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및 해외영업 경력 15년차 배테랑 국제무역사 루카스가 기본적인 수입업무에 대해서 설명을 드립니다. Incoterms와 결제조건에 따라서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기본적인 흐름은 같으므로 도움이 되실 겁니다. 영상 끝까지 시청바랍니다. 무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블로그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blog.naver.com...
@@lukas_bae 감사합니다! 궁금한 게 있긴 했습니다, Lukas님. 중국에서 제품을 하나 수입해야하는 상황인데(MOQ 3,000개라길래 3000개 견적 파악 중입니다.) 제조업체 분께서 fob로 가격을 던져줘서 이 영상에 기반해 운임사에 견적을 받아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저는 3000개가 몇 개 박스에 들어가며 박스 수는 어떻게 되는지와 박스 규격을 알면 운임사에 요청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해서 해당 정보를 요청했으나, 제조업체 측에서 단일 제품(아마 패키지로 파악되는데)의 규격을 전달주면서, 뭐 신규 제품이라 본인들도 박스에 몇 개 들어가는지는 파악을 해봐야한다.(?) 운임사에 1박스에 이만큼이 들어가게 하고 싶다 라고 전달을 하면 운임사 쪽이 저희에게 최적의 견적을 줄거라고 하더라고요. 이게 맞는지도 궁금하고, 1박스에 제품이 몇 개 들어가게 하고 싶다는 요청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지... 약간 이해가 안 돼서 문의 드립니다. 시간될 때 답변 주심 감사하겠습니다. ^^
@@lee-ez3ld 일반적으로 수입자가 수출자에게 포장 규격을 제시하는 경우, 수출자는 해당 포장 규격을 맞추기 위해서 기존의 포장재를 포기하고 새로운 포장재를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비용을 모두 수입자에게 청구하기 마련입니다. 수입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포장을 하게 되었을 때, 발생하는 추가비용 (예를 들어, 포장 시간 증가 등)을 수출자는 수입자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든) 청구하게 됩니다. 수입자는 본인이 희망하는 포장방식과 단위를 수출자에게 요구할 수 있지만, 그로 인한 비용을 수입자가 지불만 해주면 됩니다. 국내에서 작업을 하는 것이 유리한지, 수출국에서 해당 작업을 하는 것이 유리한지는 수입자가 판단해야 합니다. 합리적인 비용 수준에서 판단하시면 됩니다. 제 대답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제 영상을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이 영상을 제작한지 벌써 2년이 지난 상황이라 PPT파일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제 블로그에도 수입 절차가 있긴 합니다만, 영상을 더 늦게 제작해서 인지, 자료가 부실하네요. blog.naver.com/lukas_bae/222093690082
수입자에게 가장 유리한 조건은 D조건입니다. 하지만, 수출자는 보통 F조건이나 C조건으로 하기를 원할 것입니다. D조건으로 합의되더라도, 수출자는 모든예상비용을 추가한 견적을 받을 것이기 때문에 업무적으로 편하지만, 비용적으로는 불편한 금액이 될 수 있습니다. SAP시스템 사용 방법은 SAP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 메뉴얼을 받아서 확인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올해 처음으로 맨땅에 헤딩식으로 주류수입을 준비하고있습니다! 너무 막막하고 여러곳에서 정보를 취합하고 공부를 혼자하고있지만 막막하였는데 무역사님덕분에 정말 많은 정보를 얻고 배우고 있습니다! 좋은정보너무감사합니다 다름이아니라 주류 수입은 보세창고와 검역등의 업무도 같이 발생하는것에대해서도 알려 주실수 있으실지요?!
댓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물류비를 누가 감당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가에 달려있습니다. 우선, 일반적으로 구매하실 물량을 검토하신 후, supplier에게 CIF조건으로 견적을 받아보세요. Supplier로부터 해당 물품의 무게와 부피정보를 받으신 후, FCA조건이나 FOB조건으로 견적을 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둘을 비교하셔서, 합리적인 부분으로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수출자가 제시한 물류비가 우리의 비용보다 더 낫다면, 수출자에게 CIF로 진행하시고, 우리가 더 좋은 조건으로 할 수 있다면, FOB나 FCA조건으로 진행하시기를 추천합니다. 도움이 되셨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무역사님 영상을 보면 이해가 잘 되고 참 쉽게 느껴지다가도 실무에 적용하려면 백지가 되네요..^^; 유익한 내용 정말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무역업무를 하다 보면, 변수가 많아서 그럴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질문을 주시면,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lukas_bae 감사합니다! 궁금한 게 있긴 했습니다, Lukas님. 중국에서 제품을 하나 수입해야하는 상황인데(MOQ 3,000개라길래 3000개 견적 파악 중입니다.) 제조업체 분께서 fob로 가격을 던져줘서 이 영상에 기반해 운임사에 견적을 받아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저는 3000개가 몇 개 박스에 들어가며 박스 수는 어떻게 되는지와 박스 규격을 알면 운임사에 요청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해서 해당 정보를 요청했으나, 제조업체 측에서 단일 제품(아마 패키지로 파악되는데)의 규격을 전달주면서, 뭐 신규 제품이라 본인들도 박스에 몇 개 들어가는지는 파악을 해봐야한다.(?) 운임사에 1박스에 이만큼이 들어가게 하고 싶다 라고 전달을 하면 운임사 쪽이 저희에게 최적의 견적을 줄거라고 하더라고요. 이게 맞는지도 궁금하고, 1박스에 제품이 몇 개 들어가게 하고 싶다는 요청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지... 약간 이해가 안 돼서 문의 드립니다. 시간될 때 답변 주심 감사하겠습니다. ^^
@@lee-ez3ld 일반적으로 수입자가 수출자에게 포장 규격을 제시하는 경우, 수출자는 해당 포장 규격을 맞추기 위해서 기존의 포장재를 포기하고 새로운 포장재를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비용을 모두 수입자에게 청구하기 마련입니다. 수입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포장을 하게 되었을 때, 발생하는 추가비용 (예를 들어, 포장 시간 증가 등)을 수출자는 수입자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든) 청구하게 됩니다. 수입자는 본인이 희망하는 포장방식과 단위를 수출자에게 요구할 수 있지만, 그로 인한 비용을 수입자가 지불만 해주면 됩니다. 국내에서 작업을 하는 것이 유리한지, 수출국에서 해당 작업을 하는 것이 유리한지는 수입자가 판단해야 합니다.
합리적인 비용 수준에서 판단하시면 됩니다. 제 대답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ukas_bae 감사합니다, 무역사님.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lee-ez3ld 네. 다른 문의사항 있으시면 연락주세요.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도움이 많이 되었어요 !!
도움이 되었다니 저도 기쁩니다. 필요한 정보가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영상자료나 블로그로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수입업무하는 사원인대 영상 보고 도움이 많이 됬습니다. 감사합니다. 혹시 불편하지 않으시다면 pt파일을 받아볼 수 있을까요?
제 영상을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이 영상을 제작한지 벌써 2년이 지난 상황이라 PPT파일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제 블로그에도 수입 절차가 있긴 합니다만, 영상을 더 늦게 제작해서 인지, 자료가 부실하네요.
blog.naver.com/lukas_bae/222093690082
수입자 입장에서 업무가 가장 편해지는 인코텀즈가 어떤걸까요?
그리고 SAP 시스템 사용하면서 업무프로세스와 단계별 증빙서류 첨부는 어떤식으로 진행될까요? ㅎ
수입자에게 가장 유리한 조건은 D조건입니다. 하지만, 수출자는 보통 F조건이나 C조건으로 하기를 원할 것입니다.
D조건으로 합의되더라도, 수출자는 모든예상비용을 추가한 견적을 받을 것이기 때문에 업무적으로 편하지만, 비용적으로는 불편한 금액이 될 수 있습니다.
SAP시스템 사용 방법은 SAP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 메뉴얼을 받아서 확인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올해 처음으로 맨땅에 헤딩식으로 주류수입을 준비하고있습니다!
너무 막막하고 여러곳에서 정보를 취합하고 공부를 혼자하고있지만 막막하였는데 무역사님덕분에 정말 많은 정보를 얻고 배우고 있습니다! 좋은정보너무감사합니다
다름이아니라 주류 수입은 보세창고와 검역등의 업무도 같이 발생하는것에대해서도 알려 주실수 있으실지요?!
답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안타깝게도 저는 주류 수입 경험은 없어서, 도움을 드리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업무를 지원해주실 관세사를 정한 후, 업무를 진행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도움이 되어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lukas_bae 죄송하실일 전혀아닙니다! 앞으로도 좋은영상 부탁드립니다!!
@@Vcdcvgfxd 다른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와인 수입하려 하는데, 보편적으로 인코텀스는 어떤걸 사용하나요?
댓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물류비를 누가 감당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가에 달려있습니다.
우선, 일반적으로 구매하실 물량을 검토하신 후, supplier에게 CIF조건으로 견적을 받아보세요.
Supplier로부터 해당 물품의 무게와 부피정보를 받으신 후, FCA조건이나 FOB조건으로 견적을 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둘을 비교하셔서, 합리적인 부분으로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수출자가 제시한 물류비가 우리의 비용보다 더 낫다면, 수출자에게 CIF로 진행하시고, 우리가 더 좋은 조건으로 할 수 있다면, FOB나 FCA조건으로 진행하시기를 추천합니다.
도움이 되셨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