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국내 재사용 발사체 '첫 단추'…"수직 이착륙 시험 성공" / JTBC 뉴스룸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우주로 발사된 뒤 지구로 돌아와 착륙하는 로켓, 그래서 다시 우주로 쏘아 올릴 수 있는 걸 '재사용 발사체'이라고 합니다.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 등이 가진 기술인데, 국내에서 이 재사용 발사체의 첫걸음이라 할 수 있는 수직 이착륙 시험이 처음 성공했습니다.
▶ 기사 전문 news.jtbc.co.k...
▶ 시리즈 더 보기 • 뉴스룸ㅣ전체 다시보기
본방 후 유튜브에서 앵커들과 더 가까이!
☞JTBC 모바일라이브 시청하기 www.youtube.co...
☞JTBC유튜브 구독하기 ( / jtbc10news )
☞JTBC유튜브 커뮤니티 ( / jtbc10news )
#JTBC뉴스 공식 페이지
(홈페이지) news.jtbc.co.kr
(APP) news.jtbc.co.k...
페이스북 / jtbcnews
트위터 / jtbc_news
인스타그램 / jtbcnews
☏ 제보하기 news.jtbc.co.k...
방송사 : JTBC (jtbc.co.kr)
스페이스 X도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며 시도한 것 처럼 아직 갈길이 멀겠지만 끝내 성공하길 기원하겠습니다.
그건 나사지원에 돈이 있기 때문에...
스페이스X도 수십번 실패했었지만, 울나라 국민들은 1번 실패도 용납하지 않음 ㅋㅋㅋㅋㅋㅋ
6미터?????
애들 장난하냐
6미터 재착륙 시험은 세계최초 이다
다음에는 60센치로 기록 세워라
@@인성문제없어-e3h 이거 화교넘이네
꼭 미국은 정부가 지원해서 한국은 안 된다고 패배주의 심어줌
한국은 나사가 없어도 자체적으로 이미 발사체도 개발했는데
이런 화교들이 인터넷에서 한국비하글 쓰는 범인이야.인터넷 통제해야 돼
@@TessKwontess 스페이스X 그래스호퍼 로켓은 최초 발사에서 60cm를 띄웠습니다.
우리의 젊은 과학자 들에게.큰 박수 보냅니당..뭐..시작이 반이라 하죠 우린 우리의 저력을 넘 잘 알고 있죠..뭐든 시작 하기가 어렵지만 한번 시작하묜 끝을 보는 대한민국..화이팅 입니다
와!!!!!!!!!!!!!! 정말 놀랐습니다.....이 나라의 희망은 과학자,엔지니어분 너무 존경합니다.....계속 연구하셔서 상용화까지 하시길 바랍니다.
우리나라도 이거 연구개발 하고 있었다고 들었는데 결과가 나왔구나.. 진짜 멋지다.
미국의 기술이 넘사벽이지만.. 후발주자인 우리나라도 놀고만 있진 않고 있다는 걸 보여줘서 좋다.
참..그리고 로켓엔진 추력 단계별 증가나 달 착륙선 연구개발도 한창 진행중인 줄 알고 있고.. 화성 탐사 관련 초기 연구도 진행중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모쪼록 힘들 내시고.. 응원보낸다.
그냥 외국기술 다 뺏긴거
넘사벽 아닙니다. 한국 충분한 기술 있어요 그쪽에 투자를 안(못) 할 뿐 입니다.
작은 걸음이라도 성공한게 대단하다고 생각해요!!🎉
오우 멋지다 부디 앞으로에 발전이 눈에 띨 정도가 되길 기원 합니다 핫팅
이런곳에 정부지원이 더 해진다면 적극 지지합니다 !!!
R&D 예산이미 작살남… 흑흑
R&D 예산
이미 작살남… 흑흑
검사놈들 술값 줄 돈은 있어도 과학기술 지원할 돈은 이번 정부엔 없다고 하네요~
예산 더 안줄이면 다행인데 이거보면 또 줄이겠네요
그놈의 정부지원타령좀 그만해라. 미국은 정부지원을 해서 그만큼 발전했나?
뜻이 있는 자산가가 이루도록 노력을 해야하지. 맨날 탈세목적으로 골똥품이나 사들이지 말고 우주과학에 기부를 하여 이름을 남기는게 큰 인물이라는 것.
이런 뉴스가 많았으면 좋겠네요.보안이 중요한거 같은데 너무 흔하디 흔한 공장인거 같아서 걱정 스럽네요.연구 하시는 석박사 님들께도 응원에 박수 보냅니다.화이팅!!!
보통 수직 이착륙 기술은 자세 제어나 추력 제어 같은 기술이 더 중요해서 공장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보단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나 데이터에서의 보안이 더 중요할거에요. 그러니 걱정 안하셔도 됩니당.
막말로 우리 기술 탐하려는 나라 없음 ㅎ 우리가 제일 꼴찌임 우주 찍먹 하고 있는 나라 중에서는
정말 똑똑한 민족이다
그대들도 희망 입니다 ---왜캐 전부 열심 잘하는지 ----감동 입니다
저런 기업이 한국에 많아져야 선진국이 되는 것이다! 꼭 실용화 성공 하기를!
대단합니다적극지원합시다
대단하다 진짜 ❤❤❤❤❤❤
이러한 뉴스를접하다보면
난기분이너무좋아요!~
와.. ㄹㅇ 우리나라가? 엄청난 기술인데 대단합니다. 앞으로 갈길이 멀지만 꼭 성공해내길 바랍니다. 정말 대단하네요👍
자랑스러운 우리 연구진님들❤❤
실패를 두려워 하지마시고..매진 하시어
꼭 성공하시기를 기원합니다.
💖💖👍👍👍👏👏👏
지립니다. 졍말로 대단합니다. 미국만 가진 기술을 대한민국이!!! 정말로 후덜덜합니다. 대한민국은 출발은 늦었지만 항상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기필코 선보이내요.
대한민국 만세 ! 대한민국 만세 ! 대한민국 만세 !
후발주자인 한국이 이정도면 정말 잘하고 있다고 본다
와우~~대단해용 !!!
울나라 과학자들 응원합니다
국뽕이 아니라 국민이 너무 대단한 나라
연구진들 훌륭합니다. 너무 자랑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좋은 소식 전해주세요. 모두 연말연시 잘 보내세요.😊
일단은 우리도 노력하고 있다는거에 만족하자고
현시대는 문과나온사람 백만명보다 연구원, 과학자, 엔지니어 단 1명이 국민에게 더 많은 부를 가져다주고 국가발전에 더 필수적인 시대다.
문송합니다......
문과나온 사람들 역할이 이과사람들 재정으로 지원하는거임
이런 말 하는 애들 보면 참…;;;;
미리 얘기하지만 나 Caltech 졸업하고 RWTH에서 Ph.D. 취득했어. 그러니 문과가 발작하네 뭐네 떠들지 말길 바라.
엔지니어링 좋지…. 인류에게 정말 필요한게 과학이고 기술인거 백 번 인정.
그런데, 문과가 필요 없다는건 도대체 뭔 헛소리니?
과학이 “어떻게”를 고민하는 분야라면, 인문학은 “왜”를 고민하는 분야란다.
해당 기술이 왜 필요하고 어떻게 사용되며 무엇에 도움이 될지를 고민하는게 바로 문과라고.
더군다나 이 기술을 어떻게 마케팅하고 팔아서 수익을 낼지도 문과가 해야 할 일이다. 당연히 여기에는 예과도 포함되지.
아이폰이 왜 성공했니? 바로 기술의 인문학적 접근 때문 아니야?
시장성 없는 기술은 아무리 그 기술이 최첨단이라 하더라도 사장될 수 밖에 없어. 그리고 그 시장성을 만드는게 문과가 해야 할 일이야.
결국 과학도 중요하고 인문학도 중요하고 예술도 중요해. 어느 한 쪽만 가지고 살아남을 수 없다고.
현실이 이런데 넌 고작 한다는게 얄팍한 선동질로 편가르기니? 그 좋은 머리로 할 줄 아는게 고작 그거밖에 없냐고.
답답하다 진짜…
문과는 이과가 이룩한거 다 돈으로 팔아먹는애들임
@@tastesnack 이 나라는 문과 고위직이 오히려 공학쪽을 탄압하려하지만 ㅋㅋ
이거꼭성공해야한다
이게 원리와 개념만 알면 따라만들어 본다면 연구개발은 시간문제일듯함.. 원리와 개념자체를 창조하는게 가장 어렵고 시간이 많이드는 거라고봄..
자기 일신을 위해 의대 안가고 이공계 진학하여 국가과학기술 발전에 몸을 던진 연구원분들을 응원하고 존경합니다.
대단합니다~
로켓 개발의 엄청난 비용절감 입니다
멋지십니다
참 잘했어요.
당신들이 대한민국의 희망이고 후대들에게 보물이다.
앞으로 우주기술이 국민을 지키고 먹거리를 만든다.
혈세 아무리 내어도 아깝지 않으니 팍팍 저분들을 밀어줘야 한다.
연구자분들 정말 수고가 많으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화이팅!!!!!!
미쳤다 스페이스x도 겨우겨우 오랜시간 실패하고 헤메면서 개발했는데 윈공위성 쏘아올린지 얼마안되서 벌써 눈앞까지 연구가 되었다니 존경스럽습니다
와~~~
감탄만 나오네요~
우리나라가 언제 저런걸 연구했나요?
이제 막 우주발사체 쏘아 올렸는데 말이죠
세계가 또한번 대한민국의 저력을 실감하겠네요~
연구진들에게 큰 박수보냅니다.
R&D예산 감축과 항우연 인원감축하는 추세에 과학자들이 진짜 캐리한다. ㅠㅠ
R&D예산중에 줄인 부분은 과도하게 세어 나가며 R&D와 관계없는 부분까지 사용된 것들을 차단시키고 줄였기 때문에 예산을 줄인 것처럼 보일 뿐, 실제 필요한 곳에는 잘 배정되고 있으니 선동되지 말기를...
그래서 우주항공청 만들어서 우주항공 관련 지원할려고 하잖앙 과학기술정보통신부서 지원하는데 한계가 있어서링 ㅋㅋㅋㅋ
@@Scharnhorst8160 쌉소리 마세요. 그럼 그것만 조지면 되지 예산 자체를 왜 줄입니까? 예산 삭감은 열심히 연구개발 하는 연구원들 무슨 죕니까?
@@성단-아마추어개발자 과기정통부는 현재 진행 중인 R&D 사업을 전면 검토해 나눠 주기식 사업, 성과 부진 사업 등을 구조조정해 108개 사업을 통폐합했다고 밝혔다. 줄어든 예산은 총 3조4400억 원이다. 특히 강도 높게 구조조정에 나선 사업은 ‘기업 R&D’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감염병’ 등 3개 사업이다.
가장 큰 폭으로 예산이 줄어든 기업 R&D 지원 사업의 경우 1조5700억 원에서 1조1900억 원으로 3800억 원이 줄었다. 과기정통부 고위 관계자는 “유사한 과제로 사업비를 반복적으로 받아가는 기업이나 R&D 과제를 기업 대신 수행해주는 브로커가 전국에 1만 곳 이상인 것으로 확인됐다”며 예산 감축 배경을 설명했다.
반면 국가전략기술에 필요한 R&D 예산은 늘렸다. 첨단바이오, 인공지능, 사이버보안, 양자, 반도체, 이차전지, 우주 등 7개 핵심 분야에 총 5조 원의 예산을 투자하기로 했다. 올해 예산인 4조7000억 원보다 6.3% 증가한 수치다. 이 외에도 국제협력과 신진 연구자 연구 지원(2조8000억 원), 국가 안보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미래전략기술(2조5000억 원),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 주력산업(3조1000억 원), 6G, 초거대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인프라 고도화(1조6000억 원)에 추가 예산을 투입한다.
상세 내역 확인 없이 싸잡아 욕하고 무지성으로 까고 있는데, 왜 줄인 항목이 생겼는지 그 상황을 좀 살펴라...
쌉소리 닥치고...
한걸음 한걸음 정말 응원합니다~~
굿! 응원하겄습니다~~~
와 놀랐네요. 꼭 성공하여 재사용 실용위성을 우리도 만들 수 있기를 응원합니다.
응원합니다
예산 좀 팍팍 지원하고
연구진들 대우 세계최고로 해줘라
좋은성과 기대합니다.대한민국이 살길은 이런 기술개발입니다.파이팅
멋집니다~👍👍👍
모두 화이팅~~^^
우와, 한 걸음씩 꾸준히 나아가자!
와! 정말 대단들하시네! ^^ 여러분들 진심 응원합니다. 대한민국의 로켓강국의 길을 위하여 승승장구 하시길....
기자분이 좀 오버하셨네요. 로켓이 옆 기둥 레일을 타고 올라갔다 내려오네요. 결국 출력 조절 실험인데, 중간에 오르락 내리락 하는거 보면 출력 조절이 그렇게 섬세하게 되지는 않는 상황이구요. 첫 술에 배 부를 수는 없으니 이런 시도 자체는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그러나 기자라면 기사는 제대로 써야죠...
어구...대단하십니다..
Korean Do!
정말 자랑스럽습니다!!
화이팅!!!!!
와....한극에서 투자 많이 해주길!👍
한국이 앞서가길 응원합니다.
ㄹㅇ 가슴이 웅장해진다..
와... 이게 되네...ㅎㅎㅎ
꼭 성공했으면 좋겠어요
반 고체로켓인데 왜 착륙을 시도하는거죠? 컨트롤 능력을 보인점에선 매우 인상적이긴 한데 부스터 가격도 상대적으로 쌀텐데 굳이 착륙까지 필요한지 궁금하네요.
좋은 소식이네요
1차분리 궤도진입후 안정적인 (육.해상)착륙까지...
군함, 독도함 등의 착륙장에서도 활용할수 있다면 여러모로 유용하게 될듯...단. 갑판보호를 위한 임시적 보완작업이 진행된다면...
점점 높은 고도로 올랐다 착륙하고, 점점 더 빠른 속도에서 감속하여 착륙하는 식으로 발전하기른 기원하고 응원합니다.
박수!
미사일에 탑재한 측추력장치를 발사체 측면에 기능을 더넣어서 외부 돌풍바람영향을 덜받게 해야할듯합니다. 수고하시네요.
방구석이 젤싫더라
저기 연구원들이 더 똑똑하고 잘알겠지요~^^
악천후엔 로켓 발사를 안하겠지요?
훨씬 안정적이고 섬세한 제어가 가능한 추력편향+rcs를 두고 초기 유도에나 쓰이는 무식한 측추력장치를 써야할 이유를 모르겠네요.
...옳지... 글치... 잘한다...^
이게 되네...ㅎㄷㄷ
영상으로 보니 한 쪽을 레일에 고정 시킨 상태로 상하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는 것 같네요.
갈 길이 아직 멀기는 하지만 노즐을 제어하는 기술을 확보한 것으로도 충분히 가치가 있겠습니다.
그러게요..
이렇게 가이드 된 상태에서 추력 조절에만 집중하는데도 로켓 높이가 출렁거리는 걸 보니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입니다.
스페이스X 의 기술에 이미 눈높이가 많이 높아져 있는 탓도 있겠지요.
아무쪼록 계획한 대로 조만간 성공적인 개발 완료 소식 들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우와 ㅎㅎㅎ 이노스페이스 투자하고 싶네요
멋지다
칭찬한다
이런 과학자/엔지니어들이 애국자들임. 쓰잘데없이 해외연수 놀러다니는 국회위원/지자치단체장들 임금/연수비 삭감하고 애국자분들 연봉 많이 줘라!!
남들이 해놓은거 눈대중으로 따라하는건 우리나라가 최고죠
꼭 상용화까지 갔으면 좋겠습니다 화이팅
우리는 한발 더 나아가 대각선으로 착륙할 수 있게 해주세요
굿이네요...❤❤❤
중국, 북한, 일본, 대만, 베트남, 인니에 기술 유출 당하지 않도록 철저하게 보안을 지원해야 한다. 그것들은 언제고 우리 걸 흠치고 싶어 안달이다.
낮은 높이에 이동거리가 매우 짧았다는점.
엔진출력의 미세조정이 미흡해 부드럽게 랜딩하지 못하는점.
분산된 고정식 발무게로 인한 로켓 수직자세유지에 기본적으로 잇점이 있었다는점을 감안해보면
아직은 갈길이 멀지만.
작은기업에서 그것도 2차시도에 저 정도를 해냈으면 앞으로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엔진 출력미세조정과 안전성은 더 많은수의 엔진과 노즐을 장착하고 여러개의 엔진출력을 서로 유기적으로 조정해야 될거 같고
수직자세유지는 위의 더 많은 엔진 각각의 출력을 매우 짧은시간에 미세조정과 자세제어용 분사구를 추가하여 모든 엔진+분사구를 통합적으로 운용한다면 가능해질거 같네요 그러면 랜딩기어용 고정식장치를 수납식으로 바꿔도 문제가 없지 않을가 싶습니다.
어쨋든 파이팅 하셨으면 좋겠네요.
연구진들의 노고와 열정을
응원 합니다!!!~~~
와 짱
와 대박
제발 성공 하길
어디 스타트업?
당장 투자합니다.
저 기업은 희망이 보입니다.
이노스페이스
시작이 반 훌륭합니다!🎉
와우... 우리나라가 나아갈 길은 첨단 제조같습니다.
대단하다~~
대한민국 화이팅~~
하이브리드엔진..ㅠ그전에없었던 노력이네요. 성공을 기원합니다.
대단하네
경제성이 워낙 좋다보니 개나소나 다 뛰어드는 시장이라 길게보고 투자하여 앞으로 우리가 스스로 발사 할 수 있게 되기 바랍니다.
오오 잘했네요 앞으로도 기술개발 죽죽 잘 하길 바랍니다
저렇게 길죽한 게 자세를 잘 잡는 게 신기한데
하긴 사람도 그러니깐요 화이팅
자이로 센서 여러개와 인터페이스와 자세교정 공식이 다 이루어져야할겁니다
👍👍👍👍👍👍👍
Wow 축하해용
열심히 잘 따라하는 재능은 증말...
재사용 발사체를 벌써 만들고 있다고? 100톤 엔진 지금 만드는중 아니었나? ㄷㄷㄷ
기업이 다릅니다. 그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에서 하고 있는 겁니다.
대박!!! 우리나라에서도 이걸 보게될줄이야 ㅋ
연구원들 화이팅
이야 대단한데 진심 이런건 박수
최근에 중국에서 성공햤다고 해서 부러웠는데 우리도 하고있었구나 저런 기업에 지원좀 팍팍해줬으면 좋겠다
와..대단한 기술발전이에요…축하합니다 일런 머스크보다 더 대단한 업적이루시기르기원합니다
과학자들 엔지니어들 진짜 대단하다
좋다...! 나중에 상장해서 더 많은 지원금 받기를 기원합니다!
도대체 한국인들은 뭐야? 못하는게 뭐냐구??!!!!!!~~
다 좋은데 수요가 한국이나 동남아 와에 어떻게 될런지 싶네요
머스크는 로켓도 찍어내면서 일감 없으면 직접 위성쏴서 우주인터넷으로 돈을 벌고있어서...
로켓만 쏴서는 돈 못벌고, 위성으로 할수 있는 사업을 찾아야됨.
스페이스x는 그냥 본인이 지구궤도에 5만개씩 인터넷위성 쏴버릴라고 로켓 만드는거라, 단가는 스페이스x를 따라가기는 힘들듯;
스페이스x 스타링크 사업으로 바로 손익분기점 넘겨버리네요 ㄷㄷ; 법이 제대로 만들어지기 전에 저고도 땅따먹기가 중요한데 말이죠;;
ㅎㅎ 울나라 엔지니어들 정말 대단해요~~
돈을 못벌어도 R&D에 돈을 써야 하는것이다 !!
옆에 가이드 라인이 있어 타고 오르락 내리락..ㅠ 아직도 갈길이 너무 먼거구나 역시..쉽지 않은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