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벼 농사] 통일벼 재배 3년 째 전남 장흥 땅 쌀나무 농사꾼 일몽 고영권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8 фев 2025
- 우리는 오천년 역사 중에
굶주림을 벗어난지 불과 44년 밖에 안되는
배고픈 민족이었습니다.
대한민국(大韓民國) 100년의 역사도
50년 가까이 궁핍 속에 속에 살아온
궁민(窮民)의 나라
즉 한이 많은 대한민국(大恨民國)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배고픈 한(恨)을 풀고 자급자족을
실현한 과정에는
기적의 볍씨라고 일컫는 '통일벼'가 있습니다.
1971년부터 통일벼 보급이
시작된 이래
1975년 쌀 자급을 이루게 한 통일벼가
1980년 냉해 피해를 기점으로
농민들이 집단적으로 외면하면서
재배면적이 급격히 줄어듭니다.
뿐만 아니라
수입 물량이 늘어나 창고가 가득해지자
정부는
1985년부터 수매를 중단합니다.
그리고
6년이 지난 1991년
마침내 통일벼 재배는 이 땅에서
더 이상 이뤄지지 않습니다.
오천년 배고품을 면하게 해준 통일벼가
28년 전 자취를 감춘 후
전라남도 장흥 땅 평화의 들판에서
3년 째 재배되고 있습니다.
어떤 사연과 의도인지
통일벼를 되살린 쌀나무 농사꾼
일몽(一夢) 고영권 선생을
통일벼가 무르익는
가을 들녘에서 만나봅니다.
ΩΩΩ
실록 통일벼, 토명 이완주, IR667,
굶주림의 역사, 식량자급, 장흥, 평화리
근성 ㄷㄷ
아토피가 있어서 글루텐 함량이 적은 통일벼, 안남미,월남쌈 등으로 아니면 식사에서 쌀밥을 최소한으로 먹고 찰진것은 피해보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소화불량을 일으키는 쌀알러지에 대해 잘 안알려진 상황이라고 합니다. 내용을 들어보니 저와 같이 맛보다는 건강을 위해 수요가 있지 않을까 싶어서 그런 방향도 고려해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