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필기, 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이론)_제47강 공기조화 방식의 특성(273p~279p)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1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47

  • @휘문-z8n
    @휘문-z8n 2 года назад +3

    6년전 자료인데도 불구하고 기사시험에도 많은 도움이 되네요 강의력 완전 짱짱..!

  • @박문기-z8i
    @박문기-z8i 4 месяца назад

    2024년 9월 15일 일요일
    공기조화방식 잘 들었습니다.
    특히 그림을 잘 그려 주셔서 이해가 쉽습니다 ^^

  • @장의진-f2n
    @장의진-f2n 7 лет назад +5

    여러번 들을수록 이해가 잘되는거 같아여 항상 감사드립니다. 강정이 땡기는군요

  • @WhjJmJ
    @WhjJmJ Год назад

    잘듣고있습니다❤❤

  • @cgkoh55
    @cgkoh55 Год назад

    고맙습니다.

  • @신용호-j2r
    @신용호-j2r 5 лет назад +1

    명강의 감사합니다.

  • @장고맨냉
    @장고맨냉 6 лет назад +5

    강의 듣다가 알게된 꿀팁이네요 [ RUclips 재생속도 조절 ] shift + > (재생 속도 빠르게) shift + < (재생 속도 느리게)

    • @edukangTV
      @edukangTV  6 лет назад +1

      소중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 @이신광-i2e
    @이신광-i2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덕트방식에 궁금함이 있어서 댓글 남깁니다.
    처음 한번 들었을때는 뭐가 뭔지를 몰랐다가 두번째 강의를 들으니 귀가 열리고 내용을 알아 들을 수 있어서 궁금증이 생기게 됩니다.
    단일덕트 재열 방식이 전공기 방식인데, 보일러에 운전이 필요하고, 재열기가 실내에 있는 경우 누수의 우려가 있다고 한다면 전공기 방식이라고 할 수 없는게 아닌가 해서요.
    보일러의 배관을 이용하고 누수의 위험이 있는데 왜 공기 수방식이 될 수 없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 @edukangTV
      @edukangTV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단일 덕트 재열방식이란 덕트가 한계통이며 취출구 말단에 재열기를 설치한 방식입니다.
      여기서 단일덕트의 분류는 전공기방식으로 분류가 됩니다. 실내에 공기만 공급을 하기때문이고요.
      세부 특징으로 재열기를 만약 실내에 설치하게되면 재열기란 재열코일을 의미 하니 내부에 온수가 순환하게 되고 해당 온수가 재열코일 파열시 누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해당 특징은 단일덕트 재열방식의 설치상 특성이 되며 분류로는 전공기 방식이 맞겠습니다.

  • @heonnk9089
    @heonnk9089 3 года назад +1

    질문이있는데 기계실에 있는 공조기의 누수는 신경 안써도 되나요? 거기도 압축기 응축기 등등 냉동기가 있어서 누수도 신경써야할거같은데 다른건가요?
    그리고 쿨링코일과 히팅코일은 어떻게 작동되나요? 물이 흐르는곳이면 증발기같은 역할일까요? 강의가 오래되서 답변을 받을수 있을지 모르겟지만 질문 올려봅니다

  • @하밀뭉씌
    @하밀뭉씌 4 года назад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따봉! 2020/09/05 23:00

  • @이건문-v2s
    @이건문-v2s 6 лет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zaymage-n9o
    @zaymage-n9o 5 лет назад

    감사합니다.

  • @석원명
    @석원명 2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 @misono_mika-i9w
    @misono_mika-i9w 6 лет назад +1

    감사합니다ㅎㅎ

  • @호호빵-u9d
    @호호빵-u9d 6 лет назад +2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근데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책에 보면 단일덕트재열방식은 잠열부하가많은경우나장마철등 공조 적합하다고 하는데 왜 그러지 이해가 잘 안가서요 혹시 알 수 있을까요??

    • @edukangTV
      @edukangTV  6 лет назад +1

      네 단일덕트재열방식의 경우 덕트 말단에 재열기를 설치한 방식이지요.
      그러므로 비가 온다거나 습도가 높은 경우 재열기를 이용해 해당 노점온도보다 온도를 높게 설정하여 공기조화를 할 수 있기때문에 잠열부하가 크거나 장마철에도 발빠른 대응을 할 수 있다 라는 뜻입니다. ^^

    • @호호빵-u9d
      @호호빵-u9d 6 лет назад

      @@edukangTV 아 이해했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완강해서 꼭 자격증 취득하겠습니다

    • @edukangTV
      @edukangTV  6 лет назад

      넵 화이팅 입니다~! ^^

  • @Whynot-fq8my
    @Whynot-fq8my 6 лет назад +3

    영상 47분쯤에 유인유닛방식에서 1차공기가 들어가는 부분의 부품이 노즐인가요? 디퓨저인가요?
    그림은 디퓨저인데 노즐로 설명을 하셔서.. 궁금합니다

    • @edukangTV
      @edukangTV  6 лет назад

      음... 디퓨저라고 보긴어렵고요.
      단순히 고속고압으로 오는 공기를 뿜어 주는 노즐이라고 이해하시는게 정확할듯 합니다.
      이해하기 쉽게끔 그림을 약간 오버해서 그린부분이라 오해의 소지가 있을듯하네요. ^^

    • @Gloryky88
      @Gloryky88 4 года назад +1

      @@edukangTV 속도가 빨라져 고속이되면 저압이 되지않나요. 베르누이..

    • @Gloryky88
      @Gloryky88 4 года назад

      @@edukangTV 저압이되니까 내부공기가 빨려들어가서 유인되는거로 이해했는데

  • @童顔的刺客
    @童顔的刺客 4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 @흑산도-t2v
    @흑산도-t2v 3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 @김시원-f6n
    @김시원-f6n 5 лет назад +1

    좋은 강의 고맙습니다!

  • @김용관-i7n
    @김용관-i7n 5 лет назад +2

    Good^^!!

  • @sooyounglee983
    @sooyounglee983 6 лет назад

    열강 감사

  • @아무일상
    @아무일상 5 лет назад +1

    단일덕트 재열방식도 찬공기를 재가열 함으로써 온도조절이 가능하고 이중덕트 혼합상자식으로 하는 방식은 찬공기 따뜻한 공기 섞어서 온도조절 가능하면 두개 무슨 차이가 있나요? 이중덕트 방식이 조금더 미세하고 정확한 온도 조절이 가능한건가요

    • @edukangTV
      @edukangTV  5 лет назад +1

      형식의 차이죠.
      단일덕트 재열방식은 덕트가 한개이고 취출라인에 재열기를 설치한 방식이고.
      2중덕트방식은 말그대로 덕트를 두개 설치하여 한쪽은 난방 한쪽은 냉방으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 @강우진-q9x
    @강우진-q9x 6 лет назад

    항상 강의 잘챙겨보고있습니다ㅎㅎ근데 이번 강의를 보는 도중 이해 안가는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270쪽 표에 의하면 덕트 병용의 패키지 방식은 전공기 방식. 즉, 공기만 사용하는 방식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275쪽 덕트 병용 패키지 방식 정의를 보면 보일러를 통해 온수 또는 증기가 공급된다고 나와있는데 그러면 공기수방식 아닌가요? 아니면 덕트 병용 팬 코일 유닛 방식에 관한 설명인가요?

    • @edukangTV
      @edukangTV  6 лет назад +1

      설명이 조금 헷갈릴 수도 있겠네요.
      덕트 병용 패키지 방식은 각층에 설치된 패키지 공조기를 이용 여기서 만들어진 냉온풍을 실내로 취출 시키는 방식입니다. 그리고 이때 패키지 공조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패키지 공조기 내부에있는 코일로 냉온수가 들어오며 이코일에서 냉각/가열하여 공기를 보내므로 전공기 방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런 공조기를 1~2차로 나누어 각층에 설치하면 각층 유닛 방식이 되는것이고요.

    • @고독-c5k
      @고독-c5k 6 лет назад +1

      에듀강닷컴TV 감사합니다 이제 이해가네요ㅎㅎ항상 방송 잘챙겨보고있습니다 화이팅!

  • @양원석-b7n
    @양원석-b7n 4 года назад

    4월 22일 (수) 1회 수강 완료

  • @ygkim457
    @ygkim457 2 года назад

    혹시 개인적으로 학원이나 그런거 안하시나요 저는 시험을 떠나서 배우고 싶습니다

  • @공공-q3q
    @공공-q3q 4 года назад

    vav는 버스 에어컨 조절하는 느낌이네용

  • @봉림동고양이
    @봉림동고양이 4 года назад +1

    선생님,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11:32에 댐퍼를 공기를 줄인다고 말씀하셨는데, 그렇다면 정풍량이 아닌게 되지않나요?? 그리고, 송풍기를 헤어드라이기처럼 모터돌아가는 회전속도를 조절하면 풍량을 조절할 수 있지않는건가요?!? 제가 이해를 이상하게 하는 건가요? 감사합니다!

  • @jadel7112
    @jadel7112 5 месяцев назад

    8월 19일 18일차

  • @이동룡-z7p
    @이동룡-z7p Год назад

    15:00

  • @몇위일까
    @몇위일까 4 года назад

    58:22

  • @오이피클-i1h
    @오이피클-i1h 4 года назад +1

    쾌감도... 좀 야하네요 ㅋㅋㅋ

  • @난왜구당이싫어요
    @난왜구당이싫어요 2 года назад

    따봉이네.

  • @양원석-b7n
    @양원석-b7n 4 года назад

    5월 17일 (일) 2회 수강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