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가본 미래 교실 '그린스마트 학교'...학부모 반발이 변수 / YTN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 [앵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정부는 낡은 학교를 새롭게 바꾸는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내년 하반기에는 그린스마트 학교가 첫선을 보이게 되는데 이에 앞서 학교 공간을 혁신 설계한 한 초등학교를 신현준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2019년 세워진 서울의 한 초등학교.
    겉모습은 다른 일반 학교와 비슷하지만 내부를 보면 완전히 다른 나라에 온 것 같습니다.
    침침했던 복도와 계단은 밝은 색상의 원목으로 바뀌었고, 놀이와 학습 공간이 어우러졌습니다.
    [신사랑 / 서울하늘숲초등학교 4학년 : 친구들이랑은 미끄럼틀 있는 곳이나 그런데 많이 이용해요.]
    교실은 저학년, 고학년으로 나눠 학년에 맞도록 설계됐습니다.
    정형화된 사각형 교실에서 벗어나 사고의 다양성을 키울 수 있도록 했고, 교실 어디서나 발표나 토론할 수 있도록 공간을 꾸몄습니다.
    [최성희 / 서울하늘숲초등학교 교장 : 교실에 있는 색깔이나 구조라던가 재료 하나하나 이런 공간으로부터 받는 아이들의 감성, 창의력, 다양성 이런 거는 아주 지대하다고 느끼고 있고…]
    그린스마트 미래학교는 이처럼 공간혁신뿐 아니라, 스마트 교실, 탄소배출 없는 그린학교, 지역과 시설을 공유하는 복합화 학교를 만들어 나가자는 사업입니다.
    오는 2025년까지 18조 5천억 원이 투입돼 40년 이상 된 노후 학교 천4백여 곳이 새롭게 태어납니다.
    [정종철 / 교육부 차관 (지난 12일) : 우리 아이들이 자기주도성을 가지고 공간에 대한 주인의식을 갖는 등 시민성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일방적인 추진에 학부모들이 반발하면서 19개 학교가 사업을 철회하는 등 진행에 어려움도 겪고 있습니다.
    YTN 신현준입니다.
    YTN 신현준 (shinh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www.ytn.co.kr/...
    ▶ 제보 하기 : mj.ytn.co.kr/m...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goo.gl/Ytb5SZ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Комментарии • 84

  • @niceman678
    @niceman678 3 года назад +209

    학부모들이 반대할 이유가 있는지 의문이 듭니다. 일제시대부터 내려온 공간의 변화가 아이들의 창의력에 도움을 줄거라 생각이 들어요.

    • @Aether99
      @Aether99 3 года назад +12

      별개 다 일제잔재란다

    • @hot1408
      @hot1408 3 года назад +1

      반대하는 학부모는 머야?

    • @mercibeaucoup1034
      @mercibeaucoup1034 3 года назад +8

      @@Aether99 잔재가 많긴 하죠

    • @jameslee4143
      @jameslee4143 3 года назад +4

      스마트학교등 시범학교 지정되면 다양성 운운하며 공부를 안시킴.. 공부하고 싶은 아이들은 그 학교 배정되면 다른학교 전학을 위해 다른 구로 이사해야 함. 이것이 반대하는 이유죠~

    • @조현빈-l3f
      @조현빈-l3f 3 года назад +1

      @@가트-g3q 차이가 있는데요 북유럽 학교들 안봄?

  • @bca4099
    @bca4099 3 года назад +45

    난 졸업하지만 제발 우리학교 바꿔줘라 제발… 40년이 아니라 25년쯤이면 100년임… 모든 벽에 낙서가 없는곳이 없고 반에따라 한달에 두세번싹 교실문 떨어짐… 책상도 나무가시 넘 많고

  • @대동강수하시진
    @대동강수하시진 3 года назад +63

    변화가 있어야 발전도 있겠지.. 이런 시도는 환영

  • @actionokaygood111
    @actionokaygood111 3 года назад +75

    혁신학교 보면 학부모들이 반대하는 이유 알 수 있습니다. 중학교 때 혁신학교 했던 애들하고 그냥 중학교에서 올라온 애들하고 성적 차이가 대체로 갈리거든요. (현재 예비고2)창의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취지는 정말 좋지만 애초에 수능의 목적을 생각하면 헛수고에 가까운... 수능을 먼저 변화시키던가 하는 게 더 좋을듯합니다

  • @dustinjun265
    @dustinjun265 3 года назад +87

    중고등학교까지 늘려줬으면 좋겠습니다 수험생으로서 같은 교실 같은 책상에 공부하는것도 지겹습니다

  • @scseo8256
    @scseo8256 3 года назад +8

    바뀌는 건 좋아도 전체적인 시스템이 바뀌면서 저렇게 이어져야지 하나만 바뀌고 나머진 그대로면 사실상 지금 다니는 애들은 시험용이죠..... 그부분을 반대하는걸꺼임 창의성 발달 같은 말은 좋게 하지만 현재 대학입시 시스템으로 볼 때는 전혀 쓸모없는 내용임 입시부터 암기식이 아니라 창의성을 요구하도록 바꾸던지 해야지 입시는 그대로면서 밑에만 바꾼다고 무슨 변화가 생기겠음... 결국 입시에 맞쳐서 준비해야하기에 돈만 날리는 사업이지... 차라리 노후 학교를 지원해서 새롭게 컴퓨터나 패드를 이용한 학습을 지원하는게 더 올바를 듯

  • @donlop21
    @donlop21 3 года назад +48

    공간이 바뀌고 좋네요. 다만, 아이들에게는 사고와 토론을 이야기하는데, 국민들에게는 닥치고 따르라고 하니. 아이러니하네요

    • @권민송-k5w
      @권민송-k5w 3 года назад

      저게 학교냐? 아동센터아님? 누가 지원할까 의문이다

    • @김닻별-u2c
      @김닻별-u2c 3 года назад

      @@권민송-k5w 초등학교를 지원한다고요?ㅋㅋㅋㅋㅋ

    • @김시윤-u6j
      @김시윤-u6j 3 года назад

      @@권민송-k5w 님 사고방식이 얼마나 틀에 박히고 좁은지 드러나네요
      사각형의 정형화된 현 교실 공간은 충분히 억압적이고 개선의 필요성이 있습니다.

    • @권민송-k5w
      @권민송-k5w 3 года назад

      @@김시윤-u6j 니 말도 맞음. 여론에서도 반반 갈림. 뉴스에서도 "학부모 반말이 문제" 라고 써있으니까 일단 학교를 열어봐야지
      참신하긴한데...

  • @g8091
    @g8091 3 года назад +38

    와... 개쩐다.. 중고등학교도 아니고 초등학교인데 반발하는것부터 눈돌아간 학부모 심리가 느껴짐

  • @검은콩-f1d
    @검은콩-f1d 3 года назад +45

    뉴스만 봐서는 어떻게 바뀐다는건지 잘 모르겠지만 학부모들의 반대도 이해는 갑니다. 자기 아이들을 굳이 달라진 학교의 첫 학생으로 두고 싶지 않을 것 같아요. 새로운 교육방식이 어떤 장단점이 있을지 아직 국내에서의 사례가 없으니까 불안할 것 같아요. 그래도 변화는 필요하니 이 교육방식의 장단점을 충분히 홍보하고 지원자들을 입학시키는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 @kiyjy7
    @kiyjy7 3 года назад +23

    저런 방식의 변화는 환영이지.
    더 이상 삭막하고 규격화된 교실이 아닌 자유로운 공간에서 어디든 교실이자 놀이공간이 될 수 있는 학교가 많아져야한다.
    획일적이고 규격화된 공간에서는 창의력이 길러질 수 없다.

  • @정영석-n6q
    @정영석-n6q 3 года назад +56

    아직 우리나라부모들이 받아들이기 힘들듯 왜냐면 저게 공부가 아닌 논다라고 생각하니 불만이 많아진다는거지 주입식에 익숙한부모는 저게 공부하는거야 노는거지 라고 그리고 지금 초등교사들도 보면 창의라는말로 영화나 만화보여줘서 불만이 많은 부모가 많은데 우리애들도 학교가서 머했어하면 영화나 만화보고왔다는 소리가 많음

    • @파카-p8e
      @파카-p8e 3 года назад

      결국은 대입을 모두 해야될텐데 혁신학교와 아닌 학교 학생들의 성적 차이가 두드러지는게 가장 큰 이유일거예요

  • @김경구-m1q
    @김경구-m1q 3 года назад +6

    몇 년 지나면 엉망이 될 것을 아니까요(?) 내 것이 아닌데 잘 관리가 될리가 없죠. 학교 사업은 누군가의 눈 먼 세금 먹기가 될 확률이 높습니다.

  • @hong9226
    @hong9226 3 года назад +11

    학교 시설을 교체하는건 이해가 되지만 저런식으로 해외의 좋은 사례를 우리나라에 적용하려면 일단 여러 환경을 바꾸는게 우선 아닐까요 ㅎㅎ 그냥 환경만 바꾸면 정말 소수의 유능한 학생은 창의력 발달에 도움이 되겠지만 다른 평범한 학생들은 그냥 공부가 아닌 놀 공간만 생기고 그러는 동안 다른 부모들은 영어니 수학이니 다른 공부 시키면서 나중에 고등학교정도 갔을때 격차 느끼게 만들고... 아직 이 나라는 미래가 밝네요!! ㅎㅎㅎㅎ

    • @jimik12345
      @jimik12345 3 года назад +1

      @@gugupalsa 휴식공간 생긴것에 대한 것을 지적하는게 아니라 공간혁신을 제대로 활용하는 공부환경이 필요하다는 것처럼 보이는데요? 외국의 학교교육처럼 환경만 조성할게 아니라 실제 교육으로 이뤄져야한다는게 요점인데 왤ㅋ0 화가 나셨는지 ㅎㅎ

    • @lillii1307
      @lillii1307 3 года назад

      @@gugupalsa 능지 처참.. 이런애들도 정규교육과정 받나?

  • @달콤한인생-f1g
    @달콤한인생-f1g 3 года назад +24

    공간보다 교사가 중요하지 않나요? 교사의 역량강화와 아이들의 교육 컨텐츠에 대한 논의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안전등급 상관없이 그저 껍데기만 바꾸는데 아까운 세금 18조 넘게 들어가는 사업이예요.

    • @50bbond
      @50bbond 3 года назад

      교사가 몇십년동안 지금처럼 가르쳤는데 몇명이나 다르게 가르칠까

    • @달콤한인생-f1g
      @달콤한인생-f1g 3 года назад

      @Z Z 교사의 역량을 먼저 높여보시지요... 공교육 망가졌습니다. 아이들이 줄어든다고 과밀인 학교에 모듈러 쳐넣고 무슨 미래학교 만든다고 껍데기 치장에 그렇게 열을 올리는지... 말이 안되지 않나요? 우리나라가 선진국 반열에 올라갈 수 있었던건 교육의 힘입니다!!!

    • @달콤한인생-f1g
      @달콤한인생-f1g 3 года назад

      @@50bbond 먼 말씀이신지...? 공교육은 포기하나요?

    • @달콤한인생-f1g
      @달콤한인생-f1g 3 года назад

      @Z Z 모듈러 교사가 조별수업과 무슨 상관인가요?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에 교육방식에 대한 논의가 있나요? 그게 문제라는겁니다!!!!!!

  • @shirhxjtp
    @shirhxjtp 3 года назад +4

    고등학생인데 우리학교 저거 한다고 난리임 다필요없고 급식 책걸상 티비 칠판에 집중적으로 투자해줬으면 함 ;;

    • @최민관-z8y
      @최민관-z8y 3 года назад

      시끄러

    • @muffinm
      @muffinm 3 года назад

      님 어차피 졸업하고 공사 시작함

  • @jamesclark3459
    @jamesclark3459 3 года назад +13

    아이디어 괜찮은데?

  • @성이름-d6i7h
    @성이름-d6i7h 3 года назад +9

    바뀌는것은 좋은데 바뀌는곳이적음;;

  • @배승완-s7n
    @배승완-s7n 3 года назад +2

    이게 방향성은 옳아보이지만 당장 자식들 수능성적에는 악영향을 받아서 반대하는거라 생각함.

  • @bonjour3127
    @bonjour3127 3 года назад +5

    당사자가 아닌 놈들이 뭘 알겠냐 학부모가 왜 반대하지? 주입식교육이 익숙해서 반대하나 ㅇㅈㄹ ㅋㅋㅋㅋㅋ 저거도 내부사정으로 들어가면 문제가 많겠지 18조 사업인데 애초에 정부가 주도해서 창의성교육을 통해 인재를 육성한다는 생각자체가 구시대적임

  • @user-vv1ty9sn5d
    @user-vv1ty9sn5d 3 года назад +1

    저 딴거 하지말고 유현준 건축가가 말 한거 처럼 애들을 1층에 두고 쉬는시간에 뛰어 놀게 해야함

  • @맹맛초코
    @맹맛초코 3 года назад +1

    근데 썸네일 좀 충격인게
    책상 사이 간격 개넓다...
    저출산 ㄹㅇ 문제긴 하네

  • @ililiiiilll8711
    @ililiiiilll8711 3 года назад +7

    공사시작하면 해당학생들은 피해보고 그 후 학생들이 좋아지는거라 재학생학부모들은 싫어하죠..물론 나중에 들어오는 학생과 학부모들은 좋겠지요.

  • @luxury1488
    @luxury1488 3 года назад +8

    일단 공사하는동안 거의2년간은 수업못하고 특히 체육관급식실없을거고..위험하지.. 그리고 한반에30명씩 닭장처럼꽉꽉채워넣으면 공간이세모고네모고의미없음

  • @ewwseww
    @ewwseww 3 года назад +6

    이 학교 또 보낼라고 이사하고 난리 나겠네

  • @air5210
    @air5210 3 года назад +6

    실내는 시멘트가스 라돈과 화학소재에서 방출되는 화학가스가 방출되어 실내 공기를 오염시켜선 안된다.

  • @reiner5427
    @reiner5427 3 года назад +1

    말은 참 번지르르하게 하지만 결국 지금 유행하는 말들 끼워맞추기 + 건축업계 일감 주는거 말고 무슨 차이..?
    지금도 학교 충분히 멀쩡하고 좋다. 특별실 같이 부분적으로 바꾸는거야 그렇다고 치지만 멀쩡한 학교들 뜯어서 새학교 만드는 사업에 18조… 아무리 교육에 진심인 나라라고 해도 진짜 헤프게 쓴다..

  • @꽁냥-h4p
    @꽁냥-h4p 3 года назад +1

    내가 잘은 몰라도 학생들은 어릴수록 이걸 훨 좋아할 듯

  • @쇼메디플종신
    @쇼메디플종신 3 года назад +2

    문제는 창의력으로 얘들을 평가하지 않고, 수능 내신으로 평가할것이라는 점이다

    • @reborn3792
      @reborn3792 3 года назад

      결국 최종적으로 가는곳은 똑같은데 초반 과정을 바꾼다고 뭐가 달라지는건지

  • @fhshwb2hd417
    @fhshwb2hd417 3 года назад +2

    고등학교까진 절대 도입 안될듯 도입 하면 정시공부 때문에 자퇴수 급증

  • @르카포
    @르카포 3 года назад +18

    선생들 생각이 바뀌어야 애들이 바뀌지

    • @최민관-z8y
      @최민관-z8y 3 года назад +1

      선생들 생각도 자연스레 변화함. 세대교체가 일어나기때문.

  • @aqualuna7
    @aqualuna7 3 года назад +9

    장점만 나오네??애들 학교에 공영 주차장은 지하에 왜 만듭니까?거기다 동네주민들도 같이 문화공간으로 활용할 건물도 짓는다면서요?그건 어찌 관리할건데요???와~~어이없네ㅡㅡ저거 첨엔 학부모들도 찬성했다가 나중에야 설명 한시간?찍하고 그때야 주차장같은 복합 문화시설 얘기 잠깐해줌..학부모들이 어떻게 관리할거며 애들 학교 교육등 질문에 답같은건 없음..공문내려와봐야 안다고하고 끝..그러고 반대하기 시작한거임..학교측이 그냥 밀어부침..거기다 몇년은 가건물서 애들 공부해야한다던데 여기 그럼에도 기쁜마음으로 자기자식 학교 보내는 부모 있습니까?학교땅이 아깝냐 이제ㅡㅡ

  • @ultimatemanspeech
    @ultimatemanspeech 3 года назад

    자유로운 토론분위기 형성은 아주 좋은 현상이네

  • @sssssplususer
    @sssssplususer 3 года назад

    고등학교…돌아가고 싶네요…

  • @소시생-z1v
    @소시생-z1v 3 года назад +1

    이렇게 해봤자 나중에 대학을 가야할때 제일 필요한건 수능시험이지 교육부 보여주기식 잘봤고~

  • @annal5402
    @annal5402 3 года назад +4

    학급내 정원을 먼저 감축해주세요…

  • @BLACK-hh6ih
    @BLACK-hh6ih 3 года назад +1

    학교가 필요한가?
    앞으로는 비대면으로 하는 교육이 더 뜰거같은데?

  • @tumblewith
    @tumblewith 3 года назад +1

    와...진짜 돈 낭비라고 생각된다. 시설 문제가 아닌데. 토론, 토의가 이루어질까? 결국 아이들 국영수 공부공부공부 할테고, 차라리 저 세금으로 임용 안되는 선생님들이나 다 고용해서 북유럽처럼 한반에 선생님 3명씩 넣어서 교육시키고, 결정적인 국영수 위주로 살아남아야하는 경쟁 교육시스템을 바꿨으면 좋겠다. 스마트, 그린 이런거 붙이면 다 좋은 줄 아나? 아씨 내 세금 ㅜㅜ

    • @tumblewith
      @tumblewith 3 года назад

      하아. 진짜 다시 생각해보 열받네. 내 세금이 저런데 쓰이고 있다는게... 그 돈으로 선생님이나 더 고용하고, 국영수 시스템이나 바꿔라 진짜 ㅜ

  • @wasd8980
    @wasd8980 3 года назад +2

    정말 좋은시도입니다. 학생들이 보다더 자유롭고 창의성을 키우는 자유로운 교육환경이 필요합니다. 학생들에게 자유로운 교육환경을 방해하는 학부모들은 도대체 어떤사람들인지 궁금하네요??

    • @lee2446167
      @lee2446167 3 года назад

      저거 좋은 방식이긴 하나 기존의 건물에서 실행하려면 학교를 싹 다 갈아 엎어야 해서 최소 년단위가 걸립니다 그러다보니 저 프로젝트가 실행하는 동안 재학중인 학생들은 다른 곳으로 교실을 이전해서 수업을 들어야 하며 컨테이너 박스로 임시 교실을 만들어 수업을 들어야합니다 그러다 보니 재학 중인 학부모들 입장에선 반대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하하호호-x9s
      @하하호호-x9s 3 года назад

      그러면 ㅅ1ㅂ 대학으로 차별을 하지 말던가ㅋㅋㅋ창의력 드립치면서 결국
      고등학교 내신,수능 점수로 사람 판단할꺼면서 뭐하러 학부모가
      우리애를 첫 희생양으로 삼아야함?
      개웃기네ㅋㅋㅋㅋ
      반대하는 학부모가 진정한 참부모아니냐ㅋㅋㅋ

  • @margot7074
    @margot7074 3 года назад

    선생님들이 다 잘 아실…

  • @elon1796
    @elon1796 3 года назад +4

    학부모가 이걸 왜 반대하냐

  • @skylim8289
    @skylim8289 3 года назад +1

    유럽엔 이미 저런학교가 많은데 우리나라는 하나도 없었을 뿐, 그냥 유럽기술력 따라했고 우리나라 특유의 창의성이 담겨져보이진 않음

  • @수민-w3j
    @수민-w3j 3 года назад

    저래 보여주기식으로 해서 몇년지나봐라.. 다뿌사지고 방치됨.. 2-3년만 지나도 별볼일없음.. 그리고 또 문제점은 저리해둔학교 몇군데 안된다는점..

  • @kimggul99
    @kimggul99 3 года назад +1

    자기주도성 갖고 창의력 갖게해주는 공간, 교육시스템.. 필요하다고 보는데….. 왜 반대하징….

  • @user-jn9hp4tg2p
    @user-jn9hp4tg2p 3 года назад +1

    애들도 계속 줄어들고있는데 저걸 굳이? 라는 생각도 드넹

  • @hot1408
    @hot1408 3 года назад

    나때는 반에 40~45명이였는데 ~ 와 부럽다 ~

  • @lillii1307
    @lillii1307 3 года назад

    교사들 재교육부터 해야하지 않나. 나 학창시절 생각하면 교사들 철밥통 지키기에만 바쁘지 수준 처참했었다.

  • @추충렬
    @추충렬 3 года назад +4

    투표 하는자가 결정 하는것이 아니고
    개표 하는자가 결정한다 (스탈린)......(사전투표가 이경우에 딱 이네요)
    나와 우리와 사랑하는 가족과 그리고 자손들의 미래가 달렸습니다
    부정투표 .......앞으로 .제왕적 무소불위가 우리의 운명을 가릅니다

  • @jk00318
    @jk00318 3 года назад

    수능부터 좀 조져주셈 ㄷㄷ

  • @user-GoodSide
    @user-GoodSide 3 года назад +1

    애내는 왤캐 조회수도 댓글도 적냐.. 분발하자

  • @waanzz
    @waanzz 3 года назад

    요즘 초등학굔 다 떨어져서 앉구나... 애들이 없어서 그런가 널널해보이네

  • @user-qn6vo1rn2j
    @user-qn6vo1rn2j 3 года назад +1

    저걸 반대 하는 학부모가 있어? ㅋㅋㅋㅋ 누가 반대하냐 ㅋㅋㅋㅋㅋㅋ

  • @빙싯
    @빙싯 3 года назад

    아파트가 50년되면 재건축
    학교가 50년되면 내부인테리어

  • @김재철-x8y
    @김재철-x8y 3 года назад

    롯데마트학교 이마트학교 ㄱ

  • @sei8322
    @sei8322 3 года назад +1

    교실을 보는데 뭔가 산만함

  • @shbae41
    @shbae41 3 года назад

    시대는 변해가는데 학부모들은 시대를 따라 가지 못하네............................

  • @inus_00
    @inus_00 3 года назад

    반대를 왜쳐하지? 변화가 있어야 발전하는법이지 변화를 두려워하면 도태될수밖에없다 전형적인 꼰대마인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