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경제][커피타임] 부채가 그리 나쁜 거라면 세상은 왜 자꾸 좋아질까요? - 이진우, 안승찬, 박정호, 김현우, 박세훈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130

  • @Sh-ey7cj
    @Sh-ey7cj 14 дней назад +11

    커피타임. 느무 좋습니다~

  • @그달-m5o
    @그달-m5o 15 дней назад +6

    이진우 기자님 새해 개조 프로젝트 기대할께요ㅋ😂
    글두 기자님 덕분에 언더스탠딩
    삼프로티비 구독하고 잘듵고
    있습니다😊
    박정호 교수님 계신줄 몰랐는데
    앞으로 주님을 가끔말고 자주 모셔보세요😂
    기자님들 덕분에 함께 웃다보니
    스트레스가 해소되네요
    썰 푸시는것도 넘 잼나요!
    손경제 커피타임 최고!

  • @zzizimholic
    @zzizimholic 15 дней назад +14

    우리나라 작년 기준 6년간 부채가 1천조 이상 증가했는데 부동산 비율이 30%임, 명목 GDP 대비 부동산 비중이 30% 이상이고.. 미국의 3배, 영국의 4배. 가계자산의 80%가 부동산이고... 노년층 자산의 80%, 청년층 빛 80%도 부동산이니 자기개발, 투자 그런 건 고사하고 국민들이 쓸 돈이 없음. 이런상황에 은행은 성과급 파티중이고. 우리나라에선 부채가 대부분 나쁜 것 입니다. 굴러가는 눈덩이죠. 다른나라 예를 들면서 대출은 나쁜게 아니라고 그냥 퉁쳐버리면 현실 외면이죠

  • @참치머릿살
    @참치머릿살 15 дней назад +11

    저는 이진우 기자님의 이런 시각이 좋아요

  • @vti84
    @vti84 15 дней назад +6

    ㅎㅎ 패널들끼리 친한게 참 듣기 좋네요~

  • @빌리어네어베이비
    @빌리어네어베이비 14 дней назад +4

    커피타임 너무 좋아요🎉요즘 유투브 중에 최고 재밌는데 그중 이프로님 혜안은 매번 감탄합니다.

  • @utbn5020
    @utbn5020 15 дней назад +6

    세상이 좋아지는 것 처럼 보이는건, 부채로 버티는 것 뿐이고, 마치 부채로 갚을 능력도 안되는 사람이 외제차를 사서 플랙스 하는 것 처럼, 잠깐 좋아보이는 것 뿐이라 생각해요.
    세상도 사람과 같아서
    부채로 미래를 도모하고 성장하지만
    갚을 수 없을 정도의 과도한 부채는 파산하게 됩니다.
    모두가 건전한 부채를 취하면 좋겠지만, 부채를 가진 사람들 중에 상환능력 이상의 부채로 망하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가는게 현실이예요.
    상환이 불가능해지고 더 이상 부채를 만들 수 없을때 감당못하는 빚이 덮쳐올거예요.

  • @CarmenKfood
    @CarmenKfood 15 дней назад +7

    😂여러번웃었어요.남자들의 건전한 수다 듣기좋네요😂😂요 컨셉 아주좋아 고마워요

  • @NOWORNEVER-o3p
    @NOWORNEVER-o3p 14 дней назад +2

    댓글보니까 해석능력의 중요성을 또 한번 느끼네요.. 전 생태계를 거스르지않고 맞춰 살아가렵니다..

  • @maxrick6286
    @maxrick6286 15 дней назад +6

    부채를 통해 그 이상의 새로운 재화와 부가 창출될 수 있기 때문이겠죠 ㅎㅎ
    그렇지 않다면 매우 많은 여유 부를 가진 사람만 뭔가 새로운 시도해볼 기회가 주어지고, 우리들은 계속 그대로인 삶을 살아야되고요 ㅜ

  • @DC-jf1ep
    @DC-jf1ep 15 дней назад +26

    한국은 부채가 문제가 아니라 돈 빌려간놈들의 도덕적 해이가 문제입니다. 돈빌려서 잘되면 그 과실은 모조리 사유화되고, 반대로 망하게 될때는 그 책임이 사회화 되지 않습니까? 그놈의 금융안정이라는 걸로 고상하게 포장된 도덕적 해이가 한국의 자본주의를 쓰레기 처럼 만들어왔습니다

    • @一妄一語
      @一妄一語 15 дней назад

      님 말이 100프로 맞는 얘기는 아니더라도(도덕적 해이가 기득권의 잘못만은 아니니까요), 깊이 생각해 볼만한 지점이라 봅니다.

    • @정선화-c9g
      @정선화-c9g 15 дней назад +1

      이런세상 넘 이상함
      겁없이 빌리고 ~

    • @bmck58
      @bmck58 15 дней назад

      그럼 빌려다가 투자 사업해서 망하면 자살로 결론 지으면 정당한 사회인가요? ㅎㅎ

  • @sunnyday563
    @sunnyday563 15 дней назад +12

    하여튼, 재미있고 유익하고 .... 많이 배웁니다. 이진우 기자님!!! 응원합니다

  • @songofnightnstar
    @songofnightnstar 15 дней назад +3

    Ebs영상 잘 봤는데 책이 나왔군요 ㅎㅎㅎ 얼른 사봐야겠습니다

  • @김기현-g9n
    @김기현-g9n 15 дней назад +19

    적당한 부채는 성장을 가속하는데 우린 부채가 너무 많아..

    • @donghyuncho5861
      @donghyuncho5861 14 дней назад

      무이자부채 우선으로 쓰시고, 국가기준금리이하로 쓸 수 있는 부채만 쓰세요.

  • @쪼꼬미캘시퍼
    @쪼꼬미캘시퍼 15 дней назад +9

    내 몸은 점점 늙어가는데, 왜 내 순자산은 늘어갈까요?
    인과율이 없는 동시 현상.
    부채과다증가와 세상발전은 인과율이 낮은거 같다.

  • @고지방우유-c3v
    @고지방우유-c3v 15 дней назад +20

    전 남들과 다들 시각을 말해 주는 사람이 좋습니다. 어느 정도 알고는 있었지만 출판업계는 또다른 요지경이네요. ^^

  • @잠이솔솔-m8j
    @잠이솔솔-m8j 15 дней назад +15

    부채가 무작정 나쁘니까 척결하자는 사람이 어디있나요??
    가상의 적을 만들어서 쉐도우 복싱하시네
    부동산이 가계부채를 죄다 흡수해서 가계소비가 줄어든게 문제인건데
    단순하게 부채가 상승한것뿐만 아니라 그 부채들이 생산성 없는 투기수요만 만들어내는게 문제인건데
    시청자들을 바보로 아시는듯

    • @narodo_ro
      @narodo_ro 15 дней назад

      니가 부동산을 우습게 아니까 그런거야•
      그게 다 경제인거야• 부채를 결정 하고 안 하고는 니 문제야• 그 결과고

  • @송승현-c2s
    @송승현-c2s 15 дней назад +1

    정말 잘 본 컨텐츠 였다고 봅니다

  • @손진경-n3w
    @손진경-n3w 15 дней назад +5

    피디님 열일에 감사합니다~~!!

  • @gsgvx
    @gsgvx 14 дней назад +1

    좋은 아젠다 입니다.

  • @cyclo4u
    @cyclo4u 15 дней назад +9

    유튜브 시청 80~90% 보고
    이후에 체팅가능하게 하는 제도 있어야 한다.
    어디든 제목만 보고 ㅋㅋㅋ

  • @스메이
    @스메이 14 дней назад

    ㅋㅋㅋ아 넘 재밌게 듣고 있어요 .

  • @복복-z1j
    @복복-z1j 14 дней назад +2

    경제가 어렵고 돈없는 얘기만 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현실에선 일 매출 3백만원이상 9백만원이상 버는 자영업자들도 꽤 많음, 결국 돈 잘버는 사람들은 지금같은 경제상황에서도 잘들벌고있음, 세상을 좀 더 넓게 봐야함,

  • @유니텔-r9j
    @유니텔-r9j 15 дней назад +5

    울회사도 직원들 내보내고 작년 올해 월급도 동결 작년보다 소비를 더 적게 해야 살수 있을듯 무섭당

  • @PolloreeJang
    @PolloreeJang 15 дней назад +2

    유투브로 두 번째 교과서 볼 시간이 없었는데, 책 나왔다는 말에 바로 주문했습니다. 아직까지 유투브보다 책이 보기 더 편한 세대네요.

  • @Eikan121
    @Eikan121 15 дней назад +8

    맞는 말하면 불편한 사람들이 많은 세상이라…

  • @곧은그리운바람
    @곧은그리운바람 15 дней назад +2

    부채는 이자가 관리 가능할 때 효과적이겠죠. 이자가 소득을 증가하는 순간 재앙이 되겠죠. 열심히 소득을 올려야죠.😄🌹🕯🇰🇷.

  • @AndreaSakong
    @AndreaSakong 15 дней назад +1

    방송 다시보면서 한권 주문했습니다

  • @늘초록-u9c
    @늘초록-u9c День назад

    신용창조라는 용어를 학교때 들은거 같아요.

  • @raphaelpark763
    @raphaelpark763 15 дней назад +10

    썸네일 진통제가 나쁘다면 왜 자꾸 통증은 줄어드나요랑 같은말 아님? 근본적은 해결없이 일단 살아야 하니까 스팀팩 꼿는건데 나중에 뒷감당은 누군가는 해야하는데 부채 땡긴 세대가 아니라 뒷세대라는게 문제지...

    • @narodo_ro
      @narodo_ro 15 дней назад +1

      제 코가 석자면서 뒷세대 걱정하는 건 무리야 무리

  • @user-ny9fx7vo5d
    @user-ny9fx7vo5d 15 дней назад +9

    마냥나쁘다고 하는사람은 드문데

  • @psw8989
    @psw8989 13 дней назад +1

    출판사쪽도 한번 뒤엎어야겠네요
    아니면 똑똑이가 투명하게 만들 아이디어로 회사를 만들어서 출판사 통합시키던가

  • @kay203
    @kay203 12 дней назад

    부채 자체는 나쁘진 않다고 보여집니다만,
    1. 부채의 성질: 부동산에만 쳐박히고 실질 기업 생산이 없는 쪽으로만 부채가 가득 쌓인다. 한국의 문제. 기업들이 대출받아서 기업활동 하는게 아니라 부동산 사는데만 빚이 쌓여서 내수가 죽었죠.
    2. 부채를 못갚을때 오는 위기: 연쇄 도미노로 부채를 못갚을때의 문제가 있죠
    이 두가지 면을 잘 관리해야하지 않나 싶어요

  • @양띠소띠
    @양띠소띠 15 дней назад +2

    미국같이 창조적 파괴에 앞서는 기업들에게 레버리지가 중요하겠지. 하지만 그도 낙수효과는 전체 국민보다 소수에게만 가지만 그래도 미국을 패권국가로 남게 하니 레버리지 동의한다.
    이프로 아파트 투기 더 부추키지는 마시오.

  • @이정화-s5t
    @이정화-s5t 15 дней назад +1

    이프로님~
    저도 ebs 봤거든요
    잘 나가시는 분이구나 싶던데요
    방송이라서 그런가 너무 점잖게 나오셨어요

  • @giraffe199
    @giraffe199 15 дней назад +2

    댓글보니 먼것같은데 이진우 기자님 응원합니다 ㅎㅎㅎㅎ

  • @hyj7862
    @hyj7862 15 дней назад

    적당한 부채는 유동성을 늘려서 좋은데,
    장기적으로 순소득대비 부채가 늘어나는 것은 문제죠.
    부채가 긍정적인건 장기적으로는 순소득을 더 많이 늘려서 순소득대비 부채가 줄어들어서 좋은 거라

  • @eugenestella-s9q
    @eugenestella-s9q 15 дней назад

    국가가 부채로 고속도로 깔고, 철도놓고, 발전소 짓고, 교육에 투자하고... 기업이 부채로 미래산업투자하고... 꼭 필요하죠. 부채 순기능 대찬성이요.

  • @김종현-k6o
    @김종현-k6o 12 дней назад +1

    박세훈작가님 곰돌이 이미지 지우면 안됩니까? 본인이 자신얼굴 보면 별루일 수 있겠지만 제삼자 입장에서는 잘생기게 보이니 걱정하지말고 곰돌이 없애주세요

  • @권세진-l4z
    @권세진-l4z 15 дней назад +11

    부채는 성장율만큼 증가해면.. 좋은 빚 이지만...
    성장율보다 과하게 증가하니 양극화, 부동산버블 > 출산율저하 > 내수 악화 > 성장율 더 하락 이라는 악순환에 빠져서 나쁨

    • @narodo_ro
      @narodo_ro 15 дней назад

      자신의 의지야• 하던 말던 니 자유고

  • @jeungaikim1586
    @jeungaikim1586 15 дней назад +8

    도입부부터 부채에 대해 얘기하면서 부채를 바라보는 시각에 대해 멋지게 말씀하시는 이진우기자님 멋지십니다

  • @lucaslee4943
    @lucaslee4943 14 дней назад

    저희 출판사는 아주 영세해서 선인세를 지를 수 없으지만 제3자에 의하여 90% 이상의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습니다
    김현우 대표님 책 내고 싶은데 연락드리면 될까요?! ㅎㅎㅎ

  • @레모네이드-k6m
    @레모네이드-k6m 14 дней назад +1

    아저씨들 수다가 이렇게 재미질 줄이야

  • @징크스-k4d
    @징크스-k4d 15 дней назад +2

    나의 두번쨰 교과서 알고르짐에 따서 다봣엇는데ㅋㅋ

  • @HKHK796
    @HKHK796 15 дней назад +5

    업로드를 아침 8시에?

  • @양띠소띠
    @양띠소띠 15 дней назад +9

    박종훈 KBS 전기자 유투브 추천합니다. 최근 한국은행 RB 매입에 대한 동영상 시청하면 나라가 어떤 지경으로 가고 있는지 알 수 있지요.

    • @이다루-h8o
      @이다루-h8o 14 дней назад

      그분 문정권때 kbs 라디오 4시경제 프로그램 진행한거 부터 들어보세요. . .비판이라고는 없어 .. 부동산정책에서도. . .

  • @양띠소띠
    @양띠소띠 15 дней назад +1

    창조적 파괴를 위한 즉 혁신을 위한 레버리지가 아니라 콘크리트 아파트를 위한 레버리지가 정녕 국가와 인류 발전 생산성에 도움 되나?

  • @프란체스카-z7w
    @프란체스카-z7w 15 дней назад +1

    언드스텐딩 타고 손잡경까지 왔네요.
    진행자들 캐미가 너무 좋습니다.
    덕분에 즐겁습니다.

  • @Gimosalamet
    @Gimosalamet 15 дней назад +2

    대출땡기기만 했지 이자원금갚는건 모르는 사람 많다

  • @올챙이-m1o
    @올챙이-m1o 15 дней назад +1

    이진우 기자님 팬이라 EBS방송도 혼자 근무할때 라디오처럼 틀어놓고 빼놓지 않고 잘 봤습니다😊 역시나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저도 썸네일 사진 보면서 잘생기신 분인데 사진이 약간 이상하다 생각했네요...하지만 진짜는 잘생기신분이라 댓글 자제 했습니다^^

  • @hodda799
    @hodda799 15 дней назад +45

    뭐든 적당히라는게 있죠. 부채란 미래의 나 또는 다른 누군가의 소득을 땡겨서 사용하는 것이니까. 적당한 부채는 괜찮지만, 과도한 부채는 경제성장률을 갉아먹게 돼있음.

    • @TT-vh2zk
      @TT-vh2zk 15 дней назад +1

      그적당히를 정하는 기준이 뭔가요?

    • @Y_-km6ro
      @Y_-km6ro 15 дней назад +4

      저방송에서 과한 부채가 좋다했나 왜저럼

    • @bmck58
      @bmck58 15 дней назад +4

      그냥 본인이 빚없고 집없으니깐 불만인거 아닌가요?
      저는 정말 살만하고 경제 좋다고 생각하는데^^

    • @narodo_ro
      @narodo_ro 15 дней назад

      니가 그걸 어떻게 아는데?. 은행이 등신들이라 아무렇게나 대출해 주남?

    • @terryseok8852
      @terryseok8852 15 дней назад +7

      댓글보니 한심한 종자들 많네
      이프로가 평소에 보이는 태도가 집값은 계속오르니 이 가격에도 사라고 은근히 부추기는건데
      일본같은 선례를 따라갈 확률이 매우 높은(오히려 더 심각함)상황에서 저 태도를 지적하는 댓글이잔아 ㅋㅋ

  • @nicolask6083
    @nicolask6083 15 дней назад

    생산성이 엄청나게 늘어서 돈도 그만큼 늘어나야함

  • @eazzzyong
    @eazzzyong 13 дней назад

    저기 하얀색 상의 입으신분은 어떤일을 하시는 분인가요??

  • @volvo3496
    @volvo3496 14 дней назад +2

    좌측하단에 곰은 누구세요?

    • @terrybo74
      @terrybo74 6 дней назад

      저 세분이 이야기하면 중간중간 의견을 조율해주시고 중심을 잡아주시는 박작가님이십니다.
      난 저분이 제일 말씀 재밌게 잘하신다고 생각해요

  • @유튜브용-t1q
    @유튜브용-t1q 15 дней назад

    맞아요. 썸네일 딱 인상 쓴 모습처럼 나왔어요. 어쨌든 저는 ebs 강의 잘 듣고 있어요 ^^

  • @supuza123
    @supuza123 15 дней назад +13

    그좋아지는 과실은 너무나도 소수가 다가져갑니다

    • @akk.fuller
      @akk.fuller 15 дней назад +7

      소수가 보상(=가져가는) 받는게 아니라면 (=1/n 나눠 갖는다면)
      누가 리스크를 짊어지며 시간,돈,노력 들여서 뭔가를 시도합니까 ㅋㅋㅋ

    • @김진재-e5k
      @김진재-e5k 15 дней назад +5

      대다수에 당신들도 과실즙은 먹고 있는겁니다!
      냉정해 집시다!
      배아플땐 매실차라도 드시고요!

    • @0gu0gu
      @0gu0gu 15 дней назад +6

      리스크감수를 소수들이 그만큼하니까요..
      리스크감수한 모든이들이 다잘되는것도 아닙니다

    • @특전리
      @특전리 15 дней назад +4

      당신은 아무것도 안하면서 그 과실의 지분을 주장하는게 쪽팔리지 않으세요?

    • @akk.fuller
      @akk.fuller 15 дней назад

      @@특전리 저런애들은 인도인 노동자랑 동급일거 같으니
      한달에 한 30만원 월급으로 책정해야함

  • @lowhigh2655
    @lowhigh2655 15 дней назад +2

    윤정부에서 부채는 다 나쁜거라며 부채 줄이겠다고 경기를 죽인거랑 같은 말.

  • @박화순-b3f
    @박화순-b3f 15 дней назад

    승찬이형 ~

  • @jeh897
    @jeh897 15 дней назад +1

    이진우 잘생김 ❤

  • @양띠소띠
    @양띠소띠 15 дней назад +5

    이프로 고마해라
    누가 지금이 더 좋은 세상이라고 하니? 35년 전 대학원 다닐 때 corporate finance 미국교수가 그랬지. 레버리지 중요하다고. 그건 미국 기축통화 나라고. 무지몽매한 사람들 부추키지 말고. 오늘 법원 아수라장 만든 인간들 뒤에서 부추키는 인간들 같이 전락하지 말고.
    기득권이 좋겠지. 당신같은 부동산 투자 러버들.

    • @NOWORNEVER-o3p
      @NOWORNEVER-o3p 14 дней назад

      한국같이 내수로 먹고살지 못하는 나라가 레버리지도 못 일으키면 그냥 거지로 사는걸텐데요..

  • @hiongun
    @hiongun 15 дней назад

    책 내용은 좋은데...
    이진우 쌤은 너무 못 믿는다...

  • @yoonth9
    @yoonth9 15 дней назад +10

    이프로 : 청년 여러분~ 부채로 집 사세요~ 집 값이 올라갈 거예요

    • @narodo_ro
      @narodo_ro 15 дней назад

      지럴허네• 그대로 살어 봐•

  • @불량공주이프로바라기
    @불량공주이프로바라기 15 дней назад

    Ebs보면서 썸네일두 잘생겼다~~!생각했어요~!!다시봐두 잘생겼는데~~

  • @김요요요-q6v
    @김요요요-q6v 15 дней назад +4

    부채가 늘어서 세상이 참 좋아졌군요. 그래서 요즘 세대가 세상이 너무 살기 좋아서 애를 안(못)낳고 취업도 안(못)하나 봅니다.
    제목 한번 참 잘 지었네요.

  • @huntersis1655
    @huntersis1655 15 дней назад +3

    빚내서 펑펑쓰면 당연히 좋아지겟지
    덤앤더머
    언론이나라를망친다

    • @이경애-p7q8q
      @이경애-p7q8q 15 дней назад +2

      EBS 나의두번째교과서 보시면
      이프로님도 빚이 좋은 빚이있고
      나쁜 빚이 있다고 하셨어요.....

    • @narodo_ro
      @narodo_ro 15 дней назад

      빚내서 펑펑 쓰면 가만 안 놔둔다• 그게 시스템이야•

    • @huntersis1655
      @huntersis1655 14 дней назад

      @ 그런것은 사실없고
      부채가 되면 망하는것
      한국은 지금 고스란히 부채가 되고있고

  • @정치충대구막
    @정치충대구막 15 дней назад +3

    오늘 방송 내용은 댓글 많이 쓰게 하네요.
    한국은행 총장 관행인데 이번에 왜 해?
    평소 이진우 기자는 관행이라도
    아닌건 아니라고 해야 한다고
    주장 안했나요?특히 부동산 쪽에서..
    그런데 이번 한국은행 총장 건은
    본인에 맘에 안든다고
    왜 관행을 안 따르나?고 따지네..
    오늘 방송 내용은
    평소 이프로 본인의 소신발언과
    반대인게 눈에 띄네.
    나만 그런가?
    그래서 좋은점이
    이프로도 결국 다른 사람과 같네 라는 느낌.

  • @독기-e9p
    @독기-e9p 15 дней назад +5

    세상이 어디가 좋아지나요? 양극화로 있는 사람들만 좋아지는거 아닌가요? 먹는거 좀 좋아진다고 좋아지는건가요? 일하는 시간이 줄어들고 있나요? 불안한 미래에 걱정하면서 살고 있는 현실. 누군가는 좋겠죠.

    • @narodo_ro
      @narodo_ro 15 дней назад +1

      오늘 통닭 한마리 시켜 먹을 자유는 있겠지•• 니가 찌질한거야

    • @양띠소띠
      @양띠소띠 15 дней назад +2

      정확합니다. 소수 기득권만 좋아지는 거지요.

    • @양띠소띠
      @양띠소띠 15 дней назад +1

      ​@@narodo_ro이런 수준 떨어지는 용어는 그만

    • @독기-e9p
      @독기-e9p 15 дней назад

      @@narodo_ro ㅋㅋ 통닭. 무슨 노예냐. 통닭에 그렇게 행복해 하고.. 보리밥이라도 행복해줄수 있지 당연히..지금 개인의 행복 기준을 말하는게 아니라 경제적 부의 분배와 상대적 박탈감, 그리고 과거와의 삶의 행복도를 비교하는 말이라고.. 이 무식하고 감정 공격하는 인간아.

  • @terryseok8852
    @terryseok8852 15 дней назад +1

    또또 은근히 핀트 꼬아서 얘기하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지겹다

  • @정치충대구막
    @정치충대구막 15 дней назад +3

    불과 몇일 전 언더스탠딩 생방송에서는
    소위ㅜ개나소나 책 내니깐
    출판사에서 거르지 않고 아무나 책 내니깐
    책 시장이 일부 낮은 퀄리티로
    소비자들의ㅜ비호감이 늘어난다고 했는데?
    오늘 영상에서는 무슨 책이든 나무값을 한다?

  • @v10bears28
    @v10bears28 15 дней назад

    EBS PD한테 돈 빌리고 안 갚으셨나 봅니다

  • @tuaman774
    @tuaman774 15 дней назад +1

    그냥 20억씩 0.1%로 전국민 대출해주면 다 부자가 되는데. 아파트 20-100억씩되고 다 좋은데 왜?

  • @softcowcandy
    @softcowcandy 15 дней назад +3

    제목 장인이 있어서 매번 궤변놀이 재미 붙였나보네.
    현실은 이제 삼주체(가계,기업,국가)의 부채가 한계상황이라서,
    예전처럼 가계가 빚내서 집사주면, 그 돈으로 건설회사,철강회사, 전자제품회사가 돈 나눠갖는 거에 한계가 옴.
    이젠 베네수엘라 되기 만 남은 상황임

    • @narodo_ro
      @narodo_ro 15 дней назад

      그러고 사니 니 삶이 좋아졌니

  • @마인드-o3f
    @마인드-o3f 12 дней назад

    설겆이하면서 10분째 듣는데, 뭐하나? 시간만 날렸네

  • @하모니wakaraka
    @하모니wakaraka 15 дней назад +2

    레버리지 쓰면 수익률높은건 다 아는거고만 댓글들은 넘 안좋게만 보네ㅎㅎ 다만 레버리지써서 손실생기면 피해가 더 큰 것일뿐

  • @날개-g9o
    @날개-g9o 15 дней назад +6

    세상은 시간의 힘으로 변하고 있는 것이지....좋아지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ㅎㅎ

  • @폴스미스-r6j
    @폴스미스-r6j 15 дней назад +4

    영원히 부채 발행해서 뒤로 미루니까 좋아지지요. 말도 안되는 논리를 자꾸 들이미네. 지금 국민연금 꼬라지 보면 모릅니까?
    영원히 후세대들한테 책임 뒤로 미루고 정치행정권력이 있는 50~60대들이 다시 또 뒤로 미루고 다음 50~60대들이 책임지기 싫어서 또 잔뜩 빚내서 뒤에 세대로 미루겠죠

    • @narodo_ro
      @narodo_ro 15 дней назад

      헛소리 말고 니 생이나 챙겨• 지 앞가림도 못하면서 미래세대 챙기기는••
      그걸 꼴값 떤다고 하는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