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택견 가라테의 관계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1,6 тыс.

  • @동산이는돌아온다
    @동산이는돌아온다 4 месяца назад +174

    가라데는 일본게 아니고 오키나와, 유구열도의 무예임. 유구열도가 일본에 복속 되었으니 일본거라고 하는 거임

    • @이대순-v4k
      @이대순-v4k 4 месяца назад +29

      삼별초가 오끼나와에 흘러가 수박을 전수했다는 썰도 있음.

    • @동산이는돌아온다
      @동산이는돌아온다 4 месяца назад +8

      @@이대순-v4k 가능성 있는 썰이긴 한데 직접증거를 찾지는 못 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 @이대순-v4k
      @이대순-v4k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동산이는돌아온다 일본이 역사흔적 다 지웠을 겁니다. 아이러니한건 명치유신 주도세력이 백제계인데 지네가 못해 져서 찌그러진거 왜 조상의 나라에 화풀이 하는건지. 요새 일본 망하고 있다고 하니 우리가 한일합방해 홍익인간 만들기를 완성했으면 합니다.

    • @이대순-v4k
      @이대순-v4k 4 месяца назад +2

      @@LaniakeaSuperclustet 수박이 택견의 원류라 초기무술로 봅니다. 어차피 초절정고수 아니면 개인의 피지컬로 무술의 실력차가 나죠. 그래서 골리앗같은 사람이 장군을 하는거구요.

    • @chowold-j1d
      @chowold-j1d 4 месяца назад

      @@LaniakeaSuperclustet 이건 또 새로운 왜곡이네. 차력을 고려에서 군용 무술로 사용했었다고????? 또, 대련을 통한 승자승방식의 겨루기대회도 있었다고??? 그저 겨루기대회 명칭에 "수박희"라고 돼있다고 말그대로 놀이 취급인거여? 일본놈인지. 일본놈 호소인인지, 중국인인지 중국인 호소인인진 모르겠으나 개소리는 너 혼자있을때만 해라!

  • @반기문-i9v
    @반기문-i9v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36

    태견이랑상관없다 걍 인정하고말지 가라데에서 나왔건아니건 태권도가 우리것인건변함없다

    • @AiGoogle-l3d
      @AiGoogle-l3d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태권도는 중국꺼임.

    • @영차영차-v9o
      @영차영차-v9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

      ​@@AiGoogle-l3d 어떻게 아셨어요? 와우 엄청 박식하시구나 올 👍 대박!! 캬!! 굳굳 멋있음 최고! 단 한번에 논란거리를 정리해주시네

    • @대기만성-w2x
      @대기만성-w2x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중국에 태권도인구가 8천만이라고 합니다

    • @niceguy1633
      @niceguy1633 4 месяца назад +18

      ​@@AiGoogle-l3d중국은 우슈가 있는데 뭔 태권도ㅋ

    • @배현박-h2e
      @배현박-h2e 4 месяца назад

      ​. 짱께도 니들거잖아 ㅋㅋ

  • @ytmmv4
    @ytmmv4 3 месяца назад +3

    가라데는 한국인이 창시자, 도장깨기가 유명한 최배달이 있잖아!!!
    역사에서 태권도는 동시에 시작된것으로 보임.

  • @sdbak8560
    @sdbak8560 4 месяца назад +3

    누가 태권도를 가라데에서 파생하였다 말하는가 삼국시대에 격구는 고려시대에 수박도에서 완성되어 지금의 택견과 태권도로 이어진 우리의 창의적 무술로 탄생되었다

    • @drpressed69
      @drpressed69 4 месяца назад

      태권도를 직접 만든 사람들이 그렇게 말해요,

  • @erickyee4198
    @erickyee419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65

    지금 가라테 역시 태권도의 발차기를 도입해서 접목하고 있습니다.
    좋은 것은 받아드려 발전시키는 것이 맞습니다.

    • @jyl-kj6zy
      @jyl-kj6zy 4 месяца назад +5

      또 역사왜곡 한다 이상한거 퍼뜨리지마

    • @twilightgarden
      @twilightgarden 4 месяца назад +17

      일단 가라데가 일본게 아닌데 , 류쿠 무술 훔쳐와서 일본 전통이라고 우기는 것도 웃기는 일이지.
      중국이 티베트 강제병합해서 달라이라마가 중국인이라고 우기는 거하고 같은 급.

    • @에베베베베-x6b
      @에베베베베-x6b 4 месяца назад +25

      ​​@@jyl-kj6zy실제임 가라데가 태권도 모티브인건 맞는데 태권도가 발차기가 쥰내게 발전되서 발차기 기술 하나는 오히려 역보급 하는 상황임

    • @sjeoendiowksbsjsel
      @sjeoendiowksbsjsel 4 месяца назад

      일제시대에 가라데 수련하던 일본 유학생들이 해방후에도 계속 수련함. 이때까진 태권도라 하지 않았는데
      일본 유학생이던 최홍희 사단장이 가라데를 군대에 도입했고 그걸 이승만에게 시범 보이면서 태권도란 이름을 최초로 썼음. 그후 태권도라고 불리며 군대와 민간에서 수련하다가 최홍희가 박정희와의 불화로 캐나다 망명, 거기서 태권도를 세계 각국에 보급했는데 그것이 북한 태권도로 잘못 알려진 ITF 태권도.
      남한에 남아있던 태권도는 김운용이 자기 입맛대로 뜯어고치고 IOC에 로비해서 지금의 올림픽 종목인 WTF 태권도가 된 것.

    • @금연하자-g6m
      @금연하자-g6m 4 месяца назад +12

      가라테는 본래 오키나와 무술인데 그 또한 삼별초와 무관하다 볼수 없고..
      일본에서 가라는 본래 한국이나 중국을 부르는 명칭이고..
      오키나와 무술의 또다른 종류 씨마는 중국 씨름이나 일본쓰모와는 다른 한반도 씨름을 하고 있다는걸 봐서도 삼별초 무예와 가장 관련이 깊다고 볼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가라테는 본래 발차기 무술이 없는 무예였는데 그 가라테에 발차기를 접목시킨 사람이 바로 최영의가 접목시킨것이죠...

  • @어벤져스프레임온
    @어벤져스프레임온 4 месяца назад +57

    사람들이 혼란스러워하는 문제가 태권도의 모델이 어떤 무술이냐, 태권도는 그럼 어느 나라 무술이냐 이걸 연관지어 생각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겁니다. 태권도는 가라데가 모델이 맞지만 우리가 개량하고 특화시켜 가라데와 다른 무술이 되었기 때문에 우리 무술이다라고 말할 수 있는 겁니다. 임진왜란 이후에 왜검의 강력함을 인정하고 배워와서 보급하고 조총을 받아들여 총포부대를 만든게 부끄러운 일이 아니듯이요.

    • @Code999IIIIiiIiIII
      @Code999IIIIiiIiIII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전체적인 문맥에는 공감하는데, 그와중에 일본도를 또 왜검이라 비하하는 국뽕센스 ㅋㅋㅋ

    • @어벤져스프레임온
      @어벤져스프레임온 4 месяца назад +19

      @@Code999IIIIiiIiIII 하하하 국뽕은 아니구요. 왜검은 일본도를 말하는게 아니라 일본검법을 말하는 것이고 조선시대에는 왜검이라 불렀고 무예도보통지에도 왜검이라 적혀있습니다. 그리고 국뽕은 근거없이 우리 것을 비교우위에 둘 때 쓰는 말로 알고 있습니다만.... 댓글 지우지 마세요. 다른 분들도 보시게 ^^

    • @Raccoons_GeneralStore
      @Raccoons_GeneralStore 4 месяца назад +5

      @@Code999IIIIiiIiIII 하.. 무식... 책좀 읽어라

    • @craquelure20
      @craquelure20 4 месяца назад +9

      @@Code999IIIIiiIiIII 왜구의 칼을 왜검이라 부르는 게 비위 상하나? 왜구 핏줄인가?

    • @오유빈-e2c
      @오유빈-e2c 4 месяца назад +7

      백제도에서 넘어간 게 일본도입니다
      백제도 한번 찾아 보세요
      그 시대 일본에게 문물을 전한 게 백제입니다

  • @제천대성-n7q
    @제천대성-n7q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25

    태권도는 전통무술이라 언급하지 않습니다. 종합무술이라 언급하지요. 정확히는 태권도를 처음에 당수도 태수도로 가르치던 원로들은 다 일본에서 쇼토칸 가라테를 배우던 분들이니까요. 그래서 품세중 어느 이상가면 가라테 품내인 가타랑 아예 동작이 같습니다. 그래서 결론은요? 저세계에서 가장 많이 보급된 스포츠, 올림핌 정식종목, 올림픽 사용용어 5개 중 하나인 태권도 입니다. 택견과의 연관성은 그냥 발쓰기 좋아했던 한국인이라 태권도로 발전된 정도밖에 없을든 싶습니다. 택견은 송덕기옹이라는 분명한 조선인 계승자가 있습니다. 태권도 합기도 처럼 일본인 스승이 아니구요

    • @no246
      @no246 4 месяца назад +10

      태권도가 종합 무술인가요? 태권도는 그래플링과 로우킥, 안면 타격을 금지하고 심지어 주먹은 스트레이트 달랑 하나인데 그마저도 사용 빈도가 낮아서 문제입니다 그러므로 태권도를 종합 무술이라고 할 수는 없겠고 제한적인 입식 타격 무술이라고 말할 수 있겠는데요

    • @hjl5785
      @hjl5785 4 месяца назад +8

      태권도는 발차기 빼면 남는 것이 없습니다.
      가라테는 일본것이라기보다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은 오키나와의 것이고 그 후에 일본이 병합하고 일본에 퍼진 것 인 듯.

    • @no246
      @no246 4 месяца назад

      @@hjl5785 백학권 계열 입니다

    • @Wook-q7x
      @Wook-q7x 4 месяца назад +3

      세분 다 옳은 말씀

    • @yhansookim7850
      @yhansookim7850 4 месяца назад

      ​@@hjl5785섬나라 오끼나와,
      중국 남부무술 영향이라죠

  • @루나-r6s
    @루나-r6s 3 месяца назад +6

    고려인들이 오키나와에 수박이라는 무술을 전해줌 -> 나중에 일본인들이 오키나와가서 수박을 배움 -> 이름을 공수도라 함 -> 이 공수도가 태권도가 됨. 여기서 수(手)가 수박과 같은 이름임. 여기까지 판단은 각자의 몫. (일본은 세계대전 이전까지 오키나와를 일본으로 취급 안했음)

    • @borjc9
      @borjc9 Месяц назад +2

      제가 작년에 오키나와갔을때 봤는데
      중국무술 들여와서 본토에 전해졌다고 역사박물관에 한글로 써 있었어요.

    • @JA-pe6ce
      @JA-pe6ce Месяц назад

      @@borjc9그걸 믿냐

    • @황찐빵-y5r
      @황찐빵-y5r Месяц назад

      진짜인데 모릅니까?​@@JA-pe6ce

    • @Sasss-w4b
      @Sasss-w4b 25 дней назад

      진짜 국뽕은 정병이다

  • @휘센-u5s
    @휘센-u5s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5

    초기 태권도를 보급하신 분들이 가라테에서 파생된 건 맞다고 인터뷰한걸 본적이 있습니다. 품세을 보면 가라테와 유사하죠. 다만, 주먹보다 발쓰기를 잘했던 한민족의 특성을 살린 것과 태권도정신 또한 인의예지 한민족정신을 바탕으로 발전시킨 것이 태권도가 우리나라 무예가 된 거라봅니다.

    • @김연욱-k7t
      @김연욱-k7t 5 месяцев назад +6

      태권도의 기본은 발차기의 기술입니다 하지만 가라데는 손 기술을 기본 기술로 발전 시켰습니다 엄연히 손과 발은 틀리거늘 같은것이다 말하는 논리는 무었인가요?

    • @김연욱-k7t
      @김연욱-k7t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그냥 다 일본것인건가요?

    • @abrataltata7391
      @abrataltata7391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으이구​@@김연욱-k7t

    • @아리스토텔레토비-i1p
      @아리스토텔레토비-i1p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분얘기가 정확한데 태클거는 사람들은 멀까요? 가라데가 한국화되고 정치적으로 보급되면서 발기술을 발전시킨게 태권도죠

    • @우현수-q8n
      @우현수-q8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김연욱-k7t송도관 가라데

  • @sungminlee4606
    @sungminlee4606 4 месяца назад +41

    태권도로 이름 지을 때 우리의 무술을 태권도라고 하자고 한거임. 중국의 여러무술이 있지만 쿵푸라고 하는 것 처럼. 태권도를 정리하여 시작할 때 국내에 들어와있던 무술들과 택견 등을 모두 가져옴. 이후 자기만의 길은 걸오온거. 공수의 주먹과 택견의 발을 많이 참고함. 정리하여 고유의 무술로 삼고 태권도라고 하자 이렇게 합의했던 것.

    • @큰아들만수동
      @큰아들만수동 4 месяца назад +6

      비슷한 듯. 왜냐 태권도는 625 이 후 군대에서 요구로 정리된 무술이니까.
      특공 무술도 그렇고 군을 위한 무술임.
      그 과정에서 특히 품세는 가라테껄 그대로 가져왔고 참고한 여러 무술이 많았음. 현대적인 이종격투기의 초창기 모델이지. 그라운드가 없는 것도 전장 환경에서 백병전을 염두에 둔 설정이라는게 연구자들 사이의 견해임.
      왜 태권도를 전통무술로 포장하기 시작해서 이런 분란을 만드나 모르겠음.
      이제부터 전통을 만들어 가야하는데 발펜싱으로 만드는걸 보면 전통이 없어질꺼 같기도 함.

    • @웃자-8
      @웃자-8 4 месяца назад +1

      가장 깔끔하고 논란의 여지가 없는 설명

    • @화요일-h2c
      @화요일-h2c 4 месяца назад +6

      택견 참고도 구라임. 광복직후 전승자가 5명 남짓인데 누구에게 배웠는지 공식적으로 말하지 않음ㅋㅋㅋㅋㅋㅋ 그냥 전통무술이라고 불리고 싶어서 대충 말하는거임

    • @큰아들만수동
      @큰아들만수동 4 месяца назад

      @@화요일-h2c 그건 또 아님.
      택견은 왈패? 깡패들의 수단인 경우가 많았음. 놀이 문화이기도 했고.
      강점기 때 같이 유행하는 석전을 보고 일제가 경악해서 금지시키기도 함.
      그러나 어림없었고요. 조선시대도 석전을 금지시켰지만 옆동네랑 시비 붙으면 돌부터 들고 나서던게 우리 조상이었음.
      택견도 마찬가지. 그걸로 도박도 하고 택견을 이용해서 격투장을 만들기도 함.
      정상적인 전수가 그랬다는거지 다양한 형태의 택견은 이름도 여러가지로 전승됨. 까기나 잽이는 택견으로 보지 않았으나 비슷하다고 보는 경우가 많음.
      씨름이나 고싸움 등 전통놀이로 명맥을 이었다고 보는데 평양근처가 택견으로 유명했다고 함. 이름은 달랐는데 기억이 나질 않네 ㅡㅡ
      아무튼 지금의 택견을 전통무술로 체계화 시킨 계통의 계승자들이 그렇다는거고 택견자체는 전국적인 무술? 놀이? 도박
      ? 으로 볼 수 있음. 씨름이나 택견이나 둘 다 일대일 승부를 가리는 역할을 함.

    • @yeh374
      @yeh374 4 месяца назад

      ​@@화요일-h2c그 전승자들 모습보고 베꼈겠지

  • @웁스람
    @웁스람 4 месяца назад +23

    현재의 태권도가 아무리 일본의 영향을 받았다고 해도 우리나라 고유무술임에는 분명하지만, 문제는 우리의 전통무술이라고 할 수 있는 태견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로 일제 식민지 시절에 일본에서 유학했던 사람들에 의해, 가라테에 영향받고 발전된 태권도가 우리나라의 전통무술이라고 잘못 알려져 있다는 부분임.

    • @MrSinusu
      @MrSinusu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뭔 소리여? 앞과 뒤가 말이 달라.

    • @신중년의동네소식
      @신중년의동네소식 4 месяца назад +1

      현재 우리나라 태권도는 가라데(공수도)를 개량시킨 것. 80년대 출판된 가라데교범(당수도. 공수도)하고 태권도교범(당시에는 교범이라 덧붙임)이 동일했음. 90년대 조선일보에 가라데를 정식 수입한 이원국옹의 얘기가 한면을 장식했음

    • @신중년의동네소식
      @신중년의동네소식 4 месяца назад +1

      70~80년대 가라데와 태권도 도장이 공존했음

    • @vinniekim6899
      @vinniekim6899 4 месяца назад

      @@신중년의동네소식 80년대에 태권도장을 다닌 1인이자 짧게나마 학생선수생활을 했던 이로서 공수도장은 없었던것으로 기억함.
      가라데 도장이 다시 나타난 것은 k1이 우리나라에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2000년대 초반이었슴.

    • @이주-k3c
      @이주-k3c 4 месяца назад +1

      @@vinniekim6899 정확하겐 최영의가 만든 극진가라테 아닌가요? 송도관 등 전통 가라테 도장은 지금도 극진보다 수가 적던데.

  • @sangsaeng1204
    @sangsaeng1204 4 месяца назад +41

    이미 80년대에 초대 국기원장이 가라테에서 온것임을 증언했고 인터넷 검색하면 바로 뜨는데... 이게 아직도 새삼 논란인게 더 놀랍다.

    • @큰아들만수동
      @큰아들만수동 4 месяца назад +11

      그건 또 사실은 아니지. 태권도는 가라테를 연마한 사람들이 의뢰를 받아 만들어진 무술인거지.
      가라테면 그냥 가라테지 뭐 태권도겠어.
      이소룡이 절권도를 만들었지만 그게 쿵푸라고 하는거랑 똑같은 말을 하는구만.
      그리고 가라테는 하나의 무술을 말하는게 아니야. 종류가 정말 많지. 극진을 말하는 거면 태권도와는 차이점이 너무 크고.
      태권도는 한명이 창안한게 아니라는 것도 사실이잖아?
      국기원에서 너무 감추니까 진짜 역사가 개판 나는구만.
      가라테가 어디 태권도 같은 스텝이 있냐 스텝에 이은 발차기도 없잖아. 완전히 방향성이 다르잖아.
      태권도가 가라테에 영향을 진하게 받은건 품세야. 그게 가장 진하게 영향을 받은거야. 왜냐 품세니 기본자세니 이런건 금방 만들어 낼 수 없는 거니까.
      태권도는 가라테 수련자들이 여러 무술을 모아 만들었다고 봐야지. 당장 무덕관 영상만 봐도 가라테라고 할 수 있나?
      국기원장이 가라테에서 온걸 증언했다고? 어디 자료가 있나? 자료 출처 표기해 주면 보고 정정하겠음.

    • @jotto588
      @jotto588 4 месяца назад +3

      가라테는 어디서 왔게...? 모르겠지...

    • @ReTeslaTsl3
      @ReTeslaTsl3 4 месяца назад +3

      일본은 원주민도 있지만 반은 삼국시대 후손들임. 그러면 일본은 한국인임?

    • @sjeoendiowksbsjsel
      @sjeoendiowksbsjsel 4 месяца назад

      일제시대에 가라데 수련하던 일본 유학생들이 해방후에도 계속 수련함. 이때까진 태권도라 하지 않았는데
      일본 유학생이던 최홍희 사단장이 가라데를 군대에 도입했고 그걸 이승만에게 시범 보이면서 태권도란 이름을 최초로 썼음. 그후 태권도라고 불리며 군대와 민간에서 수련하다가 최홍희가 박정희와의 불화로 캐나다 망명, 거기서 태권도를 세계 각국에 보급했는데 그것이 북한 태권도로 잘못 알려진 ITF 태권도.
      남한에 남아있던 태권도는 김운용이 자기 입맛대로 뜯어고치고 IOC에 로비해서 지금의 올림픽 종목인 WTF 태권도가 된 것.

    • @sjeoendiowksbsjsel
      @sjeoendiowksbsjsel 4 месяца назад

      일제시대에 가라데 수련하던 일본 유학생들이 해방후에도 계속 수련함. 이때까진 태권도라 하지 않았는데
      일본 유학생이던 최홍희 사단장이 가라데를 군대에 도입했고 그걸 이승만에게 시범 보이면서 태권도란 이름을 최초로 썼음. 그후 태권도라고 불리며 군대와 민간에서 수련하다가 최홍희가 박정희와의 불화로 캐나다 망명, 거기서 태권도를 세계 각국에 보급했는데 그것이 북한 태권도로 잘못 알려진 ITF 태권도.
      남한에 남아있던 태권도는 김운용이 자기 입맛대로 뜯어고치고 IOC에 로비해서 지금의 올림픽 종목인 WTF 태권도가 된 것.

  • @fireball7613
    @fireball7613 4 месяца назад +18

    그거 이상하지.
    택견은 태권도가 자기 자식이 아니라는데
    태권도는 택견이 자기 아빠라고 우겨.

    • @펜펜-p1u
      @펜펜-p1u 4 месяца назад +2

      택견이 전통무술 맞음 ... 태권도장 보다 택견도장도 많이 보급되었으면 좋겠네요

    • @fireball7613
      @fireball7613 4 месяца назад +1

      @@펜펜-p1u
      택견은 현재가 가장 좋을듯 합니다.
      상업적 도장보다 대학 동아리패 위주로
      전승되는 것.
      어차피 도장 사범을 해도 아르바이트성
      월급에 밥벌이 못 하는건 매일반이니.

    • @byebyebye1937
      @byebyebye1937 4 месяца назад

      택견이든 태권도든 가라데든 누구 한테 배우다가 나왔겄지...지 혼자 뿅하고 나오나..좋은건 배우고 쓸데없는건 버리고 하면서 발전하는 거지..뿌리가 뭐가 중요하나....태권도 자체가 뿌리고,,,택견이 뿌리고,,가라데가 뿌리지..태권도하다가 가라데하고 싶으면 가면 되는거고...

    • @sungjoohan1316
      @sungjoohan1316 4 месяца назад +2

      가라데에서 나왔다고 하기엔 자존심 상하니까, 만만한게 택견이지 ㅋㅋㅋ 딱히 한국 무술하면 생각나는게 그거말고 뭐 있음?

    • @fireball7613
      @fireball7613 4 месяца назад

      @@sungjoohan1316
      택견은 순 우리말로 한자표기가 없습니다.
      태권도는 跆拳道라는 한자표기가 있지요.
      권(拳)은 주먹이니 대강 맞아요.
      근데 태(跆)는 밟는다는 뜻으로 발차기와
      아무 상관 없는 겁니다.
      이승만이가 최홍희 장군 휘하 부대의
      가라데 시범을 보고 태껸이라고 하는 순간
      태짜는 무조건 들어가야 했죠. 껸짜는 대충
      주먹 권(拳)으로 퉁칠 수가 있는데 문제는
      태짜였습니다.
      최홍희는 밤 새도록 옥편을 뒤져 태짜가
      들어가는 한자를 고르고 골랐는데
      발 족(足)짜가 들어가는 한자가 밟을 태(跆)였습니다.
      최홍희도 태권도가 이렇게 세계화 될줄
      알았더라면 이런 엉터리 이름을 짓지는
      않았을 거예요.
      하지만이젠 상관 없습니다.
      태권도는 태권도, Taekwondo 로만 알면 됐지 跆拳道 로 기억하는 사람 아무도 없거든요.

  • @lampu7787
    @lampu7787 4 месяца назад +6

    원류가 무엇이든 간에 태권도는 우리의 것이 맞습니다. 가라테는 중국 남권의 영향을 받았지만 중국의 것이 아니듯이요. 기술을 체계화하고 정형화를 우리가 시켰으니 우리의 것이 맞습니다.

  • @펜펜-p1u
    @펜펜-p1u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5

    가라테에서 파생된거 맞아요. 일제시대때 가라테 무술인들이. 해방되고 우리에 무술을 만들자고 의기투합해서. 발전시킨게 태권도 입니다. 사실맞습니다

    • @영차영차-v9o
      @영차영차-v9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

      가라테에서 파생됫다는게 잘못된게 아닌데도 우리나라 사람들에 인식은 사실 피해의식이라고 생각해요. 괜한 존심 부리는거같음 어디서 파생된게 중요한게 아니라 지금의 태권도가 크게 성장한거에 대해 대견해야지.... 왜 다들 인정을 안할려는지..

    • @hjl5785
      @hjl5785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일본에서 배워왔다고 한들 그것이 얼마나 남아 있습니까?
      대부분 한국식 발차기로 채워진 것이 태권도 입니다.
      택견에서 순간적인 폭발력을 이용하는 (중국식 촌극과 같은 개념)형태로 변형된 것으로 보는 것이 맞을 듯.
      일본에서 배워왔다고 하지만 사실확인도 안되고, 당시 택견과 차별화를 위해 그런 말을 했을 수도 있음. 일반인이 보기에도 택견과 별반 다를 것이 없음. 동작이 약간 딱딱해진 정도일 뿐.
      물런 택견 사범들이 한 것이 아니니 택견 사범들은 자기 것이 아니라고 할 수는 있지요.

    • @drpressed69
      @drpressed69 4 месяца назад +2

      @@hjl5785 택견 수련하시는분들이 태권도가 택견에 발 얹는거 굉장히 싫어함.

    • @5632asd
      @5632asd 4 месяца назад

      가라테는 류큐왕국 무술이었고 류큐 당수도는 당나라 영향받았고 중국무술은 인도에서 영향받았고 이제 어디로 가야하냐?

    • @drpressed69
      @drpressed69 4 месяца назад

      @@5632asd 4대문명 발상지 정도면 거기서 더 안찾아도 될든

  • @강민우-t8p
    @강민우-t8p 4 месяца назад +20

    옛날 쇼토칸 가라테 영상보면 모든 동작이 택권도랑 똑같음. 근데 발차기는 굉장히 엉성함. 그말인즉 태권도에서 발차기는 자체적으로 발전했고 그것이 가라테로 역수출됨.

  • @user-Korean-Samurai
    @user-Korean-Samura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76

    이소룡은 우리에게 말합니다.
    솔직한게 세계인의 근본이다라고...

    • @이슬밤
      @이슬밤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Korean-Samurai 그사람이야 말로 이것저것 짬봉해서 중국무술로 포장해서 쿵푸에 환상을 심어준 원조인데 솔직은 너무간거임

    • @MAX--ok2xg
      @MAX--ok2xg 2 месяца назад +2

      태권도 발차기 배워간 짬뽕 이소룡 그 발차기로 절권도 만듬

  • @이슈반응채널
    @이슈반응채널 4 месяца назад

    태권도나 가라데 모두 비슷한 시기에 나왔지만 우선 가라데가 오키나와 무술을 참조하여 만들고 후에 가라데를 보고 태권도 만들어진건 맞아요. 한국과 일본은 일제시대에 합병되어 있어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았을 겁니다. 일제시대에 한국인들 가라데를 많이 배웠어요. 그분들이 다시 태권도 만들었습니다.

  • @아빠는masterLee
    @아빠는masterLee 4 месяца назад

    태권도, 가라테 , 택견,소림무술이든 그 근원은 요가입니다. 고로 다 맞습니다. 😊😊🎉🎉

  • @chiro2560
    @chiro256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다 필요없고
    전세계인들이 태권도를 한국이 종주국이라 하고 회원수도 엄청나니
    가라데니 택견이니 뭐가 뭐를 베꼈네 하는 논쟁이 의미가 있겠어?
    특히나 가라데가 일본 고유 무술이라는 사람들은 입 닫아라.

  • @하이퐁난민
    @하이퐁난민 4 месяца назад

    태권도, 택견, 가라데 다 우리나라 껍니다.😊😂😂😂😂

  • @양아찌
    @양아찌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5

    택견과 태권도는 다른거 태권도는 가라테 에서 파생 이거 이미 오래전에 결론난건데 왜 논란을....ㅡ.ㅡ 비슷한 예로 예전에 합기도라는게 있었지 뭐 지금도 있긴한데 그거 처음 배웠던 사람들은 한국전통 무예다라고 가르 쳤는데...알고보니 유도 태권도 가라테 등등 온갖거 섞어서 만든거라고 판명남 그래서 거의 모든 합기도장이 특공무술이라는 이름으로 바꿨다는 슬픈 전설이

    • @abrataltata7391
      @abrataltata7391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뭔소리여. 합기도가 짬뽕인 거는 맞다만 뭔 간판을 특공으로 바꿔 ㅋㅋ

    • @바나나푸딩-h5o
      @바나나푸딩-h5o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우리나라 합기도 유도 잡탕이었어??? 난 일본 아이키도에 잡탕한걸로 알고있었네?

    • @이주-k3c
      @이주-k3c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바나나푸딩-h5o 아이키도 창시자의 스승이 만든 대동류합기유술이 최용술의 초대 합기도 기본 베이스고(즉, 배다른 형제), 여기서 유파들이 나뉘면서 발차기, 무기술 등 추가로 짬뽕되면서 개량무술이 됨. 유도는 나도 첨 들어보네. 걍 잡탕 되었다는 말로 글쓴이가 한듯. 결국 현대 한국에 많은 주요 무술도장들 죄다 노근본 잡탕ㅋㅋ차라리 전통성 따질거면 택견 배우고, 실전무술할거면 복싱이나 종합격투기 배우는게 짱짱임.

    • @완즈남
      @완즈남 4 месяца назад

      재대로 알고 계​신분...@@바나나푸딩-h5o

    • @sungjoohan1316
      @sungjoohan1316 4 месяца назад

      합기도가 가라테 태권도 유도등 짬뽕이던 실전성이 강하다면 좋은 발전일수도 있다, 요즘 인기인 UFC, 프라이드같은 게 다 그런 경우니까, 그런데 그걸 오래전부터 내려온 한국의 전통무술이다 이런건 사기지...

  • @모프-r5c
    @모프-r5c 4 месяца назад

    인도에서 넘어온 공수도가 중국을 거쳐서 오키나와로 간것이 가라데 입니다. 태권도를 만들 때 공수도 즉 가라데를 많이 참고 한 것도 맞습니다.
    태권도 초창기 모습은 많은 무술을 참고하여 실전성이 높았고 그래서 미국에서 다른 무술을 이기고 정착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태권도를 만드신 분들도 가라데를 배우기 전에 다른 무술을 익혔다고 했으니 발차기에 태껸의 모습이 참고했을 가능성은 있습니다.

  • @치킨매니아-y3t
    @치킨매니아-y3t 4 месяца назад +30

    지금은 토론이라도 되네요 20년전에 이런얘기 하면 ㅄ 취급당했는데요 ㅋㅋㅋ 태권도 9대관 1기 총관장님들 모두 가라데 출신입니다^^

    • @이주-k3c
      @이주-k3c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다는 아님. 중국 무술쪽 사범도 있긴 했음. 다만 통합과정에서 주류화되진 못함.

    • @sungjoohan1316
      @sungjoohan1316 4 месяца назад

      10~20년전엔 태권도뿐 아니라 태권브이나 한국의 수많은 만화, 게임, 과자등이 일본거 배낀거라 말하면 욕먹고 친일에 이상한 사람 취급 받았죠 ㅋㅋㅋ 요즘은 민비나 고종이 븅신인거 알만한 사람 다 알지만 그때는 그렇게 말함 또라이라 했고

    • @sungjoohan1316
      @sungjoohan1316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이주-k3c 중간에 중국무술 사범이 있던 말던, 태권도 초기형은 가라데와 100% 가깝게 일치했죠, 그냥 가라테 그 자체였음

    • @재원김-y7d
      @재원김-y7d 3 месяца назад +1

      팩트 감사합니다

    • @재원김-y7d
      @재원김-y7d 3 месяца назад

      유도 검도 태권도 모두 일본이 원류엿구만

  • @밝은하늘-u1d
    @밝은하늘-u1d 3 месяца назад

    기존의 무술을 통합한후 해방후 한국사람이 태권도라 명명하고 발전시켰다 그러니 태권도가 명백하게 대한민국의 무술이다

  • @newyorkking6206
    @newyorkking6206 4 месяца назад +4

    군 장성이었던 최홍희는 민간도장과는 연이 없었으나, 청도관 출신 인사들이 많던 군대내 도장 오도관을 창립하고 초대관장이 된다. 그는 어려서 택견을 배웠다는 말도 있고[3], 일본 중앙대학을 다니면서 가라테를 배운 뒤, 군에서 복무하며 군대격투기로 가라테를 지도하였다. 1954년 그의 부대를 시찰한 이승만이 일종의 변형 가라테 시범을 관람한 후 택견으로 착각하였다는 일화가 있다. 최홍희는 택견과 비슷한 단어를 찾다 태권에 도를 합하여 태권도라는 명칭을 창안했다. 1953년 제29보병사단장이 된 그는 부대명을 태권도부대라 명명하고 경례구호도 태권이라 한다.

    • @vinniekim6899
      @vinniekim6899 4 месяца назад +1

      29사단은 우리육군 단대호에 존재하지 않았으며, 현재도 없고, 말씀하신 부대는 27사단임.

  • @lees5210
    @lees5210 4 месяца назад +11

    국기원 가면 50~60년대 태권도 영상 기록 있는데 그거 보면 지금 태권도랑은 완전 다름 그냥 타격기 뿐 아니라 유도식 던지기등도 있음...태권도를 처음 만들때 참여하신 분들은 당연하게 다른 무예들을 이미 익히신 분들(우리전통무예 부터 중국 일본의 무예까지) 그런 기존의 무예들이 잘 융합되어 독창적으로 탄생한게 태권도...

  • @달탄양
    @달탄양 4 месяца назад

    체계적으로 정리 되어있는 가라데를 보고
    가라데가 정리되어 있는 방식을 참고해서
    택견과 수박을 모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 태권도라고 알고 있습니다.
    가라데와 태권도의 돌려차기나 정권 찌르기 같은 기본기를 보면 둘은 몸을 사용하는 방법이 다릅니다.
    펀치와 킥에 체중을 싣는 방법이 전혀 달라요.
    가라데에서 파생되어 나왔다기보다는
    영향을 받았다는 정도가 적절할 듯 합니다.

  • @kamma-c8s
    @kamma-c8s 4 месяца назад +59

    역사에 솔직해 집시다. 태권도는 유신시절에 수박 택견 한국무예와 가라데를 실전성있게 편집해서 군대 보급용으로 만들었지 전통무예는 아니지요

    • @sunnyjeong3756
      @sunnyjeong3756 4 месяца назад

      니같은 애들이 뉴라이트과야 자식아.

    • @flower0078able
      @flower0078able 4 месяца назад

      솔직하지 못한 친중민주세력ㅋㅋ 10%의 이성과90%감성의 나라

    • @melvinmanhoef4
      @melvinmanhoef4 4 месяца назад +13

      뭔 ㄱㅅㄹ신지요.
      그럼 북한에서 태권도를
      유신시절 한국에서 배워갔겠어요?

    • @user-jo4zh6qj2c
      @user-jo4zh6qj2c 4 месяца назад

      ​@@melvinmanhoef4최홍희 장군이 박정희와 불화로 한국을 떠나고 북한에 전수하고 죽었습니다

    • @user-jo4zh6qj2c
      @user-jo4zh6qj2c 4 месяца назад

      ​@@melvinmanhoef4좀 남을 욕할려면 적어도 검색정도는 해보세요

  • @무과금러-b2q
    @무과금러-b2q 4 месяца назад

    기억에 일본의 가라데에서 파생 된거라고 할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다고 들었는데 가라데의 현대 스포츠 (당시)의 장점을 다 접목 했다고 함 발 기술은 창제자가 만든거 맞으니 우리나라 전통격투기 맞음 택견에서 왔다 이건 아니라고 했음 영향은 있었을 수 있지만

  • @mulmalu
    @mulmalu 4 месяца назад +3

    모든문화는 주변여러환경과 형태의 영향을 받으면서 형성되는것이기 때문에 가까운 주변국들이 서로 영향을 받는것이지 일방적으로 받는것이 아니므로 왈가왈부할것없음

  • @moosoyou
    @moosoyou 4 месяца назад +5

    60대 이상은 잘 알고 있음. 1960년대까지는 서울에 당수(공수) 도장들만 있었고, 정부 지시를 받은 당수 고수들이 모여서 태권도를 만들었다는 거..

    • @펜펜-p1u
      @펜펜-p1u 4 месяца назад

      당수도 보다 공수도 장 이라고 많았죠 .. ㅋㅋ 그러다가 1970년대가 되면서 태권도 란게 알려지기 많이 알려지기 시작했음 ..

    • @이주-k3c
      @이주-k3c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청도관, 오도관에서 쓴 태권도장이란 명칭은 이미 1950년대부터 있었고, 그 외 권법, 당수, 공수 이런 여러 명칭의 짬뽕 무술도장들이 난립했는데 그걸 태권도협회 만들면서 태권도란 명칭으로 합친거지.

    • @detailSekMa
      @detailSekMa 4 месяца назад +2

      무슨 개소리냐. 아주 간단한 반박자료로써 북한의 태권도가 그 증거다. 태권도는 한국전쟁 이전에 보급되었기 때문이거든.

    • @sungjoohan1316
      @sungjoohan1316 4 месяца назад

      @@detailSekMa 그 북한식 태권도가 한국에서 배워간겁니다, 그 태권도는 일제시대 일본 가라테스승밑에서 배우던 조선인 사범들이 해방이후 이름만 바꾼거고요, 최영희의 극진가라데도 당시 한국에 소개할땐 태권도라고 소개되었습니다, 고대부터 한국에 내려오는 무술이 아니에요, 현대무술이지, 그럼 태권도가 갑자기 왜 근대에 생겼을까요?

    • @sungjoohan1316
      @sungjoohan1316 4 месяца назад

      @@detailSekMa 해방이후 초창기 태권도(1945~1960년대)를 보면 가라테와 그냥 품세, 동작, 기술, 승급제도등이 99%일치합니다 그냥 가라테를 포장지만 태권도라는 이름으로 바꾼거에요, 일제시대 수십년을 거쳤는데 일본문화 영향 안 받을수가 없죠, 좋은건 배우면 되는 겁니다 그게 일본거던 중국이던 미국이던....분명 한국의 고대전통무술도 있었을겁니다 중간에 명맥이 끊져져서 그렇지, 아마 조선사회게 무를 하대하고 문을 숭상하는 문화라 격투기술이나 전쟁무기등이 많이 퇴화하고 사라졌을겁니다, 그러는 동안 일본은 전쟁이 잦고 상업이나 기술을 중시하니 그 분야가 발전한거고 그래서 조선이 세계적인 시대에 뒤떨어져 일본식민지로 전락한거죠, 고려시대 초기까지만 해도 한국이 일본에 비해 문명이 결코 뒤떨어지지 않았습니다

  • @정철승-m3b
    @정철승-m3b 4 месяца назад

    심신 수련하는데 다 좋다고 봅니다.
    건강한 몸과 정신을 단련하는데 아주좋죠.
    비교할 필요까지 없다고 봅니다.

  • @CrowBlack-ke2vn
    @CrowBlack-ke2vn 4 месяца назад +13

    일제시대에 당수 하던 사람들이 해방되니 간판을 태권도로 바꾼겁니다.. 태권도는 가라데입니다. 아는 사람은 다 알아요. 더 발전시켰으니 그게 창피한 것도 아니고..말도 안되는 소리 하지 마세요

    • @User-bonjour2000
      @User-bonjour2000 4 месяца назад

      태권도가 가라데라는 말은 말이 성립이 안됨...
      발차기와 일부 주먹기술들은 택견에서 따왔음.. 택견과 가라데의 장점만 모아서
      군대 유술로 만들어진거임

    • @namedmaster1842
      @namedmaster1842 Месяц назад

      @@User-bonjour2000 택견은 누가 그러디? 택견 하는 사람이? 태권도 만든 사람이 뭐라고 했는지나 찾아보고 말해라.

  • @수연조-f9p
    @수연조-f9p 4 месяца назад

    택견은 조상님들의 선율에 내려 오면서 절도 있는 품새 발차기가 태권도로 변화된 저는 그렇게 생각이 문득 드네요ㅋ

  • @drk9788
    @drk9788 4 месяца назад +4

    ( 한지 제조 과정,.. 여덟 단계 나눌 수 있어.... )
    한지는 "닥나무를 베고, 찌고, 삶고, 말리고, 벗기고, 삶고, 두들기고, 고르게 섞고, 뜨고…." 아흔아홉 번 손질을 거친 후 마지막 사람이 백 번째로 만진다 하여 옛날에는 닥종이를 백지(百紙)라 했다. 한지의 제조 과정은 크게 채취(원료 만들기) → 삶기 → 헹굼(씻기)과 일광표백 → 티 고르기와 두들기기(고해) → 저어주기(해리)와 종이 뜨기(浮紙) → 물빼기(탈수) → 말리기(건조) → 다듬이질(도침) 및 물들이기(염색)의 여덟 단계로 나눌 수 있다.
    1)닥나무 채취(원료만들기)
    (주원료 만들기) 는....
    거두기, 찌기(닥무지), 껍질 벗기기 (흑피->백피), 담그기의..... 과정을 거친다.
    (닥나무)는 (한로)를 전후한 (11월에서 2월 사이)에... (1년생... 햇닥을 채취)한다.
    (햇닥을 사용하는 이유)는..... 섬유가 여리고 부드러워..... (양질의 한지)를 만들 수 있다.
    (한지 제작의 주원료)인... (닥/닥나무)은.... (종이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참닥(조선닥)이.... 가장 좋다고 한다.
    전주,가평, 제천, 청송, 예천, 완산, 순창, 남원, 함양, 합천, 의령, 괴산, 원주..... 등에서....
    생산되는.... 닥품질이 유명하다.
    2)닥나무 찌기와 흑피 만들기
    표면이 넓고 고른... (흑피)를 선정하여... 일정한 길이로... 잘라서...
    장시간... 물속에 넣고 불린 후.... (흑피)의.... (겉껍질 부분을 제거)하여... (백피)를 만든다.
    (백피)를... 물속에 충분히 불린 후... 삶는데,
    이 과정에서... 콩대, 메밀대, 짚 등을 태워.... 우려낸.... 잿물을 넣고... 5~6시간동안 삶는다.
    3)헹굼(씻기)과 일광표백
    종이의 색을 하얗게 하고 당분, 회분, 기름 등을 없애기 위해
    삶은 백피를 맑은 물에 담가두면서 1주일 정도 일광표백을 한다.
    이때 햇볕이 골고루 쬐일 수 있도록 자주 뒤집어주는 것이 좋다.
    4)티 고르기와 두드리기(고해)
    백피속에 남아 있는 표피,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티고르기 작업을 마치고
    물을 짜낸 후... 넓은 돌판(닥돌)위에 올려놓고.... 나무방망이 (닥방망이)로 두들겨... 닥 섬유가... 물에 잘 풀어질 때까지... 두들겨 준다.
    5)저어주기(해리)와 종이뜨기(초지)
    (황촉규리)라는... (식물의 뿌리)를... 물에 넣고... 으깨어 나온... (점액)을... (닥풀)이라고 한다.
    (닥풀)과 (닥섬유)를.... (일정한 비율)로 넣고... 막대로 잘 섞어준 다음... (섬유를... 발로 건져내는 것)을.... (수초)하고 한다.
    (수초법)에는....
    전통기법인.... 외발뜨기(흘림뜨기)와
    개량기법인.... 쌍발뜨기,양발뜨기(가둠뜨기)가 있다.
    사람의 앞쪽에서.... 물을 떠서... 꼬리부분으로 흘려주고
    다시, 오른쪽에서.... 물을 떠서.... 왼쪽으로....
    다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흘려주면서... 물질을 하는데....
    (섬유)가.... (우물정자 형태)를 이루게 되어.... (질기고 견고한 종이)를 만들 수 있다고 한다.
    (물질의 횟수)는..... (만드는 한지 두께에... 따라 조절)한다.
    6)물 빼기(탈수)
    (발)로... (건진 종이)를.... (바탕)이라 하는데...
    (바탕)을... 차례로 쌓아 올린 후... 그 위에 널빤지를 얹고... 무거운 돌을 올려놓아... 물이 천천히 빠지도록 한 다음...
    (압축기)로... 완전히 물을 빼준다.
    7)말리기(건조)
    물을 뺀 종이를... 한 장씩 떼어 말리는데....
    전통적인 건조법은.... 습지를 온돌방 방바닥이나 벽에 붙여서 말리거나 나무판에 붙여 일광건조를 시켰다.
    현재는.... 철판에 열을 가해... 건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인공건조는.... 빨리 건조되긴 하지만... 목편건조에 비해 신축률이 떨어지고... 수분함량이 낮아... 종이가 딱딱해진다고 한다.
    8)다듬이질(도침) 및 물들이기(염색)
    건조된 한지는... 그대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도침)이나 (염색)과 같은.... (가공과정)을 거쳐서... 사용된다.
    (도침)은.... (장섬유)를 자르지 않고.... 그대로 쓰는... 한지의 특성상.... 지나치게 흡수성이 크고... 번짐이 불규칙하며.... 보푸라기가 이는...
    단점을... 보완하는 과정으로,.....
    면을 고르게 하며...... 섬유간의 구멍을 메워...... 인쇄할 때.... 번짐을 없애고.... 광택도가 높은 종이를.... 만드는 방법이다.

    • @난세상
      @난세상 4 месяца назад

      이거 끝까지 읽느라 논문 보는줄

  • @docuyy
    @docuyy 3 месяца назад +1

    태권도는 50~60년대에는 당수라 불렀고 가라데에서 온 것이 맞다~~ 김용운 전IOC의원이 태권도를 올림픽 종목으로 넣어 현재 세계적 위상을 높인 것이다~~

  • @호타너스
    @호타너스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이승만이 가라데 시범을 본 후 우리나라 군대에도 비슷한 무술을 창제하라 지시했고 이에 최홍희 장군이 가라데 체계에 그 당시 여러 무술을 짬뽕해서 만든 게 태권도. 이름도 1955년에 군대에서 지음. 이승만 승인

  • @김기중-r7w
    @김기중-r7w 4 месяца назад +4

    일제시대때 청년들이 ymca에서 가라데를 수련하다 대련 위주로 수련하다보니 리치가 길고 강력한 위력을 가진 발차기 위주로 발전한게 태권도가 된거임

  • @원주보스
    @원주보스 4 месяца назад

    그럼 택견과 태권도를 함께 붙여봅시다 이기는게 우리편!!!!!

  • @sincen1999
    @sincen1999 4 месяца назад +5

    태권도는 수박+택견에서 유래됨
    가라데는 체조수준이였던거 한국인이 태권도 참고해서 극진가라데로 새롭게 만들어 이제사 쓸만하게 만들었으니
    현대 가라데는 한국인이 창조한거나 마찬가지

  • @goblingremlin9109
    @goblingremlin9109 4 месяца назад +5

    준리(이준구) 선생님이 제대로 발언하고 태권도의 역사를 솔직하게 잘 가르켰는데도........ 또한 배달 최영의 선생님도 준리선생님과 같은 발언을 하였었다.
    그랬는데도 역사왜곡에 혈안이 되어 있는 태권도인들.... 참 한심하다.
    태권도가 택견에서 왔다고 역사왜곡하다가 택견협회사람들에게 개쪽 났던 태권도인들.....
    그랬어도 그 뻔번한 철판 태권도인의 위선적 얼굴....
    여전히 태권도 역사를 열심히 왜곡하려는 비겁자들~!

  • @2분과학3분과학
    @2분과학3분과학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수박에서 태권도가 나왔음 대신 수박은 살상용이라 태권도에서는 손을 봉인함 수박과 택견은 양대산맥인데 수박은 전승이 끊겼음...

    • @chowold-j1d
      @chowold-j1d 4 месяца назад +1

      거짓부렁쟁이 실전된 수박에서 무슨수로 태권도가 나옴? 신선이 꿈에 현신해서 수박을 전수해줬나???
      반면 택견은 불살의 의미가 강한 무술이라 승가전승으로 남아있던거고~~~

    • @스라소니-l6m
      @스라소니-l6m 4 месяца назад +1

      태권도 하는 애들이 거짓부렁 하는게 태권도가 수박에서 나왔다고 하는거 ㅋㅋㅋ 애당초 태권도 만든 애들이 가라데 하던 한국인들임 그중 수박도 했던 사람도 있었던건 맞음 정확하게 하자면 태권도는 가라데하던 한국인들이 새로만든 무도인것임

  • @아무르타트저시키알바
    @아무르타트저시키알바 4 месяца назад +3

    류큐 1500년 초반에 왕국형성
    일본의 명치유신때 사쯔마번에의해
    완전히 병합 오키나와주로 명명
    건축양식과 언어체계가 일본과 상이
    건축양식은 고려양식과 동일
    류큐국(한자로는 유구 오래전승되었다는뜻)
    은 해상 무역국으로써 탐라 당 고려 조선 왜와 빈번한 교류 하며 번성함
    임진왜란 직전 사쯔마번에 복속되나
    왕권과 자치권 유지됨
    1920년초반 오키나와에서 유입된
    맨손무술이 원형 그대로 가라데로 바뀜
    1940년대 일본에서 전파된 가라데를 기반으로 가라데와 태권도가 독립적으로
    발전함 가라데는 일본무술이 분명하나
    그 기원은 일본 본토가 아님
    류큐국의 건축양식이나 문화로 보아
    지배세력이 한반도 이주인인것이 확실해보임 그러나 당 송 고려 조선 왜등의
    영향이 분명히 있는것이므로 그 기원을
    한국가로 특정하기 어려움
    확실한 것은 명치유신 이전에 가라데 태권도와 같은 형식의 맨손무술은
    일본에 존재하지 않음
    그러나 태권도의 창시자들 일본의 쇼토칸(송도관)에서 수련한것이 확실함

  • @북성동후까시
    @북성동후까시 4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나라 고대 무술중 고구려의 수박희 ’手搏戲‘라고 고구려 무술의 원류가 있음 이또한 중국에서 유래 했는데 고구려 고분 벽화에 그 자료가 남아 있음! 문제는 이 모습이 오늘날 가라테와 매우 유사하며 지금도 중아아시아에서는 고구려 시절 유래된 우리나라명칭으로 가리 또는 가우리 라고 함! 가라테의 가라는 이 가리 에서 유래 되었다는 설도 있음!

  • @태양위의별
    @태양위의별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요즘 태권도는 기계체조 선수들이 하는 무술이다
    실전보다 보여주는 격파술
    격파술로 보여주는 무술로써 ufc, k1,선수들하고 겨루어보면 실전인지 알수있음

    • @앵두호두-o2i
      @앵두호두-o2i 2 месяца назад

      태권도 배운 UFC 선수들도 인정 했는데 그쪽이 잘 모르시네요

  • @baessamtv8722
    @baessamtv8722 4 месяца назад

    그리고 기술은 최신기술이 제일 좋습니다. 아이폰 3보단 아이폰 16이 좋은 것처럼요 따라서 모든 무술의 실전적인 것을 합친 MMA가 가장 발전된 무술이지요(시합에선) 그렇듯 태권도도 가라데보다 더 발전된 기술로 이뤄져있으니 가라데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것은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좋은 기술이 있다면 빨리 수용하는게 무술로서 올바른 자세일 것입니다. ps 가라데 처자 폼이 멋지네요

  • @biy4692
    @biy4692 5 месяцев назад +9

    무술도 예술처럼 국적 상관없이 강물처럼 이리 저리 흐르는 것이다. 가라데에서 파생된거라고 인정하는 것은
    기분 나쁜일이 아니다.

  • @Joo-ry1gt
    @Joo-ry1gt 2 месяца назад

    창시자가 가라테를 익혔던 사람이고 만들때 가라테뿐 아니라 여러 무술인들을 모아 만들었다고 들었는데... 그래서 ITF에 해당하는 초기 태권도는 관절기도 일부 있고 위험한 기술도 많았다고 하던데...

  • @changheekang7543
    @changheekang7543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일단 가라데는 중국 당수도에서 태권도는 가라데카타에서 우리나라품세로 발차기는 자체 독보적 태껸과 태권도는 완전 다름 역사와 기술등 태껸은 품세가 멊음

  • @진짜골드맨
    @진짜골드맨 4 месяца назад +6

    택견은 샅빠없는 씨름이라고 합니다.
    원택견은 씨름과 유사한 기술이 많다고 합니다.
    한 40년정도 되었는데 택견을 나름데로 연구분이
    앞으로 택견의 오염을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세월이 흐르고 어느순간 있지도 않은 품새와
    단증이 생기더군요. 또 태권도같은 기술이 도입되기도
    하고, 민속놀이인 택견이 무술로 바뀌었습니다.
    마치 씨름이 종합격투기 처럼 바뀐거죠.
    민속은 그대로 보존 하는게 좋습니다.

    • @cestlavie8441
      @cestlavie8441 4 месяца назад

      도태되는것은 변형되거나 없어지는게 맞습니다

    • @yeh374
      @yeh374 4 месяца назад

      무술의 원류는 몽골의 씨름이다?

  • @juni2242
    @juni2242 3 месяца назад

    난 택견이야말로 극 실전무술이라고 본다 링 안에서 싸우는 무술이 아니라 순수하게 실전용 무술이라고 생각함 동작을 예측할 수가 없는 무술임 파괴력이야 말할 필요도 없고

  • @SM-bw9vh
    @SM-bw9vh 4 месяца назад +6

    수박도에서 나온 품세와 자세. 그리고 택견에서 받아온 발차기. 수박도 택견 둘다 전쟁에서 실제 사용했던 무술이며 숲속같은 좁은 공간에서 수박도, 활이나 무기를 들고 있을때 육박전으로 사용되던 택견. 그래서 태권도는 양손에 무기를 들고 있어도 상대를 제압할 수 있는 무술. 무기를 들고 싸워도 제 힘을 발휘하는 무술은 무에타이와 태권도밖에 없음. 실전에서 가져온 무술이며 가라테에서 영감을 얻을 수 있었던건 아마 손동작이었을 것임. 그건 쿵푸를 비롯한 많은 무술역시 영감을 주긴 마찬가지.

    • @cory-gd3nc
      @cory-gd3nc 4 месяца назад

      태권도 창시자가 가라데에서 따웟다고 인정 하는데,,아니라고 하면,,답이 없지
      태권도 가라데 품새를 봐바,,,다르다는 말이 나올련지

    • @sungjoohan1316
      @sungjoohan1316 4 месяца назад +2

      가라데에서 영감을 얻은 정도가 아니라 그냥 가라데입니다, 그걸 유신때 이름을 태권도로 바꿨을 뿐이죠, 그 이후 시간이 많이 지나면서 한국만의 스타일로 변형된거고 초기 태권도는 그냥 가라데와 완전 99% 일치했습니다 애초에 한국에서 태권도 최초 관장들이 일제시대에 일본인 스승 밑에서 배우던 가라데 사범들이었습니다

    • @메슬로우
      @메슬로우 4 месяца назад

      수박은 유실되었으나 그 잔재가 택견으로 이어져나감. 그런데 그 택견조차도 유실된적이 있었으나 '송덕기옹'이 숨기고 지내다가 태권도가 보급화되고나서 다시 부활하게됨.
      절대로 명맥이 이어질수가 없음.
      (※택견 : 대한민국의 무형문화재 중 유일한 전승자가 있는 무형문화재)

    • @정임-l9o
      @정임-l9o 3 месяца назад

      ​@@메슬로우 도장가면 송덕기옹 사진에 인사드리곤 했는데 세월 야속하네요

  • @moritaka75
    @moritaka75 4 месяца назад

    택견은 우리고유 무술인데 비슷한무술이 고구려때부터 있었고 중국 소림사가 택견을 배꼈다고 들은적이있습니다 그리고 극진가라테 창시자가 우리나라 사람이고 태권도 원로분들도 아마 가라테를 같이 배워서 품새는 가라테랑 비슷한것같고 발차기는 우리식으로 개발한거아닌가하는 생각이듭니다

  • @이순신-x9c
    @이순신-x9c 4 месяца назад +3

    ❤ 둘. ㅡ다. 우리나라 선조님. 것. !
    ❤ 지금 진시황. 묘가. 동의족 묘라
    발굴 중단 되었다고. 한다 !
    ❤ 조상님은 우리가 생각 하는 것 브다
    더. 뛰어 나다 .

  • @tambourine_jewelry2347
    @tambourine_jewelry2347 Месяц назад

    태권도 스스로 호신술이라고 말하지만, 동작 자체가 일본의 가라테처럼 직선적이다. 반면에 역사적 뿌리가 깊은 택견은 한국인 체형과 한국문화에 어울리는 부드럽고 예스러운 곡선형태 동작으로,, 태권도와는 판이하게 다른 무술이다.

  • @강민성-h9w
    @강민성-h9w 4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나라 고유무술은 수박아녔나요.
    만류귀종 세상 모든 것은 하나로 통하죠.
    다만 스포츠로 변형되었느냐 실전무술로 남았느냐 차이일뿐. 무술이란게 과거 생존을 위해 타인을 빠르게 제압하기위해 발전된 것이닌깐요.

  • @k9greathan440
    @k9greathan44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가라테는 오키나와 무술이지 일본 무술이 아니잖아요

    • @최진광
      @최진광 5 месяцев назад +6

      그 오키나와 무술의 원료는 고려시대의 삼별초가 건너가서 전파된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 @하나남은이빨
      @하나남은이빨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k9greathan440 오키나와는 어느나라죠?
      그리 따지면 수박도 고구려 무술이지. 대한민국 전통무술이 아니죠.ㅋ

    • @hjl5785
      @hjl5785 4 месяца назад +4

      @@하나남은이빨 고구려는 같은 민족이라는 인식이 있었습니다.
      오키나와는 자신들은 일본인이 아니라는 인식이 강한 듯. 지리적으로도 중국과 훨씬 가까운 듯

    • @르누아르-g8v
      @르누아르-g8v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오키나와 이름부터 일본이구먼 뭔ㅋㅋ

    • @하나남은이빨
      @하나남은이빨 4 месяца назад +6

      @@르누아르-g8v 1879년에 일본에 의해 국가붕괴되고 오키나와로 이름바뀜

  • @armyno.1.201
    @armyno.1.201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전세계 무술은 아라한 무도가에서 시작 되었음🇰🇷🇰🇷🇰🇷

  • @반달곰탱-v8s
    @반달곰탱-v8s 4 месяца назад +10

    태권도는 신라시대 화랑들의 호신무술로서 엄연히 한국의 무술입니다!

  • @다다-m4y
    @다다-m4y 4 месяца назад

    괜차늠 연구하고 더 발전시켜서 우리 고유의 무예가 된거니까 ❤
    원조 따지지말고 좋은거있으면 다받아들이려는 자세가 더중요한거지

  • @산너머마을에는
    @산너머마을에는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

    태권도는 12만3336년 되었고
    박혁수(전생은 도선국사= 14만년전인물)로 도통한 인물로 그가 처음 함경북도에서 알려줬고 발전시킨 인물은 그의 제자로 지금의 특전사출신이 박은하(은하캠핑)가 전생에 발전시킨 것입니다.
    택견은 하나님의 제자 동이족이 충북살때 8만3855년에 만든 것입니다. 그때 이름은 택연입니다. 지금은 그가 환생해서 잘 살고 있지요.
    무술은 태권도가 먼저이고 택견이 나중입니다. 이것에서 전세계 모든 무술이 파생되었고 모두 동이족들이 가르쳐준것입니다.

  • @seungdukbaik159
    @seungdukbaik159 4 месяца назад

    숨기지 말았으면 합니다
    태권도의 발전은 국기원 설립입니다
    8(?) 종파가 모여 하나가 되었습니다
    여러 종파들은 고유한 문장을
    갖이고 있었습니디
    언재 부터 시작은 모르나
    최소 일제때 가리데 문파 그데로 사용 했습니다

  • @drk9788
    @drk9788 4 месяца назад +1

    ( 한국의... 궁궐, 고궁.... 대표적,.... 한국의... 정원 문화와 마당문화..... )
    제 2의 궁전으로 만든..... 창덕궁....... 왕들과 왕비들이 좋아해서 가장 오랬동안 가장 많은 많은 왕들이 머물던 궁전.
    산비탈 산전체에 자연을 훼손하지않고 자연 그대로 평지로 만들지않고 산비탈에 지은 궁전.....
    왕비를 위해 특별히 만든 비밀의 정원인 (비원) , 뒤에 있는 정원인 (후원) ...........
    전세계 유일하게.......... 궁전에 산이 있고 계곡,개천도 있고...... 숲이있고 연못도있는
    전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정원으로
    유네스코에 등재된 아름다운 우리의 궁전속의 정원......
    1405년 지어진.......이 왕궁의 후원(비원)에 지어진 휴식공간인 정자가....... 열댓개가 있는데......
    그 모양이 다제각각 모양이 모두다 다를뿐더러....... 그 지어진 위치또한 모두 제각각 다 다르다.
    어는건 평지에... 어는건 계단위에.... 어는건 연못에......어느건 숲속에...... 어는건 기둥지주가 다르고
    이렇듯 모양,위치.......모두가 다 제각각인......... 서양과 같은 수학공식 같은 철저한 대칭구조가 아니라...........
    모두다 제각각인 개성있고.... 비대칭에 엇박자인 구불구불 곡선의 우리의 건축구조(처마,기둥)와 건축배치....... 는
    자로 잰듯이 철저히 대칭구조를 가진 인공적인 미의 ........서양의 건축물이나 정원배치구조와는 달리......
    비대칭과 곡선의 엇박자는 한국문화의 핵심이고 정수이며
    이러한 비대칭과 엇박자가........ 사실 가장 자연과 닮은 형태를 지녔다는것을 알수있다.
    한국의 길.....(골목)(도로) 또한...... 서양식의 철저한 도시배치 구조의 대칭적인 직선의 사거리길(도로)가 아니라
    모든 곡선을 다 수용,표현할수있는 삼거리길(골목,도로)이 대부분이다.
    노래에 등장하는 (천안삼거리)처럼..... 우리의 길은...... 옛적에는 직선의 사거리길보다는
    대부분이 곡선인 자연적인 형태의 삼거리길이 훨씬많았다.
    한국인들은 자연적인 곡선과 비대칭, 구불구불한 엇박자를 더 좋아했다.
    한국의 정원,공원은..... 직선보다 구불구불한 곡선들이 더 많으며..... 이것또한 자연적인 미의 비대칭인 경우가 많다.
    철저히 대칭적인 서양식의 인공미와 자연을 철저히 파괴해 재탄생시키는 일본식 인공미의 왠지모를 불편함......
    그래서, 한국의 건축미와 정원들은 가장 자연적인 형태를 가진 편안함과 푸근함을 지니고있고......
    철저히 대칭적인 구조를 지닌 서양의 건축과 정원, 철저히 인공미를 지닌 일본식 정원들.....과는 달리
    비대칭적인 건축(구조,배치)미와 자연미를 지닌 한국식 건축과 정원에서 더 자연미를 느끼고
    인간 본연의 편안함과 푸근함,아름다움을 느끼는것이다.
    여기에 한국정신문화, 한국문화의 빼대라고 할수있는
    인본주의 사상(사람중심문화)...( 사람이 먼저 ....... 사람이 근본이고...... 사람이 우선이라는 .....사람을 위한 문화)가
    한국문화를 규정해왔고 한국문화에 흐르고 있기때문에 가능한것이다.
    서양과 일본에서...... 흔히 볼수있는........아무리 예쁜 정원을 많이만들었어도 사람들 쉴 만한 벤취에 의자하나
    변변히 만들어놓지않는 그들과 달리......
    한국 문화재, 정원,공원은.... 정원,공원만 예쁘게 만드는게아니라.... 사람들에 대한 배려.....쉬어갈곳, 쉴곳들을
    아기자기하게 많이도 잘만든다는것이다.
    사소하지만..... 이게 진짜 인간에 대한 배려고 그 나라문화에 깊이새겨진 한나라의 정신문화고......
    이게 진정한 사람에 대한 배려......한국의 인간중심 정신문화다.
    공원,정원만 예쁘게 만들어 놓고 자랑만하는 보기만 좋은
    사람쉴만한곳 한곳없는 사람에 대한 배려가 없는 그런 정원,공원문화와는 한국의 건축,공원,정원은 정신문화부터 전혀 다르다.
    --------------------------------------
    유럽엔.... 방사선 구조의.... 건축, 광장문화가 있지만.......한국엔 없고..... 대신, 한국엔..... 집마다.... 마당문화가 있지요.
    한국의 집안에서... 가장 큰곳..... 항상, 비어있어야하는 공간.....
    안에있는 사람들이 ..... 외부세계와.... 가장 처음 만나는 공간 .... 유럽은, 광장..... 한국엔, 마당......
    사람들이.... 함께 모이는 장소...... 함께모여.... 공동의 문화를 공유하고..... 공동으로 함께하는.... 장소(공간).
    마당은..... 노동과 축제, 공연, 행사가... 이루어지는.... 공동장소로...... 한국의 마당놀이도... 있지요.
    한국의 마당은.... 유럽의 광장처럼..... 항상 비워져있어야함. 한국의.... 여백의... 미와 의미.
    고궁의 마당(광장?)도.... 마찬가지..... 내부가.... 외부세계와.... 처음 만나는곳..... 마당.
    고궁은..... 이 경계에.... 상징적인 다리를 놓아.... 다리를 건너야만.... 만날수있는 장소..... 큰마당으로 이어지죠.
    집안에선... 각자의 방에서 나와.... 모두 같이 만나는 공간..... 대청,마루, 현대의.... 한국 거실문화로..... 이어져 나타나지요.
    서양에선.... 건축, 거리문화가.... 사람들에게 폐쇄적이라서....... 그 중심에.... 광장이 필요했고... 생겼고....
    한국에선... 건축, 거리문화가.... 사람들에게 개방적이고.... 각각에 건축물에.... 마당문화가 ....각각 다 따로 있었기에....
    굳이.... 광장처럼..... 큰공간이 따로, 필요하지않았죠.
    다시말해,
    유럽은.... 건축문화가 (공동체).... 사람들에게 폐쇄적이라서.... 도시중심에..... 따로 공동체 사람들이...... 교류할수있는.... 큰 광장이 필요했고....
    한국은.... 건축문화가 (공동체)....사람들에게 개방적인...... 마당문화가.... 각각 다 따로 있었기때문에 .....
    따로, 유럽처럼.... 큰 광장이.... 필요도없었고.... 발달하지도 않은것입니다.
    한국의... 공동체문화는...... 농경문화로서.... 공동노동, 공동축제, 공동행사 .... 품앗이 등등....
    공동체가.... 폐쇄적이지않고..... 개방적으로..... 충분히 잘발달되어있어...... 따로, 광장이란..... 큰 교류공간이.... 필요없었던것이죠.
    유럽에선..... 광장이라 부르지만...... 결국, 유럽의.... 큰광장도 한국인들에겐..... 큰마당일뿐이지요.
    유럽의 광장문화의.... 장점이자..... 단점이라면.....
    결국, 많은 사람들이... 모이다보면...... 사소한 사생활문제가..... 교류,의견교환의.... 주가되는게아니고....
    정치적인..... 큰문제들이 다루어지고.... 의견교류가 될수밖에없기에..... 혁명(반란)도 일어나고.... 새로운문화도 태동되는.....
    민주주의, 문화교류, 의견교환의.... 큰 성지가 될수밖에없기에...... (광장혁명)(시민혁명).... 장소(광장).
    이점은.... 한국의 마당문화와는..... 조금 다른.... 차이점이라 할수있겠지요.

  • @geeksh4473
    @geeksh4473 4 месяца назад +2

    태권도는 역사가 짧고 갈아타는게 맞음... 그리고 가라테 또한 일본 무술이 아님 다른 식민지 나라의 무술을 강탈한 것일뿐
    예전 한국에 김치가 중국과 일본의 뺏길 뻔한 것과 같은 문화 강탈

  • @drk9788
    @drk9788 4 месяца назад +1

    ( 가라데와 태권도의.... 대표적 차이와 연관성.... 그리고, 그 무술역사.... )
    대표적 카운터 기술 (방어형 공격)이라.... 보기와는 다르게 위력과 파괴력이 대단한 무술임.
    카운터 손기술이 ...그런대로 발달한.... 복싱의.... KO의 80%가....
    상대가 들어올때... 같이나가며.... 뻗는,차는.... 이 짧은 펀치, 발차기.... 에서 대부분 KO가 나옴.
    상대의 중심이동, 힘의증가, ..... 과학의... 작용,반작용 원리를 이용한 무술.... 대표적으로 수천년 전통의 한국택견...
    일제시대때,.... 일본이... 택견역사를 없애서.... 택견무술,무술집, 무술연마를.... 금지시키고 처벌해서..... 그 기록과 연마자들 까지 대가 끊겼다가...
    해방후, 수천년 전통무술인.... 택견복원에 힘쓰던.... 몇몇 개인들이 겨우.... 일일히 전국을 돌아다니며.... 나이먹은 일부 전수자들을 통해....
    몇십년만에 다시, 전통무술.... 택견을 복원하고 보급해 가는중.....
    그에 반해서.... 일본은.... 조선에서는 택견연마,전통무술 금지시키고....
    일본은.... 100년도 안된.... 일제시대때, 정확히 1927년도에 만든 무술.... 유도, 가라데를..... 일본 전통무술로 포장함....
    가라데는... 오끼나와에서... 가져온... 손기술위주의 무술로.... 대련, 겨루기가 아니라.... 우리말로 품새라고하는.... 시범위주의 전시성 무술이었고....
    한국의 수천년 전통무술인.... 택견과 같은..... 발차기기술로 아예 없었음. 그래서, 초기 가라데는 당수도(손기술)이라고도 부름....
    이때 만들어진... 일본의.... 유도 기본기술도.... 한국에는.... 이미 수천년전.... 한국의 씨름기술에 다들어있던것....
    일본의... 100년도 안된.... 현대 응용무술.... 가라데,유도는.... 한국의 수천년 전통무술... 수박도,택견,씨름을 가져다.. 응용해 만든... 현대응용무술이다.
    일제시대때... 1927년.... 일본의 올림픽, 박람회를 앞두고.....
    1927년.... 오끼나와 에서..... 시범조교(사범)을 불러와.... 일본의 몇군데 지역에서 시범을 보였고....
    이 일본의 몇군데 지역을 지역으로 구분해.... 올림픽과 박람회를 고려해.... 가라데 유파를.... 지역으로 나눠... 급히 만든것임.
    이 일제시대 때.... 일본으로 끌려간.... 최영의가 만든.... 응용무술도.... 가라데의 중요한 근간이 됨....
    당시도.... 손기술 위주라 .... 직접 당수(손기술)로 소를 잡는 시범이나 홍보를 하기도 함.....
    당시의 대부분 가라데는.... 지금과 같은.... 대련,겨루기가 아니였고..... 주로 중궁의 영향을 받은.... 품새와 같은 시범위주였음.
    이것(시범 가라데)을.... 최영의(최배달)가 실전같은 ..... 대련,겨루기를 가미한 형태로..... 한국의 전통무술도 가미해 만든게.... 지금의 가라데....
    그후, 한국은.... 일제 식민지시대때는.... 무술의... 한국 전통무술의.... 보급,전수가... 금지되고 끊겨서....
    일제 해방후에.... 일본식의 도장시스템을 차용해 만든게..... 지금 전세계에 널리 퍼진.... 현대 응용무술.... 태권도임.
    결국,.... 가라데와... 현대 태권도는....
    이 현대 응용무술이 생긴 시기는.....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1940년대 1950년 전후로.... (학교를 통해 대중적보급)
    불과 몇년 차이 안나는..... (학교를 통해 대중적보급)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무술이고.....
    더구나, 현대 태권도는.... 해방후 일제의 무술 도장시스템을 따라했고....
    그 도장 보급에.... 앞장섰던 사람도.... 최영의(최배달)같은... 한국사람이라.... 빨리 퍼졌는데....
    일본인들은 이것을 빌미로..... 한국의 현대 태권도가.... 가라데를 모방한 짝퉁 무술이라고..... 한국의 경쟁무술에 대한 악선전을 해왔다.
    현대 태권도가.... 필연적으로, 해방후에.... 일본의 (도장시스템을 모방)하고..... (도복을 차용), 참고한것은 사실이나....
    그것이... 한국의 현대 태권도가.... 가라데와 비슷한.... 최근 시기에 나온..... 서로 비슷한 도장체계의..... 둘다 현대 응용무술임에도 불구하고...
    한국 태권도가 ..... 일본 가라데를 베낀.... 짝퉁 무술이라는..... 악선전을 하는 빌미가 되었다.
    그렇다면, 한번 따져보자.....
    태권도와 비슷한 시기에 생긴..... 초기의 가라데에는 발차기 기술이 아예 없었다.
    그렇다면.... 이 초기에 없던.... 후기 현대의.... 가라데... 발차기 기술은... 어디에서 온것인가?
    의식있는 서양무술인들의.... 무술역사를 다루는.... 유튜브 영상들에는....
    이 현대 가라데 발차기 기술은.... 프랑스의 사바테... 브라질의 카포에라... 같은 것에서 차용했다 하는데....
    초기 가라데에는 없던 발차기 기술이.... 어디서, 어떤 무술을 차용해,응용해 만들었냐는...
    그들 서양인들의 주장에.... 일부 수긍이 가면서도.... 이해가 안되는게....
    이미, 일제시대때.... 한국의 고유무술을 전수조사 다 파악하고.... 그 기록을 연구하고.... 소멸하고 금지시킨.... 일제가....
    이미.... 조선의... 전통 택견기술에.... 발차기 기술이 모두 있던 사실을 모르고... 차용을 안했다는것은.... 말도안된다느걸 알수있다.
    현대 응용무술.... 한국의 태권도와.... 일본의 가라데는....
    그 시작점은.... 공통으로.... 도장시스템 체계를 도입하고..... 도복(수련복) 형태를.... 일본 방식처럼.... 똑같이 도입했지만....
    그 출발부터가..... 아주 다른 무술이었음을 알수있다.
    즉, 가라데는 .... 초기부터 .... 당수도 포함,..... 손기술 위주의.... 대련,겨루기가 아닌.... 시범위주의 전시성 품새, 보여주기식 무술이었고...
    태권도는.... 출발부터..... 손기술이 아닌.... 발기술 위주의 ....
    전통무술 택견을 베이스로 삼은.... 전혀 다른 무술 형태로... 출발했음을 알수있다.
    물론, 태권도에도.... 가라데와 같은 가라데의 영향을 받은..... 겨루기,대련이 아니라.... 시범위주의 품새라는것이 있다.
    후에.... 현대 응용무술... 한국태권도, 일본가라데.... 두 무술은..... 출발은.. 다른 모습으로 출발해서..... 같은 모습으로... 발전하는 형태를 보인다.
    즉, 현대 가라데는.... 시간이 갈수록.... 태권도의 돌려차기,뒤차기, 나래차기 까지..... 현대 태권도의 모든 발차기를... 대부분 차용하고있다.
    현대 가라데의.... 하단발차기는..... 이미 수백년 전부터..... 한국의 전통 택견 발차기에... 이미 있던 주된 발차기다.
    현대 태권도와 가라데는.... 초기.... 도장시스템, 품새,시범,도복.... 빼고는....
    전혀 다르게.... (한쪽은 손기술, 한쪽은 발차기기술)위주로 발전했던..... 출발은... 전혀 다른 방식의 무술로 출발했으나....
    후에 거의 비슷한 형태로.... 모방,차용해 가며 발전,응용해 가며.... 비슷해져 가고있다.
    일본이.... 현대 (무술수련복)에 대해서도.... 한국의 무술 도복(수련복)을... 한국이 모방했다고... 악선전하는데....
    팩트로... 한마디 하면....
    일본은... 의복을..... 검은색을 선호하지..... 흰색은.... 거의 선호하지 않는다.
    반면에.... 한국은.... 의복을.... 흰색을 주로 선호하지..... 검은색은.... 거의 선호하지않는다.
    또, 한국은.... 수천년 전통적으로.... 고구려 벽화에도 나올정도로.... 전통적으로... 저고리와 (바지를 입던)... 투피스 민족이고....
    중국과 일본은 .... 바지를 안(못)입던.... 둘다 ..... 저고리,바지가 없던.... 원피스 민족이다.
    누가 누굴.... 응용,모방한 것인가는.... 조금만 생각해봐도 알수있다.
    ( 일본이.... 도복을 선호하는 검은색이 아닌 .....
    한국의 흰색으로 정한것은.... 한민족의 정기를... 말살하고 먼저,선점한다는 의도였다본다.)

  • @노자무어
    @노자무어 4 месяца назад +4

    태권도 만든 분이 최홍희장군이며 그가 가라데에서 유래했다고 얘기했습니다
    하지만 태권도는 우리꺼 맞습니다!
    부대찌개처럼!

    • @yeh374
      @yeh374 4 месяца назад

      최홍희가 태권도 만든게 아니고, 5개 무관을 강제로 통합한거지

    • @노자무어
      @노자무어 4 месяца назад

      @@yeh374 오대무관이 가라데무관이었던건
      아시는지?

    • @yeh374
      @yeh374 4 месяца назад

      @@노자무어 오대 무관중 무덕관의 부원이 75%를 차지할정도로 무덕관이 가장 세력이 강했고 무덕관관장은 가라데를 배운적이 없습니다. 부디 태권도의 역사에대해 읽기부터하세요

    • @노자무어
      @노자무어 4 месяца назад

      @@yeh374 무슨 자료로 그런 말을 하시죠
      저는 최홍희장군 자서전과 김운용태권도연맹전총재 강의에서 직접 들은
      얘기를 근거로 글을 쓴 건데... 답답하군요
      쓸데없는 논쟁은 그만하겠으니 다시 확인해
      보세요

  • @박박-m5s
    @박박-m5s 4 месяца назад

    80년초중반
    시골 태권도장에서는
    라이하찌 초단
    라이하찌 2단
    가라데 품새도 배웠다!
    광복후 우리나라서 태권도
    이름지은 분도 계시고
    국기원교본에도 있다

  • @붉은매-q9e
    @붉은매-q9e 4 месяца назад +3

    태권도는 일제해방 후 국기필요성을 느껴 당시 무술 고수들.
    특히 일본 가라테 수련자들이 좋은점과 타 무술등을 참고하여 만든겁니다.
    택껸과 태권도는 큰 상관이 없습니다

  • @drk9788
    @drk9788 4 месяца назад +1

    ( 한지의 분류)..... 다양하면서 종류 매우 많아....
    한지는 분류법도 다양하고 종류도 매우 많다.
    한지는 생산된 시대에 따라.... 저지, 마지, 고정지, 상지, 태지,
    용도에 따라... 농선지, 간지, 화선지, 장판지, 창호지, 인화지, 인쇄지, 벽지 등으로 나눈다.
    특히 서책용으로는... 상지, 저지, 마지, 고정지 정도가 쓰이고 있으며
    그 밖의 인쇄용지로는 특수용 외에는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다양한 분류 중... 원료에 따른 분류,... 용도에 따른 분류,... 형태에 따른 분류,... 크기와 두께에 따른 분류...로 나눠봤다.
    1) (원료) 에 따른... 한지분류
    *농선지: 저피와 펄프를 원료로 제조하여 도침한 것으로 '창호지'라고도 불리며 저피 섬유의 특유한 광택과 두껍고 강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태지: 저피와 모조지 설을 배합한 원료에 태를 가하여 태의 형태를 살리거나 물이끼를 섞어 형태를 살린 종이로 미려함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장자지: 저피지에 실을 삽입해서 만들어진 종이로 질기며 통기성이 양호하고 다른 한지보다 크고 두껍게 만들어져 문종이나, 창문종이로 많이 사용된다
    *박엽지: 순수 저피지로 여자의 화장용지로 사용되었고 화학처리를 통해서 얻어지는 것은 얇고 내수성이 강해서 홍차 여과지 등으로 사용된다.
    *운용지: 닥나무 무늬가 나타나며 거칠어서 주로 포장지로 사용된다
    *화선지: 저치에 볏짚, 모조지 설, 펄프등을 첨가해 만들어진 수록지로 먹물을 잘 받으며 오래 되어도 변색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장판지: 저피지 또는 유피지를 여러 겹 합지하여 들기름을 먹인 후 건조시켜 종이로 온돌 장편용지로 사용 된다
    *미농지: 순수 저치지로 매미 날개와 같이 얇게 제작도고 질긴 점이 특징이다
    2) (용도)에 따른... 한지 분류
    *계목지: 계목, 계본은 정무에 관련된 일을 임금에게 올리는 문서로 이러하 문서를 올릴 때 사용된 종이
    *계사지: 논죄에 관한 일을 임금께 보고하는 문서를 위해 특별용도로 만들어진 종이
    *선지: “선자지”라고도 하며 부채나 종이연을 만들 때 쓰는 질기고 두꺼운 종이
    *시지: 과거시험에 답안지로 쓰였던 종이
    *입모지: 갓 위에 썼던 우장용의 기름종이
    *자문지: 중국을 왕래하는 외교문서로 쓰였던 질기고 두꺼운 종이
    *장판지: 온돌 바닥에 바르는 기름을 먹인 두꺼운 종이
    *장경지: 경전을 만들던 종이로 광택이 나고 두꺼운 종이
    *저주지: 조선시대의 저화를 만들 때 사용한 종이
    3) (형태)에 따른... 한지의 분류
    *분주지: 전라북도에서 생산되는 두루마리 한지로 종이 표면에 쌀가루를 뿌리고 두들겨 만든 종이
    *사록지: 종이를 뜰 때 발의 눈을 없애기 위해 비단을 씌워 뜬 종이
    *포목지; 종이를 뜰 때 발의 눈을 없애기 위해 포를 쒸워 뜬 종이
    *은면지: 은색 빛깔로 반들반들하게 만든 매끈한 종이
    *죽청지: 한지의 하나로 아주 얇고 질긴 닥종이
    *도련지: 다음잇돌에 다듬어 반드럽게 만든 종이로 붓이 잘 움직이게 한 종이
    *유둔지: 비가 올 때 사용하기 위해 닥종이를 이어 붙여서 만든 두꺼운 기름종이
    4) (크기와 두께)에 따르는... 한지분류
    *대호지: 넓고 길며 약간 거친 종이
    *소호지: 대호지보다 약간 작고 품질 또한 떨어지는 종이
    *선익지: 잠자리 날개처럼 매우 얇은 종이
    *장지: 길이가 3자 8치, 넓이가 2자7차가 되는 크고 두꺼운 종이

  • @drk9788
    @drk9788 4 месяца назад +4

    ( 구텐베르크의.... 금속문자인쇄술 발명과.... 한국의 금속문자 인쇄술과의 관계와 영향 )
    로마교황청의 사절단으로..... 중국 송나라에 갔던....
    유럽,독일의..... 구텐베르크의 친구가... 오래전......중국, 한국?(고려) 여행후에.......
    ( 구텐베르크에게..... 고려의 금속문자인쇄본에 대한 소식을 알려줌)...(기록만 존재)
    유럽,독일의..... ( 구텐베르크의.... 금속문자인쇄술 발명 )에......... 어떤 영향을 미쳤고... 어떤 연관성이 있느냐는...... 아직 뚜렸한 기록은 없음.
    ( 유럽, 독일의.... 쿠텐베르크의 발명.... 금속인쇄본 ) 보다.... ( 160년 앞선 )........ ( 고려시대의 ......직지 금속인쇄본 ),
    그것보다 100년이상.... 더 오래된 금속인쇄본은.... 역사기록만있지.......아직 유물로 발견해 전해지진 못함.
    유럽은... 구텐베르크 금속문자인쇄술로 인해......
    당시, 유럽에는......... 필사 (가공한 양피지에 직접 손기록)에... 의한 만든책이........ 유럽, 전부 합쳐..... 불과 3만권정도 였던게....
    ( 구텐베르크 금속문자인쇄술 발명후 ).......
    ( 유럽 곳곳에 출판사는... 수천개가 생기고 )......... ( 금속인쇄본으로.... 출판된 책들은.... 50만권이상으로 많아지면서 )....
    ( 유럽의 르네상스......문화대혁명을 일으킴 )...... 이게, ( 중세 유럽의.... 금속인쇄발명이 일으킨 변화 )......
    불국사 석가탑(750년경 축조) ......... 그 안에서.... 유물로 발견된 부장품 ....... ( 무구정관다라니경 ), (목판 문자인쇄본)........
    750년경.... 축조된 석탑에 들어있던 ...... ( 목판인쇄 유물) 이기에......
    750년경 이전..... 이미 더 오래전에 만들어진것이고 .....
    ( 금속문자인쇄 )... 출판 전에.... 한국에선........ 750년경 , 이전부터.........
    이미 오래전부터 ....... (목판)인쇄출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는.... 증거가 발견된것이다.......
    전세계 유일하게..... 한나라에서.... 인류문명 3대발명 ( 문자, 목금속활자인쇄, 한글 )을.... 모두 한 나라.... KOREA (고려)
    철 숟가락, 철 젓가락, 철 밥그릇.... 구리합금.... 용기(방짜유기), 악기(징,꽹과리)를 만들어낸.... 한민족.

    • @ruvoluble
      @ruvoluble 4 месяца назад

      이보쇼 미국 부통령 했던 알 고어는 대놓고 구텐베르크가 베낀 거라고 하던데

    • @sungjoohan1316
      @sungjoohan1316 4 месяца назад

      근데 그런식의 독자문화는 서양이 훨씬 많고 시기도 앞서있는 게 많습니다 특히 그리스가 그렇죠, 이제 국뽕은 좀 빼야 함

    • @drk9788
      @drk9788 4 месяца назад +1

      @@sungjoohan1316 세상의 모든것을... 자기 기준으로 맞추고... 부정하고 사는자의 눈에는 그렇게 보일듯....

    • @sungjoohan1316
      @sungjoohan1316 4 месяца назад

      @@drk9788 선생님 세상의 모든 것을 자기 기준으로 보니 활자금속판 하나가지고 국뽕에 차서 한국의 문명이 가장 뛰어났다는 헛소리를 하죠 그렇게 따지면 아프리카 오지의 문명중 현대문명보다 더 나은 점도 어거지로 찿아낼수 있겠습니다 한국의 금속활자는 굉장히 가치가 있는 건 맞습니다 인정할건 해야죠 그런데 그런 독자문명이 서양이나 중국, 일본은 훨씬 많은데 그건 안보이죠? 이미 수세기를 앞선거도 많은데? 그게 자기기준이고 메타인지가 안되는 거죠
      하나 예를 들면 한국에서 대동여지도 하나로 국뽕하는데 그 시기에 유럽은 댐공사를 하고 지하철을 만들고 있었고 이미 세계지도는 수백년전에 만들었고 일본은 국제정세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중국이나 한국, 일본의 지리가 어떻게 생겼는지 파악하고 있었죠

  • @이경두-r3v
    @이경두-r3v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이렇다 저렇다 말할꺼없고 IOC에서 대한민국의 국기종목인 태권도를 올림픽에 정식종목으로 채택 택견, 가라데 동호회 지들만의 운동

    • @청천고운
      @청천고운 4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 전통 무예로써 삼국시대 화랑들이 익혔고 어쩌구저쩌구...이러니 문제가 생기는 겁니다. 왜 문제의 본질을 안 보고 말하는지.

    • @pbxpri
      @pbxpri 4 месяца назад

      ​@@청천고운택견이 무슨 동호회 운동이냐. 무술로는 처음으로 유네스코에 등재됐는데 뭔소리 하는겁니까.

    • @청천고운
      @청천고운 4 месяца назад

      @@pbxpri 전 택견을 동호회 운동이라고 한 적 없는데요.

  • @p140mm
    @p140mm 4 месяца назад

    도로 끝나는 무술은 어떻게든 일본의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합니다.
    검도, 유도, 합기도, 태권도… 택견도 정말 강력한 무술이라고 생각합니다

  • @복동이-l7g
    @복동이-l7g 5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일본이 백제의 모든 문화와 무술을 백제 인들에게 배웠고
    백제는 택견,수박등
    무술에 강했었다.

    • @어벤져스프레임온
      @어벤져스프레임온 4 месяца назад

      가라데는 수박이나 택견과도 상관이 없습니다~ 동남아 기원설과 당나라 권법 기원설이 거의 다수설 내지는 정설입니다. 백제 시대에 전해진 무술이 원류라면 가라데는 택견과 비슷해야 합니다. 이런 식으로 따지면 모든 무술의 시작은 어느 나라 어느 시대냐라는 복잡한 문제가 됩니다.

    • @drpressed69
      @drpressed69 4 месяца назад

      그 택견. 수박은 태권도랑 전혀 관련없다는거. 진짜로 택견 수련하는 사람들은 태권도랑 연관짓는거 존나게 싫어함

    • @김영진-y8w
      @김영진-y8w 4 месяца назад

      만물 백제설~ 요즘 중공이 주장하는 만물 중국 기원설하고 뭐가 다르냐? ㅋ

    • @어벤져스프레임온
      @어벤져스프레임온 4 месяца назад

      @@김영진-y8w 타당한 근거가 있냐 없냐 차이가 있겠지. 거꾸로 무조건 국뽕이라고 부정부터 하고 보는 만물 국뽕설이 만물 백제설하고 차이가 있나? 중국은 소수민족과 주변국가의 역사까지 냠냠하고 있는거고 이는 명백한 정치적 의도를 갖고 국가주도하에 행해지고 있는 것인데 백제 기원설과 어떻게 같은 선상에 놓고 비교를 하는지 뇌구조가 신기할 따름.

  • @auoak9679
    @auoak9679 4 месяца назад +11

    카라테에서 모티브 정도를 얻은게 아니고 태권도 창시한 분들 전부 가라테 고수이고 품새도 거의 유사하게 베낌
    태권도는 가라테 짭 맞음
    가라테는 중국 쿵푸의 영향을 받은게 맞고 쿵푸의 창시자 소림권의 달마대사는 인도 전통무술에서 가져온것임
    모든 문화는 서로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하는것도 맞음
    인정할건 인정하자

    • @이주-k3c
      @이주-k3c 4 месяца назад +2

      ITF는 틀 죄다 새로 창작해서 비슷한건 없고, WT가 여전히 품새에 짭 냄새가 심하지ㅋㅋ

  • @개념갖고살자
    @개념갖고살자 Месяц назад

    최영의 선생님이 명명한게 가라데
    정신은 태권도
    태권도 기교 위주인것을 몸 단련으로 발전시킨것

  • @서주우유-q5f
    @서주우유-q5f 4 месяца назад +4

    아니 태권도 만든 사람이 일본 가라데서 가져 왔다고 말했는데 무슨 논란 ? 일본가라데는 중국 남권에서 가져 왔고 중국 남권은 소림 무술에서 파생 되었고 소림의 무술은 인도 달마에게서 나왔는데 논란이 될게 있나 ????그럼 모든 무술은 인도가 원조 ?

    • @kml2074
      @kml2074 4 месяца назад

      가라테는 오키나와의 전통 무술이고 그 기원이 우리의 수박임.

  • @eddielee2470
    @eddielee2470 4 месяца назад

    한국의 국술이라는 것도 있던데 전 티비에서 한국인이 외국사람 가르키는것보고 첨알았네여!!ㅎㅎ그리고 태권도는 보면 현대화 된것같고 북한의 태권도는 봤는데 택견하고 비슷한 점이있더라구요!!

  • @화무십일홍-c4j
    @화무십일홍-c4j 4 месяца назад +4

    가라대는 정통 일본무술이 아니다. 일본의 무술 모두 한반도에서 넘어간게 맞다.

  • @없음-x3z
    @없음-x3z 4 месяца назад

    아작도 정보 오류가 많이 알려져 있는데 공식적으로 태권도는 해방이후 정부주도로 이루어진 국내의 이름있는 몇개도장의 무술의 합체 입니다.. 그 도장 관장들이 일본에서 오키나와 가라데 들어올때 배운 사람들 많다보니 가라데와 유사한거죠...
    다만 품세태권도와는 완전히 다른 겨루기태권도는 한국 고유의 무술로 봐야합니다..

  • @김춘호-r9y
    @김춘호-r9y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일본문화 자체가 한반도의 하위 문화인데 논란을 만든놈들이 문제다.😂

    • @전두훈-d1y
      @전두훈-d1y 4 месяца назад +1

      @@김춘호-r9y 한반도 하위문화? 조선때 중화한다면서 다말살됐는데 뭔하위임

  • @drk9788
    @drk9788 4 месяца назад +1

    ( 류큐왕국 / 오끼나와 (일본합병)....... 와 한국(고려,조선)과의.... 교류관계역사...! )
    실제로..... 류큐왕국과.... 조선은..... 교류가 많았으며......
    논문에서는...... 일본측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신기합니다.
    어떤 논문에 의하면..... 가라테도..... 한반도를 통해.... 전해진 무술에.... 영향을 받아......
    오키나와가 만든.... 무술인것이라는.....기사와 논문이 있습니다.
    근데, 필리핀에도..... 유사한 무술이 있다니 신기하네요......
    일본 가라데는......여러가지 무술을..... 합친게 아닌가 싶기도......
    -----------------------------------------------------------------
    지금.... 오키나와.... 현립 박물관에는..... 슈리 왕궁의... 정전에.... 걸려있던.......
    ‘류큐만국진량 ( 琉球萬國津梁· 류큐 만국의 가교 )’...... 동종이 전시되어 있다.
    거기에는..... 이런 명문이 세겨 있다.
    “류큐는 남해에 있는 나라로..... 삼한(三韓·한국)의.... 빼어남을 모아 놓았고,
    대명(大明·중국)과 밀접한..... 보차(輔車·광대뼈와 턱)관계에 있으면서.......
    일역(日域·일본)과도..... 떨어질 수 없는 순치(脣齒· 입술과 치아) 관계이다.
    류큐는..... 이 한가운데 솟아난..... 봉래도(蓬萊島·낙원)이다.
    선박을 항행하여..... 만국의 가교가 되고..... 외국의 산물과 보배는..... 온 나라에 가득하다. "
    (琉球国者,南海胜地而钟三韩之秀,以大明为辅车,以日域为唇齿,在此二中间涌出之蓬莱岛也,以舟楫为万国之津梁,异产至宝)”
    ---------------------------------------
    ( 류큐왕국 / 오끼나와 (일본합병)....... 와 한국(고려,조선)과의 교류관계역사 )
    실제로..... 류큐왕국과.... 조선은..... 교류가 많았으며......
    논문에서는...... 일본측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류큐왕국, 오끼나와)유구에서.....
    외국과의 교류가..... 가장 활발했던...... 무역항인... 도마리의... 표류민 수용소에.... 장기간 수용되어 있었던......
    조선인들 가운데..... 무술에 조예가 깊었던 사람들에게.... 유구인들이.... 무술을 배워.....
    오키나와 가라데... 발전에 기여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고 합니다
    조선 무술로부터..... 영향을 받아 발전된.....
    오키나와 가라데는..... 1920년대 초기부터...... 일본 본토에 보급되어..... 일본 가라데로 발전하였다.
    일본 본토, 보급과정에서.....
    조선 유학생들이...... 오키나와 출신... 가라데 사범들로부터..... 오끼나와 가라데를 배웠다.... !
    본 연구 결과,
    조선 표류민들로부터..... 무술을 전수받아... 발전된...... 오키나와 가라데를......
    일본에 유학한... 조선인들이 배워...... 해방 후...... 태권도로... 발전시킨... 사실이 밝혀져.... !
    조선 무술과... 태권도 사이에..... 연속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고 합니다.... !
    또, 기사에서도.....
    오키나와에...... 고려의 ‘계유년고려장인와장조’란.... 계유년에...... 고려의... 기와 장인이 만들었다는 뜻이다.
    이 기와는...... 오키나와.... 우라소에성(浦添城)과.... 슈리성(首里城) ... 등지에서..... 다수 출토되었습니다.... !
    학자들은....
    삼별초의.... 1273년 멸망과 관련해.....
    고려의.... 기와 제조 기술이..... 오키나와로 넘어갔을....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
    1333년 설,
    1393년 설 등.... 학자마다... 의견이 다르지만....... 고려와... 류큐왕국의 관계를.... 보여주는 자료임은... 분명하다.... !
    물론, 태권도는...... !
    중국 투로,가타, 가라테의.... 시스템을 바탕으로.....
    한국만의..... 발차기 무술들을... 포함하여.... 만든 현대 응용무술이지만,.......
    가라테...또한.... !
    공수도..... 이외의..... 다른 무술의 영향도..... 있을것이라 생각하는 이유는...... ?
    조선왕조실록에 나왔듯이........ !
    고려대장경을 통해....... !
    류큐 불교발전과....... 당시, 어린아이... 교육을 담당한...... 사찰 승려들이...... 가라테 수행과.... 전승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고.......
    이러한 관계가.... 깊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고 하죠...... 이 사실이..... 단지 선전용은 아닐겁니다.
    영상 내용을 보면,.....
    본래, 가라데에도........ 태권도 발차기와..... 유사한 하체기술들은...... 좀처럼 보이지 않고......
    형식적... 앞차기, 옆차기만 있었던..... 상체기술 중심이었는데,.....
    ( 가라데... 발차기부분...... 또한...... 태권도 발차기에...... 영향받아...... ! )
    ( 현재, 최근... 가라테도..... 태권도의..... 찍기, 뒤차기 등..... 몇몇 발차기 기술을 도입..... 다양한 발차기기술이 생겼다고 하죠.. ! )
    ( 태권도의..... 돌려차기, 나래차기, 찍기, 뒤차기, 뒤후리기는..... 태껸의 영향이었으며...... ! )
    ( 이것은..... 중국무술과..... 중국무술에 영향을 받은...... 가라테에도... 없던..... 동작이라고 하죠.... ! )
    영상 내용을 보시면 나옵니다..... !
    ( 어느 한쪽이..... 일방적으로 영향을 주는 역사는 없을겁니다... ! )
    ( 무술의 기원..... !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
    ( 일본 가라데,유도.... ) 또한..... ( 중국,한국, 류큐왕국의 무술에..... 기원을 두었다고 봐야죠... ! )
    -------------------------------
    오끼나와에...... 삼별초... 고려 무반이 들어가......
    성을 세우고..... 대몽항쟁을 하면서...... 고려무예를..... 전달했을 것입니다.
    물론, 오끼나와만의..... 전통무예도 살아.... 둘이 융화되거나.... 경합되거나 했겠죠.
    역사까지 들어가 본다면......
    물론, 오끼나와 자체가...... 조선과 혈연적으로 밀접했다... 아니다 라는 것까지.... 이론이 전개될 수 있는데.....
    정사에서, 인정하는 부분은 아니니.... 논외로 하더라도..... 삼별초 유적이 있음은..... 방송 다큐에서도 다루었습니다.
    ( 고려의 삼별초를.... 연구해봐야한다..... ) ( 류쿠왕국의 건국과... 삼별초가... 관련이 있다..... ! )
    ( 무예, 역시.......... 고려의 삼벌초가... 전파했을 가능성을... 열어둬야한다.... ! )
    -------------------------------
    단도직입적으로........ 류쿠제국과....... 가장 평화로운 왕래가 활발했던...... 조선의 관계를 보면....... !
    류쿠제국은......
    당시, 조선을 당이라 칭하였으며.......... ! 문화,건설,놀이,음식,물품등... 많은 것을 받아들이며........ !
    당의것..... 당의의식...... 이라며 칭하였습니다....... !
    하지만, 자세한 기록등은........ 일제시대 소실되었고...... !
    류쿠제국은......... 강도같은 일본의 괴롭힘에........ 조선에 많이 기대왔다는 정도만......... 유추할수있습니다....... !
    ( 당수도라는 이름에서........ 중국과 연관성을 찾지만...... 중국무술엔..... 비슷한 형태조차도 없습니다.... ! )
    ( 가라데, 공수도가....... 원래, 류쿠 본국에선...... 당수도란 ...이름을..... 가지고 있었죠.... ! )
    ( 오키나와테...... 영상을 보면... ) ( 영춘권과 백학권의 영향을...... 분명히 받고 있습니다. )
    ( 그리고, 1700년대........ 중국 사신이..... 본인들, 무술 전해준 기록도... 엄연히 존재함. )
    ---------------------------------
    한마디로.....
    가라데도... 원래는....... 일본 것도 아니었고....아니라는 얘기는 군......... !
    자기 것도 아닌데....... 자기 것이었다고..... 우기는 상황이었군...... !

  • @복동이-l7g
    @복동이-l7g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백제는 전라+충청+경기남+
    서울이였고 그중 충북쪽 백제무술이 택견이였고 그 택견에서 태권도가 파생되었다.

  • @maruarchy
    @maruarchy 4 месяца назад

    그보단 태권도가 점점 보여주기식 서커스화 되고
    실전성과 멀어지며 점수따기용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것이다.!!

  • @baessamtv8722
    @baessamtv8722 4 месяца назад

    태권도가 오키나와 가라데에서 많은 것이 넘어온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한국에 택견이 있어 현재의 태권도는 택견처럼 화려한 발차기 무술로 변화했습니다. 가라데가 화려한 발차기가 있던가요? ㅎㅎ 이제는 전혀 다른 무술입니다. 다만 아직도 가라데식 품세가 있고 실제 사용도 안하니 변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 @a.t8446
    @a.t8446 4 месяца назад

    태권도의 체계화에 가라테의 영향을 받은 것은 일부 사실인 것 같지만, 다른 무술과의 차별성과 경쟁성에서 살아남아서 올림픽 정식 종목이 된 것이죠.

  • @Love-vd6lw
    @Love-vd6lw 4 месяца назад

    pop이 어디서왔든 kpop은 우리거다. 누구도 이견이 없고 다툼의 여지가 없다.

  • @이일강-l8s
    @이일강-l8s 4 месяца назад

    태권도는 현대무술임.
    오래된게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기에
    부끄러워 할 필요도 없음.
    올림픽 종목이 역사가 유구한 종목만 가능한게 아님

  • @gsy-b3n
    @gsy-b3n 4 месяца назад

    카라테도
    일본의 식민지였던
    오키나와 개인호신술에서 나온 것이고,
    그걸 일본이 받아들여
    오늘의 카라테가 되었고,
    그걸 경기 태권도로 발전시킨게
    우리나라 태권도인것이다!
    우리의 창의성이 돋보이는 경기무술인 태권도인 것이다~

  • @davidkim4412
    @davidkim4412 4 месяца назад +1

    뭣이 중한디~ㅎㅎ 무술은 서로 배우고 융합하고 버리고 하면서 발전하는것이지~

  • @changseob7
    @changseob7 4 месяца назад

    중국 권법ㅡ>가라데ㅡ>태권도
    이렇게 영향을 미친 더 같은데...
    중국 권법을 할아버지라 치고
    가라데 아빠
    태권도 아들(나)이라고 비유를 했을 때...
    할아버지=나 성립 됨??
    아버지=나라고 할 수 있음??
    그냥 나는 "나"
    태권도 역시 가라데 영향 많이 받았다고는
    하지만 태권도는 "태권도"

  • @김두환-u6y
    @김두환-u6y 3 месяца назад +1

    태켠보다. 가라데랑비슷한데 아무튼 한국에서 재창조된 일본 무술이라 보면됀다 비슷히기는하네.

  • @old4jeans
    @old4jeans 4 месяца назад

    당수도(唐手道)와 가라테(空手)는 연관된 무술입니다. 당수도는 가라테의 옛 명칭 중 하나입니다. "당수"(唐手)는 '당나라의 손'이라는 뜻으로, 가라테가 중국 무술의 영향을 받았음을 암시합니다.
    가라테는 일본 오키나와에서 발전한 무술로, 특히 중국 남파 무술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오키나와는 중국과의 교류가 많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중국 무술이 전파되었고, 이를 오키나와 사람들이 자신의 방식으로 발전시킨 것이 가라테입니다. 이후 일본 본토에 전파되면서 현대적인 형태의 가라테로 발전했죠.
    1930년대에 가라테의 이름에서 "당수"라는 한자를 "空手"(빈손)로 바꿔, 무기를 사용하지 않는 무술이라는 의미를 강조하게 되었고, 그 이후로 가라테라는 이름이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당수도와 가라테는 같은 뿌리를 가진 무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태권도는 가라테의 영향을 받은 무술이지만, 가라테가 태권도의 유일한 뿌리는 아닙니다. 태권도는 한국 고유의 무술인 태껸과 더불어, 일제강점기 동안 일본에서 전파된 가라테의 영향을 크게 받았습니다. 하지만 태권도는 가라테와 구별되는 독자적인 발전 과정을 거쳤습니다.
    일제강점기 동안 많은 한국 무술가들이 일본에서 가라테를 배웠고, 그들이 해방 후에 한국으로 돌아와 가라테를 가르쳤습니다. 이로 인해 초기 태권도는 가라테와 기술적 유사성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한국은 전통 무술과 철학을 결합하고, 태권도의 고유한 발차기 중심의 기술을 강조하며 점차 독립된 무술로 발전시켰습니다.
    특히 1960년대에 태권도가 대한민국 국기원에서 정립되면서, 가라테와는 차별화된 기술 체계와 규칙을 개발해 오늘날의 태권도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발차기의 다양성과 강력한 하체 기술, 경기 규칙 등을 보면, 태권도는 가라테와 분명히 구별되는 독특한 무술로 발전했습니다.
    따라서 태권도는 가라테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 자체로 독립적인 무술로 볼 수 있습니다.

  • @이호수-j1b
    @이호수-j1b 4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건 그냥 우리거지 어디서 파생이 되었든 말았든 왜 그것에 얽매이고 과민반응하나,, 애초란 존재하지않는 무의미한것,, 배아파하는 놈들의 말에 귀기울이지 말면 그만~

  • @정요섭-n8i
    @정요섭-n8i 10 дней назад

    가라데도 중국남부에서 오키나와로 건너온 무술로 알고있는데, 태권도뿌리가 가라데라는걸 숨길 필요도 없고 부끄러울 이유도 없다고 봅니다

  • @msg3535
    @msg3535 3 месяца назад

    마지막 장면이 아무도 흉내 낼 수 없는 태권도의 위엄.

  • @bbongb8954
    @bbongb8954 4 месяца назад

    확실한건 요즘 품새 태권도 발차기 타겟은 저~높은 하늘이다. 내 발차기가 저 하늘에 닿기를.. 이란 의민가?
    세상 어떤 무술도 상대방 타격 위치를 벗어나는 공격 기술은 없다.

  • @CUT_VIEW
    @CUT_VIEW 4 месяца назад

    택견, 가라데는 무도로서 심신수양을 하는것이 느껴지는데 태권도는 겉멋만 들어가지고 누가누가 더 높이차냐? 이런거 보여주고 거의 뭐 비보잉이 따로 없더만.. 비보잉은 잘하겠더라..근데 시합만 들어가면 닭발당수에 제기차기랑 펜싱이나 하고있고..

  • @MaartsFeather
    @MaartsFeather 3 месяца назад +1

    택견에서 파생된게 맞아.......그리고 일본의 가라데는 실전 태권도에서 보급화된 것. 가라데는 손기술이 많은데, 태권도는 없지 않냐고? 실전 태권도는 손기술이 상당히 많은데, 대부분이 급소를 찌르고 찢고, 파열시키는 잔인한 기술들인데, 가라데에도 그게 조금은 전수 되었지.
    중요한 점은 아무리 가짜가 멋져도 오리지날을 넘어설 수가 없다는 것. 가라데는 중요한 점이 결여되어 있어. 유연성. 태권도는 매우 유연하고 현란하지. 음양의 조화로 만들어진 택견에서 파생. 하지만, 실전 택권도는 바로 택견에서 온 것들. 택견이 얼마나 파괴적이고 잔인한 무술인지 알면 놀란다? 허허실실을 전략이 기본, 유연하면서 상대를 안심케하고 빠르게 효과적으로 제압할 수 있는 매우 전력적인 최고의 무술.

  • @찹샬의후예
    @찹샬의후예 4 месяца назад

    당수도가 원류 아닌가 대한태권도 협회 만들어진것도 6.25 끝나고 나서 시작된건뎅. 팔괘 품세를 버리고 태극 품세를 근간으로 발전한걸로 아는데 ? 역사나 문화 전통성을 본다면 태견이 훨 가치가 있다고 보여지긴 해유 단 태권도 협회 설립 이후 널리 전파되면서 지금의 자리에 오른 거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