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송구시 포수는 포구를 해야겠죠? 주자를 정확하게 보지못하고 느낌으로 압니다. 대부분 포수는 낮은 자세로 준비하면서 홈플레이트를 사수하려고 하죠. 좌측으로 몸을 돌리면서 태그플레이를 감각적으로 하려고 할 때, 주자는 태그의 위험성을 줄이기위해 벤트 레그를 하면 발, 무릎, 가슴, 어깨, 머리 노출 부위가 많습니다. 그래서 거의 눕다 시피 홈플레이트 모서리끝을 겨냥하죠. 헤드퍼스트슬랑이딩의 경우, 손, 머리, 좌어깨, 엉덩이가 노출 되죠. 포수는 본능적으로 공든 글로브를 휘두르기때문에 한번 휘두르고 나면 균형을 잃습니다. 슬라이딩은 발부터 건 헤드 퍼스트건 결정한 후 들어가지만 서서 들어가야 내려다보고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서서들어가면 순간 행동 변동 가능성 높습니다. 서서들어가면 우수꽝스런 장면이 많고 아웃될 가능성이 0는 아니지만 1순위는 슬라이딩보다 서서 들어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포수가 홈플레이트에서 3루쪽에 있다면 레그 슬라이딩을 해서는 안됩니다. 걸리는 데가 많아 최용제처럼 서서들어가서 반응하고, 1루쪽 또는 플레이트 앞에 있으면 냉큼 휘두르기때문에 휘두른다음 빈곳을 터치해야할것같네요. 1루에만 헤드퍼스트를 권하지않고 뛰는게 더 빠르다고 합니다. 생각을 하면 모든 수비수들이 먼저 포구를 합니다. 그러므로 주자는 그 다음에 보게되고 보면서 대응하려면 선채로 들어가는게 모든 경우에 맞습니다. 안전을 위해 충분하다면 슬라이딩도 좋습니다. 서서 들어가면 늦더라도 기회가 있지만 슬라이딩은 결정하고 경로를 고정해서 들어가므로 속도와 터치 위치가 결정합니다
홈송구시 포수는 포구를 해야겠죠? 주자를 정확하게 보지못하고 느낌으로 압니다. 대부분 포수는 낮은 자세로 준비하면서 홈플레이트를 사수하려고 하죠. 좌측으로 몸을 돌리면서 태그플레이를 감각적으로 하려고 할 때, 주자는 태그의 위험성을 줄이기위해 벤트 레그를 하면 발, 무릎, 가슴, 어깨, 머리 노출 부위가 많습니다. 그래서 거의 눕다 시피 홈플레이트 모서리끝을 겨냥하죠. 헤드퍼스트슬랑이딩의 경우, 손, 머리, 좌어깨, 엉덩이가 노출 되죠. 포수는 본능적으로 공든 글로브를 휘두르기때문에 한번 휘두르고 나면 균형을 잃습니다. 슬라이딩은 발부터 건 헤드 퍼스트건 결정한 후 들어가지만 서서 들어가야 내려다보고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서서들어가면 순간 행동 변동 가능성 높습니다. 서서들어가면 우수꽝스런 장면이 많고 아웃될 가능성이 0는 아니지만 1순위는 슬라이딩보다 서서 들어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포수가 홈플레이트에서 3루쪽에 있다면 레그 슬라이딩을 해서는 안됩니다. 걸리는 데가 많아 최용제처럼 서서들어가서 반응하고, 1루쪽 또는 플레이트 앞에 있으면 냉큼 휘두르기때문에 휘두른다음 빈곳을 터치해야할것같네요. 1루에만 헤드퍼스트를 권하지않고 뛰는게 더 빠르다고 합니다. 생각을 하면 모든 수비수들이 먼저 포구를 합니다. 그러므로 주자는 그 다음에 보게되고 보면서 대응하려면 선채로 들어가는게 모든 경우에 맞습니다. 안전을 위해 충분하다면 슬라이딩도 좋습니다. 서서 들어가면 늦더라도 기회가 있지만 슬라이딩은 결정하고 경로를 고정해서 들어가므로 속도와 터치 위치가 결정합니다
포수도 공을 기다리고 맞서 들어가도 돌아가면 포수도 급해져 초조해져 포구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다만 슬라이딩을 해버리면 뛰던 선수의 모습이 달라져 송구를 성급히 할 수 있을것 같네요. 타이밍 싸움이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