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탄산의 적정곡선에서 질문이 있어 댓글 쓰게 되었습니다. 제2당량점의 pH를 구하기 위해 말씀하신 공식을 사용하려면 CO3^2- 의 Kb값이 10^-5보단 작아야 할텐데, Ka2로부터 계산한 Kb값은 약 1.8×10^4가 됩니다. 이 경우에도 공식을 사용할 수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수업 감사합니다! 제가 지금 편입생물 준비중인데 아미노산 적정곡선이 이해가 안가서 동영상 찾다가 보게 되었어요. 화학배경이 거의 없는 상태라서 중간에 조금 이해가 안되는데 첫번째 당량점 이후에 HCO3만 남고나서 다시 OH를 60넣었을때 왜 HCO3가 40이 남는건지 이해가 잘 안 되는데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이 파트를 독학하며 문제를 풀어보니 답지가 이해가 안 돼 막막했는데 덕분에 이해했습니다ㅠㅠ 좋은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탄산의 적정곡선에서 질문이 있어 댓글 쓰게 되었습니다. 제2당량점의 pH를 구하기 위해 말씀하신 공식을 사용하려면 CO3^2- 의 Kb값이 10^-5보단 작아야 할텐데, Ka2로부터 계산한 Kb값은 약 1.8×10^4가 됩니다. 이 경우에도 공식을 사용할 수 있는 건가요?
엄밀히 말하면 Kb가 1.8×10^-4이고 초기농도가 0.1M보다 작다면 이온화도가 5%를 넘어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예외적인 상황까지 고려하는 산염기 문제는 거의 출제되지 않습니다(출제확률 1/1000보다 작음). 결론: 신경쓰지 말고 공식을 이용해도 된다.
5:55
너무 웃겨요
안녕하세요? 수업 감사합니다! 제가 지금 편입생물 준비중인데 아미노산 적정곡선이 이해가 안가서 동영상 찾다가 보게 되었어요. 화학배경이 거의 없는 상태라서 중간에 조금 이해가 안되는데 첫번째 당량점 이후에 HCO3만 남고나서 다시 OH를 60넣었을때 왜 HCO3가 40이 남는건지 이해가 잘 안 되는데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60중 50은 HCO3(-)만드는데 모두쓰이고, 나머지 10은 50의 HCO3-중 10을 CO3(2-)로 만들고, 결국 40의 HCO3(-)만 남게 되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