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동사 I. (주로 동사 뒤에서 ‘-어 오다’ 구성으로 쓰여) 1.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나 상태가 말하는 이 또는 말하는 이가 정하는 기준점으로 가까워지면서 계속 진행됨을 나타내는 말. 사전에 이렇게 나오네요. 무슨 말이냐 하면 오다가 본용언이 되려면 물리적인 움직임의 오다가 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물건을 사 오다가 되면 오다는 갔다고 오다라는 물리적인 성격이 있으니 본용언이 됩니다.
@@최창희국어 와 빠른 답변 감사합니당! 그런데 또 헷깔리는게 있는데요 바라보다, 끌어당기다, 놓아두다 는 합성어 맞죠? 이런 합성어들은 "본용언+본용언" 또는 "본용언+보조용언"의 구조로 보지 않고 한 동사로 봐야하는건가요? 그렇다면 합성어를 구분하는 방법은 외우는 수밖에 없나요?
@@dokdoiskoreanterritory. 만일 이것이 본용언+본용언이라면 용언이 두 개가 되는 거니까 무조건 띄어쓰기를 해야 합니다. 하지만 합성용언은 한 단어가 된 것이니 띄어쓰기를 하면 안 됩니다. 그 단어가 띄어져 있다면 본용언+본용언이고요, 붙여 써 있다면 합성용언으로 보면 되겠지요?
안녕하세요, 영상 정말 잘 보았어요 선생님 ! 내신때문에 문법을 준비하고 있는데요, 보조 용언 중 보조 동사 예문 중에 ‘그곳에 가지 않았다’와 ‘그 일을 끝내지 못했다’ 에서 ‘않았다’와 ‘못했다’가 보조 용언이라고 하는데, 이해가 가지 않아서요.. 보통 보조 용언을 빼고 읽어도 문장의 핵심이 흔들리지 않아야하는 것 아닌가요? 않았다와 못했다를 뺴면 문장이 전달해주는 의미가 없어지는것 같아 본용언 처럼 느껴집니다 ㅠㅠ
선생님 너무 설명 잘 하세요! ㅎㅎ 한 가지 질문이 있어서요 편지를 찢어 버렸다. 여기서는 어떤 상황이냐에 따라 본용언+보조용언/본용언+본용언이 나뉘는 건가요? 어떤 시각으로 보느냐에 따라 둘 다 될 수 있는 거 같아서요...말 그대로 편지를 찢어서 버린 거면 뒤에께 본용언이 되고 편지를 찢기만 한 거면 뒤에께 보조용언이 되잖아요! 이건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요?
박진홍 “않다”는 부정 의미를 주기는 하지만 단독으로는 사용할 수는 없지요. 춥다는 혼자 사용하지만 이렇게 특정한 의미를 주지만 혼자 사용할 수 없어서 보조용언으로 취급받는 것들이 있어요. 예를 들면 “나는 밥을 먹고 싶다.” 여기서 “싶다”는 의미를 주긴 하지만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으니 보조용언이에요.
이렇게 댓글을 달아주시니 감사합니다. 일단 두 문장을 예로 들으셨는데 이 두 문장은 하나는 본+보조 구조가 맞지만 하나는 아니에요. 이 책도 한번 읽어 보거라 이 문장에서 '읽다'와 '보다'는 본용언 +보조용언입니다. 왜냐하면 이미 '읽다'라는 동사 안에 '보다'라는 의미가 함께 들어 있기 때문에 실재로 '보다'는 특별한 의미가 없다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오히려 여기서는 보다1 에서 4번 뜻 "보조동사 - 어떤 행동을 (시험 삼아) 함을 나타내는 말." 에서 온 말이므로 보조용언으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여름철에는 음식물을 꼭 끓여 먹자 이 문장에서는 '끓이다'와 '먹다'가 서로 다른 의미이고 이때는 음식물을 끓이는 동작 하나, 먹는 동작 하나 따로짜로 하는 것일테니 둘 다 본용언으로서 사용된 것입니다. 그래서 이 문장은 본용언+본용언으로 보는 것이 맞지요. 이해가 됐는지 모르겠습니다. 이해가 안 되시면 다시 댓글 달아주세요. 감사합니다. ^^
아니 선생님 너무 깔끔하시넴
감사해요
저도 감사합니다^^
공시생인데도움받아가요,, 강의를 정말 잘하시네요,,,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파이팅 하세요.
나는 사과를 먹고 버렸다 는 둘다 본영언이 되지않나요 ..
먹고 버렸다가 되면 먹은 것과 버린 것의 두 동작이 되기 때문에 본용언+본용언이 됩니다.
@@최창희국어그러면 저 문장은 겹문장이 되는 건가요??
선생님 혹시 날이 밝아 온다는 왜 본용언 보조용언일까요?ㅠㅠ
보조동사
I. (주로 동사 뒤에서 ‘-어 오다’ 구성으로 쓰여)
1.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나 상태가 말하는 이 또는 말하는 이가 정하는 기준점으로 가까워지면서 계속 진행됨을 나타내는 말.
사전에 이렇게 나오네요. 무슨 말이냐 하면 오다가 본용언이 되려면 물리적인 움직임의 오다가 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물건을 사 오다가 되면 오다는 갔다고 오다라는 물리적인 성격이 있으니 본용언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궁금한게 있는데용
"선물을 사다 주었다" 는
본용언 + 본용언 이고
"부탁을 들어 주었다" 는
본용언 + 보조용언 인가용?
네 맞습니다^^
@@최창희국어 와 빠른 답변 감사합니당!
그런데 또 헷깔리는게 있는데요
바라보다, 끌어당기다, 놓아두다
는 합성어 맞죠?
이런 합성어들은 "본용언+본용언" 또는 "본용언+보조용언"의 구조로 보지 않고 한 동사로 봐야하는건가요? 그렇다면 합성어를 구분하는 방법은 외우는 수밖에 없나요?
@@dokdoiskoreanterritory. 만일 이것이 본용언+본용언이라면 용언이 두 개가 되는 거니까 무조건 띄어쓰기를 해야 합니다. 하지만 합성용언은 한 단어가 된 것이니 띄어쓰기를 하면 안 됩니다. 그 단어가 띄어져 있다면 본용언+본용언이고요, 붙여 써 있다면 합성용언으로 보면 되겠지요?
@@최창희국어 왕 감사합니다!!
@@dokdoiskoreanterritory. ^^ 파이팅하세요!!
영상 잘 보고 갑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영상 정말 잘 보았어요 선생님 ! 내신때문에 문법을 준비하고 있는데요,
보조 용언 중 보조 동사 예문 중에 ‘그곳에 가지 않았다’와 ‘그 일을 끝내지 못했다’ 에서 ‘않았다’와 ‘못했다’가 보조 용언이라고 하는데, 이해가 가지 않아서요..
보통 보조 용언을 빼고 읽어도 문장의 핵심이 흔들리지 않아야하는 것 아닌가요? 않았다와 못했다를 뺴면 문장이 전달해주는 의미가 없어지는것 같아 본용언 처럼 느껴집니다 ㅠㅠ
네네 부정의 뜻을 나타내고 있는 말이긴 하나 이것이 혼자 단독으로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고 오직 부정으로서의 기능만 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이 본용언이 되질 못 합니다
@@최창희국어 그렇군요 ! 단독의미에 포커스를 맞추어야 했던 것 이네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
@@김민서-j1p7m 네 이해가 되었다니 다행이에요~~
선생님 질문있어요
어머니가 바구니를 들고 가셨다는
왜 본용언+본용언 인가요?
안비즐비 “들다”와 “가셨다”가 둘 다 그 문장에서 의미가 있네요 서로 다른 동작을 연이어서 했으므로 가능합니다.
아 다시 생각해보니 이해가 되네요 감사합니다
이해가 진짜 쏙쏙 입니다!!!!! 그리고...... 무민 닮아서 넘나 좋은거~~~~~~~~~~~~~~~~~~~~
영상 안에서 내가 아무리 쓰레기여도에서 빵 터졌습니다!! ㅋㅋㅋ
감사합니다
선생님!나는 쓰레기를 주워서 버렸다는 본용언+본용언 맞나요?
네네 “주워서”에는 어미가 “어서”가 쓰였지요. 그러면 동작이 두 번 이루어진 것으로 봅니다. “사과를 깎아 주었다”는 “깎아서 주었다”가 되니 본용언+본용언입니다.
선생님 너무 설명 잘 하세요! ㅎㅎ 한 가지 질문이 있어서요 편지를 찢어 버렸다. 여기서는 어떤 상황이냐에 따라 본용언+보조용언/본용언+본용언이 나뉘는 건가요? 어떤 시각으로 보느냐에 따라 둘 다 될 수 있는 거 같아서요...말 그대로 편지를 찢어서 버린 거면 뒤에께 본용언이 되고 편지를 찢기만 한 거면 뒤에께 보조용언이 되잖아요! 이건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요?
맞아요 그래서 상황이 중요합니다. 문맥적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거라 그건 분명히 문제에서 조건 줍니다.
사과를 가격을 깎아 주다면 보조용언으로 보나요?
백뱀 네 맞습니다 이때는 주다가 의미가 없으니까요~~
이렇게 또 이해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
'눈이 아주 나쁘지 않아서 안경을 벗고 있었다'에서 '있었다'가 보조용언인가요?
네 맞습니다. 행동이나 변화가 끝난 상태가 지속됨을 나타내는 의미로 쓰일 때는 보조동사로써 사용되는 겁니다
개념이 헷갈려서 봤는데 이해가 잘 되네요 !! 내일 시험 잘 치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파이팅하세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할머니에게 드릴 선물을 들고 갔다"
는 어떻게 되나요??
김보경 답변이 많이 늦었네요 ㅠ 들고(서) 간 거니 이 문장은 그냥 본용언+본용언으로 보아야 하겠습니다. 늦었지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오늘 날씨가 춥지 않다에서
왜 본용언 + 보조용언인가요?
궁금합니다.
박진홍 “않다”는 부정 의미를 주기는 하지만 단독으로는 사용할 수는 없지요. 춥다는 혼자 사용하지만 이렇게 특정한 의미를 주지만 혼자 사용할 수 없어서 보조용언으로 취급받는 것들이 있어요. 예를 들면 “나는 밥을 먹고 싶다.” 여기서 “싶다”는 의미를 주긴 하지만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으니 보조용언이에요.
호흡이 웃기셔요쌤
선생님 밥을 먹어 버리다는 왜 본용언+보조용언인가요?
브베 “밥을 먹어 버리다”에서 일단 앞에 오는 “먹어”는 본용언이에요. 이때 “버리다”가 중요한데 밥을 “버리”는 것은 아니잖아요. ㅠ 그래서 의미가 살아있질 않아요. 그러니 “버리다”는 보조용언이에요
@@최창희국어 영상 보고 완전 이해 되었습니다.
밥을 먹어는 먹는 다는 의미가 한개, 밥을 버리다 는 주어진 문장 안에서 말이 되지 않기 때문이겠죠? ㅎㅎㅎㅎ
@@핑크형과쏠트민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간단히 설명해 주셔서 감사해용
이 책도 한번 읽어 보거라
여름철에는 음식물을 꼭 끓여 먹자
이 두 문장은
읽어(본) 보거라(보조)
끓여(본) 먹자(보조)
라고 생각하면 맞나요?
‘책도 한번 보거라’도 뜻이 통하는데 본용언이라고 봐야할까요?
이렇게 댓글을 달아주시니 감사합니다.
일단 두 문장을 예로 들으셨는데 이 두 문장은 하나는 본+보조 구조가 맞지만 하나는 아니에요.
이 책도 한번 읽어 보거라
이 문장에서 '읽다'와 '보다'는 본용언 +보조용언입니다. 왜냐하면 이미 '읽다'라는 동사 안에 '보다'라는 의미가 함께 들어 있기 때문에 실재로 '보다'는 특별한 의미가 없다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오히려 여기서는
보다1 에서 4번 뜻 "보조동사 - 어떤 행동을 (시험 삼아) 함을 나타내는 말." 에서 온 말이므로 보조용언으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여름철에는 음식물을 꼭 끓여 먹자
이 문장에서는 '끓이다'와 '먹다'가 서로 다른 의미이고 이때는 음식물을 끓이는 동작 하나, 먹는 동작 하나 따로짜로 하는 것일테니 둘 다 본용언으로서 사용된 것입니다.
그래서 이 문장은 본용언+본용언으로 보는 것이 맞지요.
이해가 됐는지 모르겠습니다. 이해가 안 되시면 다시 댓글 달아주세요.
감사합니다. ^^
이해됐어요! 정말 고맙습니다. :) 건강 상하지 않게 조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