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원장님 강의 들을 때마다 원장님의 프로다운 노련함이 느껴집니다. 저도 영문학을 전공하고 대학강의와 편입 영어 및 입시 영어를 25년 넘게 했지만 원장님의 강의는 짧은 듯 하나 예리하고, 간단한 듯 하나 깊고 정곡을 찌르는 강의입니다. 늘 감사하게 잘 듣고 있습니다. 이 귀한 강의가 입소문을 타고 전기 자격증을 준비하는 모든 분들이 오원장님 강의를 듣기위해 구름떼처럼 몰려들었으면 합니다. 늘 건강하십시오.
안녕하세요 한국전기입니다. 먼저 질문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1. 직격뢰는 송전선로나 지지물 등에 직접 방전하는 것을 말하며 수백 kV(800) 발생한다고 하며 유도뢰는 직격뢰에 비해 발생빈도는 높으나 200kV 이하라고 합니다. 2. 1.2×50은 뇌서지의 표준의 충격파를 말하며 직격뢰는 파두장이 1~10 ㎲, 파미장이 10~100㎲ 정도라고 합니다. 1.2×50㎲ 는 표준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 가공지선은 직격뢰에 대한 직접적 보호이고 내습된 값에 대해서는 보호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피뢰기로 보호하는 것 입니다. 궁금하신 부분에 대해 답변이 되었는지요~ 새벽까지 공부하시는 모습이 보기가 좋습니다^^ 작게나마 제 영상이 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
정말 대단하십니다
오원장님 강의 들을 때마다 원장님의 프로다운 노련함이 느껴집니다. 저도 영문학을 전공하고 대학강의와 편입 영어 및 입시 영어를 25년 넘게 했지만 원장님의 강의는 짧은 듯 하나 예리하고, 간단한 듯 하나 깊고 정곡을 찌르는 강의입니다. 늘 감사하게 잘 듣고 있습니다. 이 귀한 강의가 입소문을 타고 전기 자격증을 준비하는 모든 분들이 오원장님 강의를 듣기위해 구름떼처럼 몰려들었으면 합니다. 늘 건강하십시오.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더 좋은 영상으로 보답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궁금한게 있습니다
1. 직격뢰의 크기는 유도뢰보다 큰지
2. 직격뢰와 유도뢰는 둘 다 1.2x50ms인지
3. 유도뢰의 보호는 피뢰기라고 하셨는데
혹시 선로에 가공지선이 보호를 못해서 직격뢰가 떨어지는 경우 피뢰기로는 보호가 안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한국전기입니다.
먼저 질문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1. 직격뢰는 송전선로나 지지물 등에 직접 방전하는 것을 말하며 수백 kV(800) 발생한다고 하며
유도뢰는 직격뢰에 비해 발생빈도는 높으나 200kV 이하라고 합니다.
2. 1.2×50은 뇌서지의 표준의 충격파를 말하며
직격뢰는 파두장이 1~10 ㎲, 파미장이 10~100㎲ 정도라고 합니다.
1.2×50㎲ 는 표준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 가공지선은 직격뢰에 대한 직접적 보호이고 내습된 값에 대해서는 보호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피뢰기로 보호하는 것 입니다.
궁금하신 부분에 대해 답변이 되었는지요~
새벽까지 공부하시는 모습이 보기가 좋습니다^^
작게나마 제 영상이 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