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CM EP.04] 설계도면은 3D로 확인해야 정확히 검토할 수 있어요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카페에서 강의노트 확인하기👉🏻cafe.naver.com...
안녕하세요😊
설 연휴를 앞두고, 연휴 기간 동안 유익한 정보를
얻어가실 수 있도록 영상을 준비했어요!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 설계도서 오류 확인부터
하자, 시공성, 수량, 내역 검토까지
어떤 부분을 체크해야 하는지 배워보는 시간입니다.
공사에 들어가기 전에 시공 가능 여부와
건축주의 목표 공사비, 추정 공사비가 일치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는 점도 배우실 수 있어요.
이 과정이 리스크 없이 목표에 맞는 건축을 완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니
꼭 기억해주세요! 🤙🏻
이번 영상에서는 건축 관리에
BIM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니,
끝까지 시청해주세요-!
그럼 즐거운 설 연휴 되세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타임스탬프
00:00 설계도면 오류를 확인할 때
03:19 BIM : 설계도면 오류를 쉽게 보는 법
06:58 BIM으로 건물 지어보기
08:07 설계도면의 오류 예시
09:06 하자시공성 검토하기
13:58 수량내역 검토하기 (설계도면을 통해)
16:41 추정공사비 뽑기
📌타임스탬프
00:00 설계도면 오류를 확인할 때
03:19 BIM : 설계도면 오류를 쉽게 보는 법
06:58 BIM으로 건물 지어보기
08:07 설계도면의 오류 예시
09:06 하자시공성 검토하기
13:58 수량내역 검토하기 (설계도면을 통해)
16:41 추정공사비 뽑기
이모부님에 대해 좀 더 알려주실 수 있나요? 건축주가 건축을 시작할 때 알아야 할 것들에 대해 상세하고 꼼꼼히 알려주시는 것 같습니다. 건축사이신 것 같은데 궁금하네요.
영상 보면서 설계도면 오류 확인부터 BIM 활용까지 이렇게 실무 노하우가 줄줄이 나오니 완전 꿀팁 창고네요! 평면, 단면, 입면은 물론이고 구조·기계·전기·소방 등 모든 분야 교차 검토가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 번 깨달았습니다. 특히 BIM을 통해 3D로 사전에 지어봄으로써 오류를 잡고, 시공성·수량까지 꼼꼼히 파악하는 과정은 정말 감탄밖에 안 나와요. 한눈에 쏙쏙 들어오도록 차근차근 설명해주셔서 건축 초보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인사이트 전해주셔서 감사하고, 다음 영상도 기대 만땅입니다!
늘 영상을 꼼꼼하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래서 각 공정간 협업과 의사소통이 중요하군요.
건축은 정말 멋지지만 어려운 프로젝트인거 같아요ㅜ
예쁘다.
희희희 이 댓글을 지금 봤네요! 감사합니다>
BIM 비용은 어느정도 선인가요??
소규모에서 BIM 적용률이 낮은건 비용때문인가요? 아니면 신기술이라 도입하기 어려워서인가요?? 아니면 건축주가 저런걸 몰라서 인가요??
일단 공사비 300억 이상만 의무 적용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이하급은 사실 비용도 비용이지만 그냥 전체적인 기반이 부족합니다. 건축주도 잘 모르고요 특히 소규모 급으로 가면 건설사 직원이 30명 이하가 흔하고 대기업 같이 운영할 기반은 사실 부족해요 의무 기준 벗어나는 건물 만드는 경우도 흔하고 3D 시뮬레이터를 사용하다보니 프로그램이 무겁고 즉 고사양 컴퓨터와 노트북 보유가 기본에 당연한거지만 프로그램도 가격이 좀 있거든요 거기에 사실 해외도 국내도 BIM이 사실 QC가 잘 되지는 않습니다. 이런 3가지 고질병덕에 당연히 활성화를 해야 하나 조금 부담이 있죠
대기업쪽도 사실 PM과 CM, 설계를 BIM으로 가능하고 AI에게 정보를 넘겨서 배우게 하기 위해 쓰는거지 아직 QC가 완벽하게 되기는 힘듭니다.
몰랐던 사실인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프로그램 구매 없이 웹으로 BIM과 물량산출까지 해주는 제품도 있습니다. smacon 이라는 제품인데 영상에 나온 BIM은 그 제품으로 제작된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