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보니.. 규모가 참 아담했군요 ㅋㅋㅋㅋㅋ 저때는 우주먼지님 밖에 몰랐었는데ㅎ 과학유튜버 중에서 몇 없는 실물이 나오셔서 신기했었죠ㅋㅋㅋ 당시만 해도 물리하먼 김상욱 교수님만 아신다고 약간 섭섭해하셨던(?) 빵범준 교수님도 이제 완전 대활약중이시고 ㅋㅋㅋㅋㅋ 급 추억팔이 하게 되네요 ㅋㅋㅋㅋ
베텔게우스 거성 들어는 보셨을거라 생각합니다 600~800광년 거리의 거성이죠 과학자들은 100년안에 초신성이 터질수도 있다 라고 얘기한 적있는데 이미 거성은 초신성 폭발이 일어났지만 거리가 워낙 멀기때문에 아직 섬광이 지구에 도달 못했을 가능성도 있죠 과학을보다 정프로님의 질문이랑 같은 질문이네요
우주에는 태양같이 빛나는 항성이 밤하늘을 틈도 없이 빼곡이 채울수 있을정도에 갯수가 있다~~따라서 아무리 멀어도 아무리 희미해도 그 많은 항성이 밤하늘을 빼곡히 채워진 상태인 현재 밤하늘은 밝아야한다~~촛불이 저멀리 보일듯말듯 희미하게 빛나고 있어도 그숫자가 수억~수조개가 된다면 아무리 멀리떨어져있어도 밝게 빛날것이다~~지구에 밤하늘도 그래야 한다~~근데 실제로는 어둡다~~멀리있어서 어두운게 아닌 우주가 팽창하고 있어서다
우주가 어두운 것에 대해서 생각을 해 봤습니다. 우주의 나이가 138억년이 아니라, 그보다 더 많았다고 하더라도 우주는 여전히 어두웠을 겁니다. 왜 그러냐 하면 항성이 방출하는 광량자의 갯수와 항성들 사이의 거리 때문입니다. 태양과 지구는 1억5천만 킬로미터 떨어져 있습니다. 태양이 방출하는 광량자 중에서 지구에 도달하는 광량자는 약 22억 분의 1 정도입니다. 이것은 chatGPT 4o에게 계산을 시켜 본 결과입니다. 고작 1억5천만 킬로미터 떨어졌는데도 22억 분의 1 정도의 빛만 지구에 도착합니다. 태양과 가장 가까운 항성까지의 거리는 4.24광년이라고 합니다. 태양에서 방출된 빛이 이 항성에 도착한다면, 반지름 10만 킬로미터인 이 항성에 도착하는 빛의 양 즉 프록시마 센타우리가 받는 태양 빛의 양은 태양이 방출하는 빛의 약 645경 분의 1에 해당합니다. 이 값은 항성이 받는 태양 빛이 극히 미미함을 보여줍니다. 가장 가까운 항성에서 오는 빛도 고작 이 정도인데, 그보다 더 멀리 떨어진 항성들의 빛은 얼마나 또 적겠습니까? 결국 우주는 이 거리 때문에 어두울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7:28 범준햄 표정ㅋㅋㅋㅋㅋㅋ 걍 수긍하면될걸 말도안되는걸로 우기고있으니 당황할만 함
7:39 깜짝놀라며 절래절래ㅎ
빅뱅은 보이 그룹 이름이고 당장 내일 날씨도 모르는데 그냥 부모 자식에게 충실하게 사는 게 빅뱅 시작임
짧게보다 ㅋㅋㅋㅋ
점점 밝아지겠네요
6:52 자기가 모르니 남도 모른다고 규정짓는 화법
설명 잘해주시니 이해가 편하네 ㅋ
지구상의 모든 모래보다 우주의 행성, 항성, 별들이 더 많아요?
‘지금도 우주는 팽창하는 중이다’ 말고 수학적으로 계산할수있나요?
3체 보면 다 이해되는 내용
빅뱅 이전에 탄생 한 별이 많기 때문에 하늘이 어둡다..
빅뱅으로 공간도 시간도 시작되었다고 하는데 공간이 없는 빅뱅이전을 상상하거나 묘사할수 있을까요?
밤이 깜깜한 이유는 밤하늘이 핑크 핑크 하거나 민트색이면 이상하잖아요
다시보니.. 규모가 참 아담했군요 ㅋㅋㅋㅋㅋ 저때는 우주먼지님 밖에 몰랐었는데ㅎ 과학유튜버 중에서 몇 없는 실물이 나오셔서 신기했었죠ㅋㅋㅋ 당시만 해도 물리하먼 김상욱 교수님만 아신다고 약간 섭섭해하셨던(?) 빵범준 교수님도 이제 완전 대활약중이시고 ㅋㅋㅋㅋㅋ
급 추억팔이 하게 되네요 ㅋㅋㅋㅋ
아직 먼 거리의 빛이 도착을 안 했을 수 있나요?
그럴수도 있음
네~ 그걸 관측 불가능한 우주라 하쥬😅
베텔게우스 거성 들어는 보셨을거라 생각합니다
600~800광년 거리의 거성이죠
과학자들은 100년안에 초신성이 터질수도 있다 라고 얘기한 적있는데 이미 거성은 초신성 폭발이 일어났지만 거리가 워낙 멀기때문에 아직 섬광이 지구에 도달 못했을 가능성도 있죠
과학을보다 정프로님의 질문이랑 같은 질문이네요
방사능할배는 뺀거만 보여쥬지?
저 할배 말대로는 우리 이미 다 방사능 오염되서 죽어야하는데?
멀면 안보임 밤에 촟불이 2마일 정도 떨어져 있으면 않보임 단위 면적당 포톤이 없는거임 거리가 멀면 안보임 그게 그렇게 어려운 콘셉인가 공이 있는거임 하늘보면 보임 벌브하나만 켜도 안보임
그래 '않'보임
지구내에 존재하는 각종 기체 먼지 때문에 빛이 아주 멀리 못가는것이고 우주는 원래는 진공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설정했으나 요즘은 수소 헬륨 암흑물질 등이 존재하나 희박하다로 바뀜... 아직 관측되어 지거나 발견하지 못한 내용이 많아서 확정하기는 힘듬
@@김진철-i6l 스퀘어 어쩌고 저쩌고임 거리에 비례 그래서 아무리 출력이 쎄도 멀리서는 볼수 없는거임 그래서 넓은 안테나로 집적해서 보는거임 그렇게 보면 뺵뺵함
지구평평설 무뇌충 출연 지구가 평면이라 생각하고 말하는거 맞지?
우주에는 태양같이 빛나는 항성이 밤하늘을 틈도 없이 빼곡이 채울수 있을정도에 갯수가 있다~~따라서 아무리 멀어도 아무리 희미해도 그 많은 항성이 밤하늘을 빼곡히 채워진 상태인 현재 밤하늘은 밝아야한다~~촛불이 저멀리 보일듯말듯 희미하게 빛나고 있어도 그숫자가 수억~수조개가 된다면 아무리 멀리떨어져있어도 밝게 빛날것이다~~지구에 밤하늘도 그래야 한다~~근데 실제로는 어둡다~~멀리있어서 어두운게 아닌 우주가 팽창하고 있어서다
할렐루야
멀어서
색안경 낀 저분은 수준 떨어짐. 얘기의 흐름을 이해하지도 못하고 엉뚱한 멘트만 계속함.
43초전 못참지
우주가 어두운 것에 대해서 생각을 해 봤습니다. 우주의 나이가 138억년이 아니라, 그보다 더 많았다고 하더라도 우주는 여전히 어두웠을 겁니다. 왜 그러냐 하면 항성이 방출하는 광량자의 갯수와 항성들 사이의 거리 때문입니다.
태양과 지구는 1억5천만 킬로미터 떨어져 있습니다. 태양이 방출하는 광량자 중에서 지구에 도달하는 광량자는 약 22억 분의 1 정도입니다. 이것은 chatGPT 4o에게 계산을 시켜 본 결과입니다. 고작 1억5천만 킬로미터 떨어졌는데도 22억 분의 1 정도의 빛만 지구에 도착합니다. 태양과 가장 가까운 항성까지의 거리는 4.24광년이라고 합니다. 태양에서 방출된 빛이 이 항성에 도착한다면, 반지름 10만 킬로미터인 이 항성에 도착하는 빛의 양 즉 프록시마 센타우리가 받는 태양 빛의 양은 태양이 방출하는 빛의 약 645경 분의 1에 해당합니다. 이 값은 항성이 받는 태양 빛이 극히 미미함을 보여줍니다.
가장 가까운 항성에서 오는 빛도 고작 이 정도인데, 그보다 더 멀리 떨어진 항성들의 빛은 얼마나 또 적겠습니까? 결국 우주는 이 거리 때문에 어두울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적색편이 현상으로 빛이 적외선으로 바뀌기 때문임. 제발 쉽게 설명하자.
그니까요. 과학자들 설명 너무 답답할때 많음
한국말인뎅 몬알아듣겟넹 ;;
후쿠시마 오염수 주장하던 할배는 왜 나왔지. 사과 없는 건 차치하고라도, 반성도 없는건가. 반성이라도 하면 자숙이라도 해야지, 어딜 기어나오시지...
과학을보다 6번째 영상이다 아가야
진정하셈 옛날영상 재업한거임 ㅋㅋ 애저녁에 욕먹고 나가리됨😊
회색 브로콜리 멕이려고 재업로드 한듯
진짜 짜친다 후쿠시마 선동 교수
말하는거보니 교수직도 반납해야할듯 ㅋㅋ
2
줏대없으신분 면상은 좀 안봤으면 ㅋㅋㅋㅋㅋ
과학자가 2명 인가?
아이고~~머리야
저 뽀글이 교수님? 요새뭐하심? 아직도 후쿠시마오염수 괴담 퍼트리고 다니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