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의 문화재 - 죽천선생과 유묵목판/ Boseong Cultural Property - Master Jukcheon and Yu-muk Woodblock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8 фев 2025
  • 전남도지정 문화재자료 죽천선생과 유묵목판
    보성군 노동면 광곡리 보성의병기념관에는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했던 죽천 박광전의 자취를 돌아볼 수 있는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보성 죽천선생문집 및 유묵목판이 있다.
    죽천 박광전은 퇴계 이황의 문하에서 공부했고 감사를 지내던 유희춘의 추천으로 경기전 참봉을 역임했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임계영, 김익복 등과 보성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그리고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 적이 호남을 침범하자 송홍렬, 박사길 등에 격문을 보내 다시 의병을 일으켰던 인물이기도 하다.
    죽천선생문집과 유묵목판은 보성군 겸백면 사곡리에 있던 것을 지금의 자리로 옮긴 것인데 죽천 박광전의 도학과 절의는 유적지에도 깊이 남아 있다. 노동면의 용산서원과 죽천정 미력면의 용산서원 유허비와 유허지가 바로 그곳이다.
    유묵목판은 문집 134판, 유묵 12판으로 구성돼 있고 문집은 후손들에 의해 편집되고 간행 됐다. 후손 박봉석이 영조 15년에 편집을 완료하고 영조 25년 죽곡정사에서 초간, 순조 9년에 용산서원에서 중간, 1930년 죽곡정사에서 3간 되었다. 책판은 책머리에 중간구서와 윤봉조의 구서가 있고 권 6말에 5대손 박내석, 7대손 박형덕의 발문이 있다. 권9말에는 기정진, 오진영의 속집발문과 안규옹의 중간 발문이 있으며 1930년의 별본에는 칠현거의록이 부록돼 있다.
    책판의 내용을 살펴보면 인간의 본심, 웅대한 포부와 경륜, 대장부의 의미, 인간의 수양, 유학서 주자서절요 중에서 의심난 부분 등을 퇴계 이황과 질의, 응답한 내용과 함께 실었다. 그리고 죽천 선생이 의병을 일으킬 때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쓴 임진거의시격문은 자유롭게 쓴 한문문체로 새겨져 있다.
    책판의 형태를 보면 가로 47.2cm, 세로 20.5 cm 반곽의 크기는 가로 14cm, 세로 20cm이며 판면의 왼쪽 1행에 죽천선생문집이라는 서명과 장수가 표시돼 있고 가운데 부분에는 죽천집이라는 판심서명이 보인다.
    죽천선생 문집은 3차에 걸쳐 판각되었고 현재 보관된 책판은 1929년에 세 번째로 판각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보성 죽천선생문집 및 유묵목판은 후대의 판각이지만 근대에서 현대 책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인쇄술과 표제지개념을 살필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Jeollanam-do Designated Cultural Property Material Master Jukcheon and Yu-muk Woodblock
    In the Boseong Soldiers Memorial Hall in Gwanggok-ri, Nodong-myeon, Boseong-gun, there is a book of Boseong Jukcheon Master's writings and an oil ink woodblock that can look back on the traces of Park Gwang-jeon, Jukcheon, who served as a military commander during the Imjin War.
    Jukcheon Park Gwang-jeon studied under Toegye Yi Hwang and served as the chambong before Gyeonggi-do on the recommendation of Yoo Hee-chun, who was an auditor. Also, in 1597, when the Jeong Yujaeran occurred and the enemy invaded Honam, he was also a person who sent a stern message to Song Hong-ryeol and Park sa-gil.
    The Jukcheon Teacher's Book and the ink woodblocks were moved from Sagok-ri, Gyeombaek-myeon, Boseong-gun, to their present location. Yongsan Seowon in Nodong-myeon and Yuheobi and Yuheoji in Miryok-myeon, Jukcheonjeong.
    The Yumuk Woodblock consists of 134 editions of the collection of writings and 12 editions of the Yumuk, and the collection was edited and published by descendants. Descendant Park Bong-seok completed the editing in the 15th year of King Yeongjo, the second at Jukgokjeongsa in the 25th year of King Yeongjo, the middle at Yongsanseowon in the 9th year of King Sunjo, and the third at Jukgokjeongsa in 1930. In the book plate, there is a middle guseo and a guseo by Yun Bongjo at the head of the book, and at the end of the 6th volume there is an inscription by the 5th grandson Park Nae-seok and the 7th grandson Park Hyeong-deok. At the end of Volume 9, there is a follow-up statement by Ki Jeong-jin and Oh Jin-young, and an intermediate statement by Ahn Gyu-ong, and the 1930 separate edition includes the Chilhyeon Geouirok.
    If you look at the contents of the book, it contains questions and answers from Toegye Yi Hwang, including questions and answers from Toegye Yi Hwang, including the true intentions of man, grand aspirations and economy, the meaning of the chief executive, human cultivation, and the questionable parts of the Confucian Book of Confucianism. And the Imjingeoshigeekmun, which was written by Jukcheon to inform people when he caused a medical illness, is engraved in a freely written Chinese style.
    If you look at the shape of the book plate, the size of the 47.2cm wide and 20.5cm long half box is 14cm wide and 20cm long, and the signature of Jukcheon Sensei's Literature and the number of chapters are displayed in the first row on the left side of the plate, and the judge's signature, Jukcheonjip, is visible in the middle.
    The collection of Master Jukcheon's writings was engraved three times,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currently stored bookplate was engraved for the third time in 1929. Although the Boseong Jukcheon Master's Books and Ink Woodblocks are later engravings, they are evaluated as materials that can examine the typography and title paper concept in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modern to modern books.

Комментари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