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개도 우리민족에겐 비상식용이였고(쌀문화권의공통적인문화) 세계적인 흐름상 그리고 반려인구가 늘어가면서 더이상 차츰차츰 꺼려하게되어서 이제 식용으로 안쓴다지만 인간의 생존때문에 고기는 필요하고 그때문에 소를 기른건데 채식주의자가 있는것처럼 그런측면에도 이런사상을 가지고있는 사람도있다 정도지 보편적인 관점에서 정상인 것은 아니죠...동물복지달걀이니 머니해도 결국은 환경좋게 행복하게 잘키워서 잡아먹자는거임 스트레스받는게 질이 안좋으니까 행복하게 살다가 고기를 제공하라는거죠 ... 그냥 이런사람도 있다는 소개이지 이게 정상인건 아니죠 ..결국 애완용소를 키운다는 거죠 .... 무어라 말해도 소를키우는게 경제적인 활동이 안된다는건 그냥 취미생활일뿐 특이하게 개를안키우고 소키우는 어떤사람이야기일뿐이죠
숫소의 경우 어른에게도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경계심이 적고 주의력이 어른에 비해 떨어지는 두아이에게 각별한 주의를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잘못하면 생명의 위협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항상 경계심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경우에 따라서 사람에게 위협이 될 경우 안락사를 시켜야하는 상황이 올수도 있으니 최대한 안전에 힘쓰시길 바랍니다. 오래오래 소와 안전하고 행복한 생활이 유지 될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그래서 소고기가 비싼 것입니다. 현실은 소와 돼지를 구하기 위해 기부하는 사람들도 소와 돼지를 즐겨 먹는다는 것입니다. 그들이 어떻게 죽는지 보지 않는 한 말입니다. 우리 모두 풀을 먹기 시작해야 할까요? 사자가 소를 먹을 수 있는 것은 자연의 섭리인데, 사람들이 고기를 먹는 것은 자연의 섭리가 아닐까요?
원래 개도 우리민족에겐 비상식용이였고(쌀문화권의공통적인문화) 세계적인 흐름상 그리고 반려인구가 늘어가면서 더이상 차츰차츰 꺼려하게되어서 이제 식용으로 안쓴다지만 인간의 생존때문에 고기는 필요하고 그때문에 소를 기른건데 채식주의자가 있는것처럼 그런측면에도 이런사상을 가지고있는 사람도있다 정도지 보편적인 관점에서 정상인 것은 아니죠...동물복지달걀이니 머니해도 결국은 환경좋게 행복하게 잘키워서 잡아먹자는거임 스트레스받는게 질이 안좋으니까 행복하게 살다가 고기를 제공하라는거죠 ... 그냥 이런사람도 있다는 소개이지 이게 정상인건 아니죠 ..결국 애완용소를 키운다는 거죠 .... 무어라 말해도 소를키우는게 경제적인 활동이 안된다는건 그냥 취미생활일뿐 특이하게 개를안키우고 소키우는 어떤사람이야기일뿐이죠
아이들 때문에 이사 가시겠다
더 많은 친구들이 저곳으로 이사 오면 좋겠는데
숫소의 경우 어른에게도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경계심이 적고 주의력이 어른에 비해 떨어지는 두아이에게 각별한 주의를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잘못하면 생명의 위협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항상 경계심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경우에 따라서 사람에게 위협이 될 경우 안락사를 시켜야하는 상황이 올수도 있으니 최대한 안전에 힘쓰시길 바랍니다.
오래오래 소와 안전하고 행복한 생활이 유지 될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인간이 제일 잔인해
인간이란 동물이 가장 악하고 혐오스러워
그래도 제일 잘난척, 고상한척
나는 인간들이 싫어
너무나 환멸스러워요.
그래서 소고기가 비싼 것입니다. 현실은 소와 돼지를 구하기 위해 기부하는 사람들도 소와 돼지를 즐겨 먹는다는 것입니다. 그들이 어떻게 죽는지 보지 않는 한 말입니다. 우리 모두 풀을 먹기 시작해야 할까요? 사자가 소를 먹을 수 있는 것은 자연의 섭리인데, 사람들이 고기를 먹는 것은 자연의 섭리가 아닐까요?
200명 넘는 개들을??200마리 아니고요?
이건 아닌 것 같다! 소는 사람에게 양식이다! 잡아먹는게 소에 대한 예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