 세상에 내몸편히누을 땅한평없네
      젖가튼 세상

    • @ysy294
      @ysy294 3 года назад +4

      맘속 깊은곳에
      눈물나는 간접 우주 여행였습니다

    • @본토-m3l
      @본토-m3l 3 года назад +1

      이 우주에 지구만이 유일한 특별한 곳입니다.

    • @철민이-d7s
      @철민이-d7s 2 года назад +1

      삶이가치없어지는 느낌이네요 ㅜㅜ

  • @gotv9008
    @gotv9008 3 года назад +53

    이래서 안드로메다하고 우리은하하고 합쳐저도 별끼리 부딪힐확률은 거의없다더니 이해가된다

  • @김도균-v1b
    @김도균-v1b 4 года назад +34

    우주는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상식으로는 상상할수없는 크기입니다.
    이영상이 비유가 매우 적절하네요.

  • @이명재-r8v
    @이명재-r8v 3 года назад +10

    구독눌렀습니다~~
    새벽에 누군가가 별의 거리를 알려주기 위해 달릴꺼라고는 생각도 못했네요^^

  • @minsoo_suh3216
    @minsoo_suh3216 4 года назад +18

    5:50 완전 동감입니다. 저도 살면서 힘든 일들을 만날 때 밤하늘을 보면 뭔가 그냥 힐링되는 느낌이 듭니다 ㅎㅎ

  • @po105kr
    @po105kr 4 года назад +43

    외계인의 지구 침공은 없다니까. 외계인이 없는게아니라 지구를 못 찾아.
    그러니 걱정말고 내일 출근생각만하자. ㅜㅜ

    • @스핀볼
      @스핀볼  3 года назад +2

      맞는 말씀입니다. ㅎ

    • @호롤롤로-o1y
      @호롤롤로-o1y 3 года назад +4

      지구까지 침공할 때 필요한 자원과 시간으로 차라리 근처 아무 행성계를 개발하는게 나을 듯 ㄷㄷ

    • @HGH_Dwarf_Messi
      @HGH_Dwarf_Messi 3 года назад +3

      +우주의 시간은 워낙 길어서 동시간대에 서로 다른 문명이 존재할 확률도 ㅈㄴ낮음

    • @sududuyemzmzmzmzm
      @sududuyemzmzmzmzm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ㄴ7ㅁ​@@HGH_Dwarf_Messi

  • @hsw8909
    @hsw8909 4 года назад +23

    와~~ 우주여행하는느낌으로 체감하면서 봤는데 정말 공포까지 느껴질정도로 머네요
    하늘을 가득채운 별들이 저렇게나 텅텅비어있는 거리에 서로있었다니 별들이 서로 영향을 미칠수없을만큼 먼거리네요 지구 목성 명왕성 그리고 그사이에있는 소행성들까지도 태양의 조각에 불과하다라는 생각이 드네요 좋은영상 잘봤습니다

  • @그날이오면-m7g
    @그날이오면-m7g 3 года назад +32

    서울에서 부산까지 약 400km라면 센타우리 까지 약 4광년이라 치면 약40조km입니다
    서울서 부산까지 거리의 약100억배 거리입니다
    먼우주 센타우리 도착해 우리지구를 보았을때 지구는 1개의 작은 모래알의 불과 합니다
    이작은 모래알 속의 아파트 50평 산다고 100평산다고
    뽐내지 말고 겸손 또 겸손해야 할것입니다

    • @최문호-f4y
      @최문호-f4y 2 года назад

      1000 억배죠 ㅋㅋ

    • @MJBZ-n9g
      @MJBZ-n9g 2 года назад +2

      모래알도 아니죠. 먼지도 아니고 원자 크기 정도 될려나요

  • @ki-sang
    @ki-sang 3 года назад +12

    보이저 1,2호가 초속17km로 40년이상을 쉬지 않고 날아가고 있죠. 1초에 17km를 그런데 그런보이저호가
    태양계 카이퍼벨트를 벗어나는데 300백년예상하고 태양계의 끝 오르트구름을 벗어나는데 3만년이 걸릴거라 예상한답니다.
    그리고 가장가까운 프록시마 센타우리까지 가는데 8만년을 예상하고 있죠.

  • @초쿠밀
    @초쿠밀 3 года назад +7

    어마어마하게 먼 거리라는 것을 알고는 있지만
    이렇게 비교하니 이해가 쉽네요.

  • @센타루치아
    @센타루치아 4 года назад +21

    영상잘 봤습니다. 그런데 태양에서 지구까지의 거리가 21.8cm라고 하면, 프록시마 센타우리까지의 실제 거리는 38.8 km가 아니라 약 58.1km가 됩니다.
    9조 4,600억 km/1광년 x 4.22 광년 = 39조 9,200억 km이고요.
    39조 9,200억 km/1억 4,980만 km(1 A.U) = 266,497 A.U 가 나옵니다.
    그래서 21.8 cm X 266,497 = 58.1 km가 나옵니다.
    보이저 1호가 도달한 거리가 약 210억km인데 알파센타우리까지의 거리는 보이저 1호가 도달한 거리의 약 1,900배가 되는 엄청나게 먼 거리입니다.

    • @스핀볼
      @스핀볼  4 года назад +13

      에구야~ 지적 감사드립니다. 저도 58.8km로 거리를 환산을 해놓고 그래서 시흥 배곧에서 산본까지 대략 거리를 계산하고 왕복 주행을 했었는데요. ㅎㅎ 지금보니 수치 표기가 완전히 잘못되었네요. 저도 영상을 만들어놓고 이제서야 발견했네요. 말씀하신 내용이 정확히 맞습니다. 다시 한번 지적 감사드립니다.

    • @정크랫-t7t
      @정크랫-t7t 4 года назад +3

      우와 우주는 경이로워 ㅜㅜ

    • @fptnffld
      @fptnffld 3 года назад +4

      @@스핀볼 58억이면 산본이아니라 시흥에서 안양이나 서울 구로구 까지도가겟는데요?

    • @본가파주냥
      @본가파주냥 2 года назад

      58kmm면 편도로 배곧에서 평택 안중우체국까지 거리;ㅋ
      태양 지구거리(1억5000만kmm)21센치가
      졸라 하찮다못해 존재가치조차 무의미해 지는수치ㅡㅡ;

  • @tvjeolphagotv7806
    @tvjeolphagotv7806 4 года назад +12

    계산하고 찍느라 고생 많으셨어요~

    • @스핀볼
      @스핀볼  4 года назад +1

      네 말씀 감사합니다.

  • @newcreature-g7j
    @newcreature-g7j 3 года назад +4

    저도 같은 하늘 아래, 같은 땅위에서, 같은 이유로 우주 영상 자주 본답니다 ㅎㅎ 재밌고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Secretkilo
    @Secretkilo 2 года назад +1

    요새는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단위인 지구와 태양까지의 거리인 AU단위를 바탕으로 하셨는데 그렇게 계산하여도 자막이 잘못된게 맞고 본문 설명에 쓰셨듯이 실제로는 58km가 나오네요.

  • @꿈야망-p6s
    @꿈야망-p6s 3 года назад +7

    정성이 대단해서
    구독갑니다 ㅎㅎ

  • @sky_air
    @sky_air 4 года назад +19

    최고의 방송입니다. 태양계 행성 크기를 조금 크기별로 구분했다면. 교육 자료도 좋은 것 같네요.

    • @스핀볼
      @스핀볼  4 года назад +3

      네 말씀 감사합니다.

  • @TheMisology
    @TheMisology 2 года назад +1

    가장 제대로 체감할수 있는 영상이네요 추천 꾹

  • @eunyoung873
    @eunyoung873 3 года назад +7

    엔지오에서 지구를 구슬크기로 축소했을경우 프록시마 센타우리별이 지구로부터 4000km 떨어졌다 하더군요

  • @jaehonglee2017
    @jaehonglee2017 4 года назад +11

    힘들때마다 우주관련 영상을 보신다는데 매우 공감합니다!! 프록시마 센타우리까지 지구에서 우주선으로는 약 7만년~10만년이 걸린다는군요 ㅎㄷㄷㄷㄷ

    • @스핀볼
      @스핀볼  4 года назад +2

      네 우주는 마치 심리적 도피처 같습니다. ㅎ 좋은 나날 되시기를 바랍니다.

    • @은하수-i4n
      @은하수-i4n 4 года назад +4

      현대 기술로는 약 50 만년이상이 걸립니다.

    • @성우-r2q
      @성우-r2q 4 года назад +3

      자동차도 수명이 길어봐야 몇십년정도인데 우주선이 빠르게 몇만년 날아갈수 있으려나? 몇만년 날아가면 우주선 안에서 생활해야되고 생존을 위해 아이도 태어날텐데 교육도 해야되고 몇만년 날아가는게 말처럼 쉽지가않음 ㅡㅡ

    • @전민철-j9v
      @전민철-j9v 4 года назад +1

      @어그로전문가 전파가아니고 빛의속도

    • @po105kr
      @po105kr 4 года назад +3

      난 그 우주선에서 김밥과 사이다를 팔겠소

  • @권자단
    @권자단 4 года назад +3

    어느 영상에서 우주 크기를 설명 했는데
    태양 지구거리 입자가 100개미만이라고함.
    우주전체모든행성 포함 입자가 그 만큼 큰 공간에 다 모여야 우주 크기라고 합니다.

  • @명탐정꼼수
    @명탐정꼼수 3 года назад +6

    비행기 타보신분 비행기속도가 시속900키로
    비행기로 센타우리에가려면 500만년날아가고 64000년만 더 가면 도착합니다

  • @장태영-b4c
    @장태영-b4c 3 года назад +4

    영상 잘 봤습니다
    이 영상을 보고있자니 영화 스타워즈가 무색해집니다.
    프록시마 센타우리까지 4.22광년이 걸린다는데 무슨 우주선으로 태양계 밖 행성 사이를 그리 쉽게 날아다니는 걸로 묘사 했을까요. 광속의 광속배 만큼 빠른 이동수단이 있어야 그나마 일부 우주를 탐사할수 있을까.
    어쨋든 상상력이 초라해질 정도로 광대한 우주.
    넓이를 가늠해보는 것조차 허망한 느낌입니다.

  • @정승호-d4t
    @정승호-d4t Год назад +1

    별이 많이 이유는 100미터 x 100미터 유지에 0.1MM점하나가 있습니다. 찾기도 힘들겠죠? 이런 유리가 1억장 겹치면 점이 1억개가 보이겠죠? 아득한 깊이 때문에 여러개가 보이는 겁니다.

  • @기네스죠아
    @기네스죠아 3 года назад +12

    이 넓은 우주에 내 땅이 1평도 없다니 😭

  • @kisun2u
    @kisun2u 3 года назад +1

    저도 10년전쯤에 책에서 지구에서 태양 다음으로 가장 가까운 별이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보다 26만5천배가 더 멀다는 문장을 보고 정말 소름끼쳤었는데.. 수고하셨습니다. ㅋ 과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우주에는 최~~~~~~~~~~~~~~~~~~~~~~~~~~~~~~~~~~~소 1000억개x1000억개 이상의 '항성'이 있다고 하죠. ......... 근데 항성과 항성 사이의 거리가 이렇게 멀다면.................. 우주는 무한대 아니 그 이상의 넓이일지도 모릅니다... 이런 와중에 우리 일개 인간 하나하나는 얼마나 가엾고 미세한 존재인지는 가늠조차 안됩니다.

  • @promise6622
    @promise6622 3 года назад +5

    1광년이 대략 63241AU(대략 9조4천억KM)라 하네요
    프록시마와의 거리가4.37광년이니까 상상도 못할 거리

  • @정도옥-l3u
    @정도옥-l3u Год назад

    우주의 크기를 이렇게 실감나게 느껴본건 처음이네요~~~~
    애쓰셨습니다^^

  • @이정재-v9t
    @이정재-v9t 2 года назад +2

    제일 가까운 별을 현실감 있게 체감해보는 영을 보는데
    머리가 아프고 속이 울령거린다
    우주의 커기를 상상할수도 없구나!

  • @user-hp5hc3wd6n.
    @user-hp5hc3wd6n. 3 года назад +2

    이래서 겸손해야 한다는 이유입니다.
    먼지 만한 지구에 우주적 시각으로는 나타난지 1초도 안되기 때문..

  • @청보-v9q
    @청보-v9q 2 года назад

    공유하고 가져갑니다
    감사합니다

  • @v_v7365
    @v_v7365 Год назад +1

    신박한영상이네여, 배곧사시는군요 ㅎ ㅎ

  • @박태인-n3c
    @박태인-n3c Год назад +1

    우주크기 체감영상중 최고임!!

  • @geunii5418
    @geunii5418 4 года назад +26

    이정도 설명이면 이해력부족 바보들도 쉽게 알겠내요.굿 👍...이러니 외계 지적생명체들이 존재해도 지구에 인류와 만날수가 없는거지...제일가까운 별도 이렇게 먼대...

    • @최병운-c7y
      @최병운-c7y 3 года назад

      확실한것은 불확실한것이란 말이생각난다 아무도 모른다 우리보다 몇만년앞선 문명이 도처에 널려있는지 그들에게는 우리지구가 하찮은 조그만 돌덩이에 불과 필요치않으니 관심도없다 인간이 개미.모기 보듯 미물에게 관심갖는 사람은 별로없잖아

  • @mungoo1203
    @mungoo1203 3 года назад +7

    이렇게 먼데 별이 보이는것도 신기하네요. 얼마나 크면...

    • @박림박이
      @박림박이 2 года назад +1

      ㅋㅋ 심지어 프록시마는 지구에서 맨눈으로 보이지도 않음 작아서

  • @Luminary03
    @Luminary03 3 года назад +2

    오늘도 길바닥에 수두룩하게 죽어있는 하루살이들을 보면 우주와 인간 사이도 그런것이 아닌가.. 초연해지죠

  • @Harry_Mione
    @Harry_Mione 2 года назад

    생각보다 가까운데? ㅋㅋㅋ 한 대전까진 갈 줄ㅋㅋ 우주+새벽+드라이브 뭔가 영상이 좋다..

  • @younunam959
    @younunam959 4 года назад +7

    파일 잘라내기 붙여넣기 즉 원래 공간의 물질을 복사하여 다른 공간에 붙여넣기하는 순간이동 기술이 개발되면 우주여행이 가능합니다.

    • @Louie-d8m
      @Louie-d8m 3 года назад

      아뇨 그거 가지고는 우주여행이 가능한게 아닙니다만 워프 기술(한창 개발중인 기술)이 실현 되야 가능합니다 성간 여행은

    • @doodaebal
      @doodaebal Год назад

      빛 보다도 개존나 훨훨 빨라야함...

  • @k-alwjd699
    @k-alwjd699 3 года назад +13

    위에 동영상 때문에 증명되는게 딱하나있음 . 즉 , 지구에 외계인이 왔다 갔다 한다는
    이야기는 절대 불가하다는것... 저는 우주에 , 지구외에 다른 생명체가 있다는것에 100% 공감함.
    그러나 그 생명체 ,인간만큼 , 또는 그이상의 생명체가 지구에 온다는것은 과학적으로 절대
    불가능 하다는것에도 공감함. 모든 과학자들이 부정하는 이유가 바로 동영상에서 증명됨.

    • @스핀볼
      @스핀볼  3 года назад +2

      저도 동감합니다. ㅎ

    • @tur7321
      @tur7321 3 года назад +4

      아직 발견 0.001%도 안했는데 왜 자꾸 꼭 있다고만 믿는지,
      확률은 엄청 낮더라도 없을 확률도 늘 존재.
      뭐든지 꼭 많다고 무조건 꼭 있다고 할수 없듯이, 화석과 뼈로서 공룡 존재 증명 했듯이,
      가까운 태양계부터 고등생명체 아니라도 발견부터 먼저,
      예전에도 과학자들 화성에 운하가 있다고 믿었지만 결과는,
      공부 엄청 잘한다면 어떤 시험 합격할 확률이 높지, 꼭 합격 장담 못하듯이,
      확률이 아니라 증명 중요, 지금 현재까진 없음.
      희귀한 지구가설,
      계절의 변화, 바닷가의 파도 기타 등등 지구에서 일어나는 자연의 신비로움,
      너무나 흔치 않은 너무 특별한 지구,
      지구에만 생명체 존재한다면 오히려 더 소름

    • @kknd1191
      @kknd1191 2 года назад

      @@tur7321 별마다 생명체잇는 행성이 한개씩은 있다고 봅니다.

  • @디붕
    @디붕 2 года назад

    0:00 알파센타우리 아래 빨간색 동그라미가 프록시마 센타우리죠?

  • @gaebbakchim
    @gaebbakchim 4 года назад +6

    결론: 내 인생에 탐사선이든 뭐든 인류의 흔적이 프록시마센타우리계로 한번이라도 닿을 확률 -200% 이다. 인류가 멸망하기전에도 가볼까말까니깐 집나갈 생각 말고 그냥 지구한테 잘 해주자.

    • @스핀볼
      @스핀볼  4 года назад +1

      맞습니다. ㅎ

    • @gaebbakchim
      @gaebbakchim 4 года назад +3

      @@스핀볼 비교적 최근 발표에 칩사이즈의 나노탐사선을 다량으로 레이저로 쏘아서 프록시마센타우리까지 보낼 계획이라고 합니다. 준비만 최소 20년, 도착하는데 최소 20년이기 때문에 아마도 저는 아니더라도 제 자식세대가 알파센타우리의 정밀근접촬영을 볼수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 @스핀볼
      @스핀볼  4 года назад +1

      @@gaebbakchim 네 저도 그 내용 어디서 본 것 같습니다. ㅎ 비가 많이 오네요. 오늘 하루도 건승하시기를 바랍니다.

  • @LOVEELSA-sr9qp
    @LOVEELSA-sr9qp 3 года назад +1

    지구크기를 2센티로 압축했을때 우리은하에크기는 직경이 15억키로라고합니다 태양과 지구거리에 10배
    즉 10AU 입니다

  • @신승호-d3o
    @신승호-d3o 3 года назад

    인터스텔라 영화가 생각나네요
    영상 고마워요

  • @와룡선수
    @와룡선수 3 года назад +5

    우주관련 영상 보다가 알수 없는 알고리즘이 날 여기로 데려왔는데
    보이저를 지날때 로얄팰리스(우리집)가 나와서 깜놀, 우주의 크기에 또한번 깜놀,실내 컬링장 쥔장분이 유투버셔서 또 깜놀,이 영상이 9개월전꺼라 또 깜놀
    잘 보고 갑니다

    • @스핀볼
      @스핀볼  3 года назад

      네 반갑습니다. ㅎ

  • @오작두-m9d
    @오작두-m9d 2 года назад

    프록시마 센타우리 자동차로 거리를 체험했는데 서울에서 어디까지 가시는 거예요 몇 시간 걸리는 거예요 너무 궁금해서 그래요

  • @흡킬-u4o
    @흡킬-u4o 3 года назад +8

    하늘에서 별따주겠다는 말은 농담이라도 하면 안되겠네요^^;

  • @귀신고래-e1q
    @귀신고래-e1q 3 года назад +3

    ㅋ 저도 가끔 우주여행 즐긴답니다

  • @김-g3i1q
    @김-g3i1q 4 года назад +14

    지구가 깨알 만할때 센타우리는 중국을건너서 네팔쯤에 위치하네요

  • @이동환-n3d
    @이동환-n3d Год назад

    컥~~3년전 영상이네요.혹시나 가능 하다면 1au가 21cm 일때 태양에서 안드로메다 까지 갈려면 어디까지 가야 할까 시험좀 해 주세요.
    아마도 준비 많이 하셔서 출발 하셔야 할듯.. 제 생각에는 대충 프록시마 센타우리 까지는 가셔야 될듯..
    나사와 협조 하셔야 겠네...수고요.

  • @doodaebal
    @doodaebal Год назад

    다음은 안드로메다 느껴보고 싶네요...

  • @박언저리
    @박언저리 2 года назад +4

    프록시마 까지 가려면 반드시 서울은 지나가야 되겠구나..

  • @dokyoungyoon7285
    @dokyoungyoon7285 3 года назад +3

    스핀볼님, 알파센타우리에 도착하셔서 처음 드는 생각...
    스핀볼 : 아, ㅅㅂ, 태양에서 수성까지 너무 길게 잡았다ㅠㅠ...

    • @스핀볼
      @스핀볼  3 года назад +2

      ㅎㅎ 맞습니다. 이른 새벽에 60km를 달렸네요.

  • @yurigudu
    @yurigudu Год назад

    1광년 거리 안으로는 별이 없는 건가요?

  • @llcoolj3529
    @llcoolj3529 3 года назад +2

    대단하십니다.

  • @Bowler.kkyuni
    @Bowler.kkyuni 3 года назад +4

    보이저1호가 태양계 벗어난게 36년 ... 보이저1호와 같은 속도로 날아가도 최소 280,000년 ...

  • @fiercehan6791
    @fiercehan6791 3 года назад +3

    프록시마별이군요

  • @잘생긴게죄냐
    @잘생긴게죄냐 3 года назад +2

    사람들은 외계인들이 인간처럼 꼭 물을 마셔야하고 숨을 쉬어야하고 음식을 먹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말 그대로 움직이니까 생명체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생각하니까 지구 이 외에는 생명체가 존재 할 수 없다고 단정한다.
    반대로 생각 해 보면 우리가 생각하는 외계인에 대한 관점이 넓어 질 것이다.
    과학자들이 하는 말..우주를 돌아다닐 정도의 외계인들 이라면 인간이 개미를
    대하는 정도 일 것이다.

  • @ysy294
    @ysy294 3 года назад +2

    그냥 ..
    이런 시도에 박수 쳐주고 싶다.
    내 머릿속이 단숨에 정리가 되어서리..
    근데
    이 우주가
    우리가 과학지식으로 보는것으로 모든걸 판단하면 절대 ❌
    눈에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니다
    이것이
    결론이다..

  • @TALLGEESE32
    @TALLGEESE32 4 года назад +5

    우주는 상상도 할수 없을만큼 크죠

    • @스핀볼
      @스핀볼  4 года назад

      네 맞습니다. 가장 가깝다고 하는 별의 거리도 이 정도인데... 정말 상상이 안됩니다.

  • @user-zf1cd3ic5g
    @user-zf1cd3ic5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최근 인기리에 방영중인 넷플릭스 드라마 삼체에서, 태양에서 4광년 떨어진 항성계에사는 지구인과 비교도 안되게 과학이 발달한 삼체인들이 빛의 속도의 1% 속도로 지구까지 날아오는데도 400년이 걸린다는 내용이 실감되네요. 드라마상 설정이라지만 초고도 문명의 외계인들의 기술이 집약된 우주선으로도 4광년을 쉬지않고 날아오는데만해도 400년이란 시간이 걸리는 무지막지한 크기와 공허.. 정말 인간의 상식으로는 이해할수없는 우주...

  • @gigprid
    @gigprid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보이저 1 호 총 항해 거리를 손가락 길이 한 마디 정도로 보면
    센타우리는 아파트 옆 동이고
    안드로메다 은하는 지구 반대편 ㅎㅎ

  • @Gggggggag
    @Gggggggag 3 года назад +3

    맙소사;;; 가장 가까운 별 조차 도달할수없는 레벨인데 그 별들 조차 10만광년안에 운집해있고 그 은하들도 우주에 수백억개 있다고 들었는데..
    얼마나 넓은거야???? 가장가까운별 센타우리도
    광속보다 훨씬 빠른 뭔가로 가거나 워프말곤
    절대 도달못할거같음 ㅋㅋ 눈앞에서 볼 인간은
    아마 없겠네요 가장 가까운 별인데.......
    우리 은하를 벗어나는것도 수백만년 뒤겠군

    • @kisun2u
      @kisun2u 3 года назад +1

      과학자들 추정을 보면 은하 최소 1000억개입니다. 개중에는 3000억개나 5000억개를 주장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한 은하 안에도 항성이 최소 1000억개는 있다는데.. ㅜㅜ무섭스

    • @doodaebal
      @doodaebal Год назад

      저 멀리에는 외계인들 끼리 싸우고 있을수도.....

  • @jaminpunch
    @jaminpunch Год назад

    1au를 21cm라고했을때라면 태양크기가 동전보다도 작다는건데 프록시마는 38km나 떨어져있다구요?…이거 맞는건가요??? 저가 스쳐지나가면서 봤던 영상에서는 태양이 동전만한크기라면 가장가까운 별인 프록시마까지는 3km라고 본적이있었는데..둘중에 뭐가맞는거에요?ㅠㅠ

  • @파일파일
    @파일파일 3 года назад

    다음이 이런거 살명하실때 space engine으로 직접 가는 영상어떤가요 ㅋㅋㅋ

    • @스핀볼
      @스핀볼  3 года назад

      네 시도하다가 시간이 너무 오래걸려서 실패했습니다. ㅎ

    • @파일파일
      @파일파일 3 года назад

      @@스핀볼 그럼 제가 한번 찍어드릴까요 ㅋㅋ

    • @스핀볼
      @스핀볼  3 года назад

      @@파일파일 아닙니다. ㅎㅎ 말씀만 들어도 감사합니다. 요즘 코로나 때문에 워낙 먹고 살기 힘들어서 ㅠ 신경을 쓰지 못할 것 같습니다. 님께서 직접 채널에 올리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Bowler.kkyuni
    @Bowler.kkyuni 3 года назад +3

    제3경인고속도로 시흥 쪽 사시나 보네유

  • @tiramon100
    @tiramon100 3 года назад +1

    좋은 영상.

  • @김현수-y9m
    @김현수-y9m 3 года назад +5

    지구는 별이 아니라 태양이 별이고..
    워프나 순간이동은 개솔이며, 인류는 프록시마 별 까지 갈수가 없음.

    • @inthemoon-cs3xj
      @inthemoon-cs3xj 3 года назад

      지구를 닮은 행성을 찾았다는 소리들이 개짖는 소리라는 생각이 문득..

    • @kisun2u
      @kisun2u 3 года назад

      정확히 말하면 항성이 맞죠.. 별은 그냥 습관적으로 문화적으로 행성도 별이라고 많이 불러왔습니다.

  • @ikkgu4340
    @ikkgu4340 3 года назад +5

    우주는 다뻥이라는데요 그리고 어쩜 이렇게도 별크기는 가까우나 멀거나 크기가 똑같을까요

    • @디자이너오가네
      @디자이너오가네 3 года назад

      별크기가 왜 다똑같나요? 천차만별로 다 다른데

    • @우주학개론
      @우주학개론 3 года назад +1

      우주는 뻥이군요 네 맞습니다 우주는 뻥뚫린 공간에 각기다른 항성들이 서로 거리를 두고 떨어져있습니다. 별크기가 같다고 생각하시는군요 태양과 베텔게우스만 두고보아도 서로다른 크기임을 짐작하실수있습니다.

  • @복권-q9h
    @복권-q9h 2 года назад +1

    이 차 속도를 빛의 속도에 비교하면 얼마나되나요? 빛의속도를 넘는속도겠죠?

    • @Drunken-Sheep-of-the-Lord
      @Drunken-Sheep-of-the-Lord 2 года назад +1

      4광년 거리를 40분만에 갔으니,
      빛의속도의 35,000배로 달린거네요

  • @클라라주미강팬
    @클라라주미강팬 3 года назад +1

    2:40 왼쪽 도시, 오른쪽 시골

  • @무명인-q4e
    @무명인-q4e 3 года назад

    헐~~!! 말로만 듣던것이 체감이되네요

  • @유스티티아
    @유스티티아 2 года назад +1

    잘보았습니다.
    그럼 이제 2회 특집으로 안드로메다은하까지
    한번 달려주세요. 끊었다 가는건 안됨.

  • @호야-w9n
    @호야-w9n 3 года назад +1

    태양처럼 스스로 빛을 내는 즉 항성? 제일가까운 거리 실험 인거죠?

  • @bokorich4408
    @bokorich4408 Год назад +1

    이야~~다른항성계의 여행은 영원히 불가능하겠네...ㅠㅠ

  • @정승호-d4t
    @정승호-d4t Год назад

    은하계중심까지도 킬로미터 단위거리에요. . 28경 킬로미터

  • @jeckey472
    @jeckey472 3 года назад +3

    너무 머니까 2.17cm로 해서 3.88km로하면 어떨까요. 멀긴 멀군요.

  • @타이드-o2b
    @타이드-o2b 3 года назад +3

    아 같이 타고가다 프록시마 내려버렸네
    나 이제 어떻게..ㅠㅠ

  • @로니-b6z
    @로니-b6z 3 года назад +9

    쉽게 설명해서 초당33키로 가는 보이저호가 5만년을 가야됩니다 설명끝

  • @새러데이
    @새러데이 3 года назад

    궁금한거는 거리를 이정도로 축소했을경우 태양과 지구의 크기는 각각 어느정도 되나요?
    태양이 콩알만한가요? 좁쌀만한가요?

    • @민규리-j8j
      @민규리-j8j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구슬크기로 했을때 4,000km 이니 이건 눈에안보이는 미세먼지 크기겠네요

  • @초록파프리카-c1w
    @초록파프리카-c1w 2 года назад

    세상에서 가장 넓고 큰 관념이 미치는 것은 우주의 크기라 생각하는데..
    그 가늠할수 없는 우주의 크기를 가늠하게 해줄수 있는게 숫자라네요..
    뭐 말도 안되는 얘기지만...킬로미터 단위로 해서...숫자 0을 계속 써나가면 우주의 크기를 능히 가늠하고도 남는다고 하네요...
    가령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킬로미터가 우주의 크기보다 더 큼을 나타낼수 있지요

  • @kctc8813
    @kctc8813 3 года назад +1

    동 트는 새벽 하늘이 이뻐서 영상을 끊지 못했네요.. 우주상에 생명체가 지구에만 존재한다면 그건 엄청난 공간 낭비라고 하던데... 이걸 보니 우주는 공간 낭비 같은 건 신경도 안쓸 것 같은 느낌입니다 ^^;;

  • @이용상-w6l
    @이용상-w6l 3 года назад +7

    4광년이 이정돈데 100억 광년은 상상불가능

  • @호롤롤로-o1y
    @호롤롤로-o1y 3 года назад +3

    저렇게 멀면 인류문명이 멸망하기 전까지 인공지능 탐사선이라도 저기에 도착시킬 수 있을련지...

  • @endiop3248
    @endiop3248 3 года назад +4

    형 1AU를 21.8cm 라고 가정하고 이번엔 가장가까운 은하도 가보자

    • @kknd1191
      @kknd1191 2 года назад +1

      불가능.
      21.8cm 잡앗을때 가장가까운 마젤란 은하는 지구 3.7바퀴 , 그 다음 안드로메다 은하까지 지구 41바퀴 돌아야됩니다 ㅋ

  • @산골남자-s6v
    @산골남자-s6v 3 года назад +1

    늘 궁금하던건데,
    만약, 태초에 빅뱅으로 우주가 생겼다면,
    우주는 모두 우주끝이 아닌가?
    가운데는 비어있고....그게 폭발이잖아?
    우주의 끝에는 무엇이 있을까?
    내생각은 "바로 여기다!"입니다.
    누구 잘 아시는분?🤗🤗🤗🌌🌠

  • @2000turbo911
    @2000turbo911 3 года назад +2

    천문학은 겸손과 인격수양의 학문이다.

  • @전지적얼굴시점
    @전지적얼굴시점 Год назад

    거리가 약21센티면 태양에서 지구까지 빛의 속도로 8분걸리는데 아마 21센티를 8분걸리는 속도로 약 38km를 가야 되는 거리. 그것 제일 빠르게 가는 건데도 말이지

  • @고래-q4b
    @고래-q4b 3 года назад +2

    별들 평균거리가 50조km 라고 하드만요

  • @MJBZ-n9g
    @MJBZ-n9g 2 года назад

    우주는 텅 비어있다라는 게 실감나네요. 인간은 그냥 태양계에 만족하고 외계는 꿈도 꾸면 안될 듯...

  • @jonhealer4084
    @jonhealer4084 3 года назад +1

    태양과 지구간의 거리를 1mm로 잡고 하시지 그랬어요~

  • @neo495
    @neo495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단세포 하나의 입장에서 인간의 몸 전체를 헤아릴 수 있을까 생각을 해보고 인간의 입장에서 성간거리를 헤아릴 수 있는가? 하면 지름 130만Km의 태양의 입장에서 4.22광년 거리는 또 다르게 해석 할 수 있겠지요 태양이 지름 10만광년 되는 은하를 2억3천만년에 한번 공전한다고 하니 인간의 입장에서 보면 태양도 어마어마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는 것 이지요 인간이 쓰는 미터나 키로의 단위로 4.22광년을 이해하려고 하면 공허하지만 나이가 100억살이며 38만광년인 은하공전궤도를 일생동안 약40회정도 공전하는 태양의 입장에서 보면 4.22광년은 가까운 거리임이 분명 합니다

  • @kimjunggee
    @kimjunggee 3 года назад +3

    태양의 영향력은 2광년 쯤 되나 보다
    이렇게 광범위 해야 행성들이 안전~
    십만광년 우리 은하에 2천억개의 별이
    3광년 전후로 다 떨어져 있는건가?
    쌍성별도 많으니 천억개라 하고 ~

  • @댄싱라인Youtube
    @댄싱라인Youtube 3 года назад +2

    저버스탈때멀리서보니가달이고가까이서보니가태양봤어요

  • @용트리스
    @용트리스 2 года назад

    서울서 김천까지는 가야한다네요~~ㅎㄷㄷ

  • @niro8002
    @niro8002 3 года назад +2

    보이저호가 센타우루스자리 가는데
    약10만년이상 걸리는데
    그만큼 우주는 빈공간이 많은데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가 부딪혀도
    별과별이 부딪힐 활률은 아프리카 들개가 초원을 달리다 부딪칠 확률보다 낮다고 함

  • @hanjames519
    @hanjames519 2 года назад

    시속 100킬로로 달리면 아~까 처음에 지나온 혜황성 지나 명왕성까지 5400년이 걸린다구 했다. 그니까 유튜버남 차에 올라타기도 전에 지나친 명왕성까지 100킬로로 달리면 5400년. 그런데 지금 얼마나 달리는거야? 그런데 천만광년 멀리서 보이는 별빛이나 이웃 항성 센타우리나 뭐 구별할 필요가 있나? 우리 눈깔에 보이는건 똑같은데. 우주선으로 달려도 8만년이래메? 근데 이렇게 실제 체감할수 있는 영상 올린 사람은 이 유튜버님 처음이다. 나이스!

  • @눈썹-c5b
    @눈썹-c5b 2 года назад +1

    이건 부X을 탁치고 가는걸 넘어서
    부X을 터치고 갑니다….

  • @jaewoungshim4967
    @jaewoungshim4967 Год назад

    이해하기 쉽게 태양을 물방울 크기로 축소시에 서울의 중심에 있다고 치면..또다른 물방울은 수원 중심에 있다고 보면된다. 고로 태양계는 그냥 태양 자체다.

  • @nereuser13
    @nereuser13 4 года назад +4

    앗 배곧이었군요

  • @wjdwhaks1539
    @wjdwhaks1539 4 года назад +7

    42조2천킬로미터정도 대충잡아도

  • @바람소리-g8e
    @바람소리-g8e 2 года назад

    살아가면서 우주를 잊어버려야겠다. 아직도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별에 도착도 못하다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