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도 명품 해설 감사합니다. 공통 해설 들으면서 쩐다고 느낀 설명 몇 자 적겠습니다. 2번 : f'(1)은 미분하고 계수의 합 3번 : 주어진 sin값'만'을 이용해서 풀기 6번 : 두 항의 합 한 번에 바라보기..메모.. 11번 : 완벽한 논리와 직관 설명의 적절한 조화 12번 : 이차함수 면적 공식 잊지말기 14번 : 차함수 지렸.. 20번 : 와 굳이 합성함수 미분 안쓰고 곱 미분으로 교육과정맞게 설명해버리는 그.. 21번 : 완벽한 그래프 개형 추론, 케이스 분류.. 22번 : 저기서 f(x)를 빼서 해석을... ㄷㄷ...
선생님 1:31:30 부터 시작하는 설명 '어트랙션에 나왔다'고 하시는데 어트랙션 안들어서 이해가 잘 안돼요 어트랙션 지금 들으면 양이 너무 많은 거 아닐지 걱정되는데 왜 이 그래프가 이렇게 b의 부호 나눠서 저렇게 그리는지 알고 싶은데 어떤 수업을 들어야 되나요? ㅠㅠ
미적 30에서 (-b/a)가 0오른쪽에 있는 그림 교점이 하나만 나오도록 하는 직선이 많아서 안된다고 하셨는데, 첫번째 변곡점을 지나는 접선 기울기를 가진 직선은 가능하지 않나요?? 계산하다가 안나와서 두번째로 구하긴 했는데 자꾸 첫번째 경우도 그래프가 그려져서요..😢😢😢
@@ttaeguelet첫번째 그림에선 t값이 변곡접선기울기일때도 가조건을 만족하지만 다른 t값을 넣는다고 해도 아무런 상관이 없어요. X=0에서만 근이 나오게 하는 직선은 많으니까요. 반면 두번째그림에선 다른 t값을 그렸다간 x=0에서만 방정식을 만족해야한다는 조건에 위배돼요. T값이 조금만 달라져도 위로볼록한 구간에서 교점이 생기든 아래로 볼록한 곳에서 교점이 생기든 할테니까요. T값을 임의의값이라 생각을 하든 고정된 값이라 생각하든 실수 t의 개수는 하나만 ‘가능’해야하니까 여러 t가 가능한 첫번째 케이스는 변곡접선 기울기일때를 생각할 필요도 없이 케이스에서 탈락됩니다.
가능하죠 그런데 그렇게 되면 저 집합을 만족하는 t의 개수는 2개가 되잖아요 ( 더 있을 수도 있음 (0,0) 을 지나며 f(x)와 0에서만 교점을 갖게 하는 기울기 , 즉 t가 1개가 안된다는 거죠) f(x)와 f’(t)x 의 교점이 0만 되게 하는 기울기가 t가 0 그리고 -b/a 두개 + α 따라서 0이 변곡점인 상황이 정답인 케이스입니다
g(x)개형을 보려해도 각각의 g(x) 정의 범위에 f(x)가 존재하기에 문제조건만으로는 어렵습니다 여기서 처음의 개념을 생각해 미분가능 함수를 더하거나 빼도 문제 조건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착안하여 뺀다면 한 쪽 범위에서 함수가 정해지니 g(x)에 대한 문제의 조건을 이용하면서 f(x)의 개형을 추론할 수 있게 됩니다
어피셜님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그런데 30번 풀이에서 다른 방법도 말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가)방정식에서 x를 양변으로 나눈 다음에 x=0 이외에서는 항상 말이 되니까 f(x)-f(0)/x-0=f’(t)라고 생각하고, 이를limit x->0 보내줘서 f’(0)=f’(t)를 만족하는 t가 1개이다, 즉 f’(x)가 x=0에서 극값이다 그래서 f’’(x)가 x=0에서 부호변한다라고 바로 생각했는데, 이렇게 풀어도 오류는 없나요? 감사합니다!
저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미적 30번을 풀때 b가 0이상인 케이스에서 그림만으로 t조건위배라고 결정지을 수 있는 이유가 귱금합니다. 저 같은경우 그래프의 접선들 중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 없어야 b>=0 케이스에서 성립 할 수 있겠구나 생각하여 직접 식을 써서 근이 0 제외하고 하나가 더 생길 수 밖에 없는것을 보고 b
하 69인데 대체 뭐가문제인지ㅠㅠㅠㅠㅠㅠㅠㅠ 풀면서도 쉽다고 느꼈고, 다끝나고 푸니까 20 28 30 빼고는 다 허무할 정도로 빨리 풀렸는데 항상 점수가 68-72에 머물러있어요ㅜㅜㅜㅜㅜ 9모도 마찬가지.. 풀면서 80중후반은 나오겠다 싶었는데 계산실수 엄청 해놔서 73점.. 수능 때 3은 나와야되는데 한달간 어떻게 공부를 해야할까요..ㅠㅠㅠ
세타= 파이/4 일때, 직선 L은 결정됩니다. (L = x + 1) 그리고 그 결정된 직선 L과 지수함수와의 교점 x 좌표가 a 입니다. 따라서 a는 상수입니다. 세타에 관한 등식을 만들면, tan(세타) f(세타) + 1 = e (f(세타) /a) - 1 ( 직선과 지수함수의 교졈을 구하기 위한 등식에서, x 대신 f(세타) 식으로 표현하라는 것에 불과 합니다. ..... 세타가 변할때, 교점 x좌표가 변하므로, 그것이 세타에 관한 함수라는 뜻 (x=f(세타)) . 그런데, 세타가 결정되면 x값이 나오는데, 세타가 파이/4 일때, 그 값을 a 라고 하자.
에프엑스가 0일때 또는 에프 프라임 엑스가 엑스제곱 플러스 2일때 주어진 식이 성립하개 되는것입니댜. 따라서 에프엑스 그랴프 개형을 그릴때 모든 실수 x으ㅣ 범위 내에서 두 식중 하나를 선택한 그래프를 그릴수 있습니다. 둘중 하나를 만족시키는 그래프를 그려도 위 식은 성맂하기 땨문입니당
본인하는거에 달렸죠. 저는 현역 고3이고 고2 때까지 님이랑 점수 비슷했음. 보통 80~84? 근데 겨울방학 때 정말 열심히 했더니(하루에 8시간~9시간) 고3 3모 때 100점 나왔고 그 이후로 지금까지도 매일 꾸준히 수학 하면서 고3 때는 평가원, 교육청 가릴 것 없이 수학 단 한문제도 안 틀렸습니다. 대학수학은 몰라도 적어도 고등수학까지는 절대 재능 아닙니다. 재능탓하는 사람들은 공부를 덜한 것. 노력하시면 무조건 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은 언어과목과 다르기 때문에 어느정도 경지에 도달하면 문제가 어떻게 나오던 딱히 변수가 없더라구요. 그래서 매니아층이 두터운 과목인거 같기도 합니다. 점수가 남들보다 조금 잘 나온다고 절대로 자만하지 않고 우직하게 공부하시면 수학은 그 어떤 과목보다 쉬운 과목이 되어있을 것입니다. 공부하다 보니까 전 진짜 수학이 너무 좋아서 수학과 가려구요 ㅋㅋㅋㅋ 하루종일 수학만 공부하고 싶네요… 쩝.. 말이 길었는데 무튼 화이팅입니다!
극한은 등호가 대부분 들어갑니다. 왜냐, 예를 들어 2/x라는 함수와 3/x라는 함수를 생각해보세요. 3/x가 양수인 부분에서는 항상 크죠. 근데 무한대로 보내면 0으로 두 극한값이 같아져버립니다. 샌드위치정리도 마찬가지. 극한값이 같다는걸 이용하므로 저렇게 등호가들어가요
극한은 등호가 대부분 들어갑니다. 왜냐, 예를 들어 2/x라는 함수와 3/x라는 함수를 생각해보세요. 3/x가 양수인 부분에서는 항상 크죠. 근데 무한대로 보내면 0으로 두 극한값이 같아져버립니다. 샌드위치정리도 마찬가지. 극한값이 같다는걸 이용하므로 저렇게 등호가들어가요
📌어피셜 온라인 수학 수업 안내
: www.eohfficial.com
📌어피셜 온라인 수학 학원 디스코드 링크
: discord.gg/pUQC3qGJvT
아래는 북마크 입니다~ 모르는 부분 쉽게 찾아가세요!
⏰시작 0:00
[공통 수학1, 수학2]
공통 1번 1:12
공통 2번 1:29
공통 3번 1:50
공통 4번 2:29
공통 5번 2:50
공통 6번 3:22
공통 7번 4:28
공통 8번 5:25
공통 9번 6:44
공통 10번 8:15
공통 11번 10:20
공통 12번 14:33
공통 13번 17:34
공통 14번 22:22
공통 15번 26:25
공통 16번 29:55
공통 17번 30:12
공통 18번 30:47
공통 19번 31:38
공통 20번 36:30
공통 21번 42:44
공통 22번 49:54
[확률과 통계]
확률과 통계 23번 56:18
확률과 통계 24번 56:34
확률과 통계 25번 57:09
확률과 통계 26번 57:50
확률과 통계 27번 59:28
확률과 통계 28번 1:02:31
확률과 통계 29번 1:05:31
확률과 통계 30번 1:10:15
[미적분]
미적분 23번 1:14:25
미적분 24번 1:14:36
미적분 25번 1:15:03
미적분 26번 1:16:16
미적분 27번 1:17:56
미적분 28번 1:20:43
미적분 29번 1:26:09
미적분 30번 1:30:09
여담이지만 혹시 문제풀이 어플 어떤 것 사용하지는 지 알 수 있나요? 1년 전 풀이영상이랑은 앱이 또 다른 것 같아서...
쎔 14번 같은 문제 그래프 대충 그릴 때 어떤 기준으로 그리는건가요
대충 그린다고 하시는데 상황에 맞는 그래프 그리시는 거 보면 넘 신기해여
제일 잘가르치시네
좋게 봐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ㅎㅎ
13번에서 2루트2인지 2분의 루트2인지 땀뻘뻘 흘리다가 선지보고 안도했으면 개추 ㅋㅋ
ㅋㅋ 근의공식쓰기 존나싫어서 걍답 끝에서부터 대입했는데 바로 나와버리기~
@@whitedaydemo근의공식 안쓰고 인수분해 가능함 앞의 계수 루트2로 쪼개서
@@user-jiho7777 ㅇㅇ이게맞음
대입해볼수있는게 객관식최대장점임 ㅋㅋ
B를 중심으로 하고 AB 반지름으로 하는 원 그려보면 구분가능함. AE 사이에 생기는 교점과 E의 거리가 2분의 루트2인것
저는 66살입니다 봄에 고등검정고시 합격해서 수능보려고 공부하는데 선생님 가르쳐는 수학강의를 든으면 도움이될것같은데 너무 빨라서 이해를 잘못하겠어요
그 유튜브는 배속 기능이 조절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어르신
@@스타벅스브이아이피좀..
배움에 끝은 없다지만 학생들도 많이 어려워하고 포기하는 과목이 수학인데… 목표를 향해 정진하시는 게 멋있으셔요👍🏼 수학 문제 보러 왔다가 또 다른 걸 배우고 갑니다
포기하십쇼 너무 늙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명품 해설 감사합니다.
공통 해설 들으면서 쩐다고 느낀 설명 몇 자 적겠습니다.
2번 : f'(1)은 미분하고 계수의 합
3번 : 주어진 sin값'만'을 이용해서 풀기
6번 : 두 항의 합 한 번에 바라보기..메모..
11번 : 완벽한 논리와 직관 설명의 적절한 조화
12번 : 이차함수 면적 공식 잊지말기
14번 : 차함수 지렸..
20번 : 와 굳이 합성함수 미분 안쓰고
곱 미분으로 교육과정맞게 설명해버리는 그..
21번 : 완벽한 그래프 개형 추론, 케이스 분류..
22번 : 저기서 f(x)를 빼서 해석을... ㄷㄷ...
크.. 느낀점 감사합니다☺️ 뿌듯하네요 ㅎㅎ
선생님 1:31:30 부터 시작하는 설명 '어트랙션에 나왔다'고 하시는데 어트랙션 안들어서 이해가 잘 안돼요 어트랙션 지금 들으면 양이 너무 많은 거 아닐지 걱정되는데 왜 이 그래프가 이렇게 b의 부호 나눠서 저렇게 그리는지 알고 싶은데 어떤 수업을 들어야 되나요? ㅠㅠ
1:33:28 에서 변곡접선 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는 직선이 접점t를 가질 수 없다고 했는데 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 변곡 접선의 기울기보다 조금 더 커진다고 해서 기울기가 일자가 되서 기울기가 무한대로 발산하는게 아닐텐데 확실한 이유가 있나요?
변곡점 자체가 도함수에서 극점을 가지는곳이니까 더 큰 기울기가 없지 않을까요
미적28 수능수학에선 비교적 못보던감성인데 재밌게 잘냇네용 샌드위치정리는 보통 논술에서 많이 나오는건데
6모 30번도 샌드위치에용
샌드위치 + 구분구적은 매우 논술 느낌이긴 했음
감사합니다 고삼인데 막막하던 와중에 너므 도움이 됐어요☺️🥹
마지막까지 화이팅입니다!!🔥
전문항 풀이 늘 감사합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빠른 풀이 감사합니다
빠른 댓글 감사합니다
문제도 잘 푸시고 설명도 잘 하시고 이분은 찐고수
감사합니다! 꾸준히 더 노력할게요 😀😀
미적 30에서 (-b/a)가 0오른쪽에 있는 그림 교점이 하나만 나오도록 하는 직선이 많아서 안된다고 하셨는데, 첫번째 변곡점을 지나는 접선 기울기를 가진 직선은 가능하지 않나요??
계산하다가 안나와서 두번째로 구하긴 했는데 자꾸 첫번째 경우도 그래프가 그려져서요..😢😢😢
앗 근데 다시보니 t가 임의의 값인가요 어느 한 고정값이 아니라..??ㅠㅡㅠ
긍까요 ㅠ
@@ttaeguelet첫번째 그림에선 t값이 변곡접선기울기일때도 가조건을 만족하지만 다른 t값을 넣는다고 해도 아무런 상관이 없어요. X=0에서만 근이 나오게 하는 직선은 많으니까요. 반면 두번째그림에선 다른 t값을 그렸다간 x=0에서만 방정식을 만족해야한다는 조건에 위배돼요. T값이 조금만 달라져도 위로볼록한 구간에서 교점이 생기든 아래로 볼록한 곳에서 교점이 생기든 할테니까요. T값을 임의의값이라 생각을 하든 고정된 값이라 생각하든 실수 t의 개수는 하나만 ‘가능’해야하니까 여러 t가 가능한 첫번째 케이스는 변곡접선 기울기일때를 생각할 필요도 없이 케이스에서 탈락됩니다.
@@김민재-q8j헉 완벽 이해됐어요..! 갑자기 왜 저런 생각을 했던건지.. 당연히 안되는 경우군요ㅠㅠ 감사합니다!
역시빠르십니다 ㄷㄷ
그저숭배
좋게봐주셔서 감사합니다☺️☺️
1:33:02 저거 근데 f't를 t1이랑 t2사이에있는 변곡점 기울기로 맞추면 t값 한개 나오는거 아닌가요? 고수님들 알려주세요
가능하죠 그런데 그렇게 되면 저 집합을 만족하는 t의 개수는 2개가 되잖아요 ( 더 있을 수도 있음 (0,0) 을 지나며 f(x)와 0에서만 교점을 갖게 하는 기울기 , 즉 t가 1개가 안된다는 거죠) f(x)와 f’(t)x 의 교점이 0만 되게 하는 기울기가 t가 0 그리고 -b/a 두개 + α
따라서 0이 변곡점인 상황이 정답인 케이스입니다
선생님 22번에서 g(x) 함수를 보고 -f(x)를 해야겠다는 생각은 뭘 보고 하는거에요?? 시비 거는게 아니고 발상을 어떻게 떠올리나 해서요..
g(x)를 정의하는데 f(x)가 모두 쓰였습니다. g(x)는 연속/불연속, 미분 가/불 이 판단의 핵심입니다. 여기서 f(x)는 미분가능이기에 함수에 더하거나 뻬도 연속/불연속 ,미분 가/불가의 특징은 변하지 않습니다
까지는 흔히 개념 정도에 해당합니다
문제를 보면 결국 f(x) 함수 구하기인데 g(x)에 대한 조건만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g(x)를 통해 f(x)를 추론해야 합니다. 물론 f(-2)=-2 라는 함숫값이 존재하지만, 이는 추론으로 나온 경우중 특정한 경우를 정해주는것과 같습니다
허나 문제의 조건만으로는 g(x)를 특정지을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다음 접근은 함수의 개형을 파악하는걸로 연결될겁니다
g(x)개형을 보려해도 각각의 g(x) 정의 범위에 f(x)가 존재하기에 문제조건만으로는 어렵습니다
여기서 처음의 개념을 생각해 미분가능 함수를 더하거나 빼도 문제 조건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착안하여 뺀다면 한 쪽 범위에서 함수가 정해지니 g(x)에 대한 문제의 조건을 이용하면서 f(x)의 개형을 추론할 수 있게 됩니다
@@seunghoonham4049 아ㅠㅠ 진짜 감사합니다 생각하는 순서대로 적어주셔서 이해됐어요!🙇♀️🙇♀️🙇♀️🙇♀️
20번 진짜 깔끔하네요
어피셜님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그런데 30번 풀이에서 다른 방법도 말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가)방정식에서 x를 양변으로 나눈 다음에 x=0 이외에서는 항상 말이 되니까 f(x)-f(0)/x-0=f’(t)라고 생각하고, 이를limit x->0 보내줘서 f’(0)=f’(t)를 만족하는 t가 1개이다, 즉 f’(x)가 x=0에서 극값이다 그래서 f’’(x)가 x=0에서 부호변한다라고 바로 생각했는데, 이렇게 풀어도 오류는 없나요?
감사합니다!
기하러는 웁니다….ㅜ
걍 울어라 ㅋㅋ
30번 레전드..
현역 기하 표본 뭐임? 확통보다 훨씬못하던데
@@검정-p8m 기하 중위권이 없어짐
기하 장례식 여시는걸 추천..
기다렸어요!!
기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저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미적 30번을 풀때 b가 0이상인 케이스에서 그림만으로 t조건위배라고 결정지을 수 있는 이유가 귱금합니다. 저 같은경우 그래프의
접선들 중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 없어야 b>=0 케이스에서 성립 할 수 있겠구나 생각하여 직접 식을 써서 근이 0 제외하고 하나가 더 생길 수 밖에 없는것을 보고 b
감사합니다 ❤
1:32:52에서 원점(정점 )
을 지나면서 기울기가 f'(t) 되는거는 하나로 정해지는거 아닌가요? 그러면 그 경우도 조건 만 족 시키는거 아닌가요?
20번 n제에서 몇번 보던거라 막풀었는데 미분가능 조건 생각 안해서 최대인 경우 찾는데 좀 오래걸려서 아쉬웠다..좋은 문제임
무슨 엔제인가요?
@@라이온-b1e 김기현쌤의 커넥션 입니다
문제 개좋음 ㄹㅇ
14번 풀때 0, 1/2, 1에서 기울기가 2가 되는걸 확인했는데 어차피 x가 1보다 클때 함수는 f(X)를 x축으로 1만큼 평행이동 후 y축으로 2만큼 평행이동 한거라서 기울기가 2나오는 지점은 전부 1씩 더해진다고 생각했는데 이것도 큰 문제는 없는 생각일까요??
20번 다항함수인줄 알고 들이박다가 참교육당해버린..
고2 것도 올려주시면 정말 감사할ㄹ거같아요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내일쯤 올라올거가타여
10모 고2는 오늘밤~ 에 업로드 예정입니다🔥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문풀 너무 좋아요 감사합니다 :)
어떤어플 쓰시나요??😁
노타빌리티입니다!
죄다 실모 n제에서 많이 본 유형들
14번 f'(x)=4x(x-1)(x-a)+2 식 전개해서 적분한다음 f(0)=1,f(1)=3 조건으로 a구하는 방식은 너무 쌩계산인가요?어찌 풀긴했는데 도중에 계산 실수가 좀 있어서 좀 오래걸렸어요
굳
선생님 혹시 중근 그래프 그리실때, 알파를 왼쪽에 놓고 0을 오른쪽에 놓은이유는 0이 왼쪽에 놓아지면 불연속점이 안나오고 첨점만 나와서 바로 스킵한건가요? 아니면 이런 해석말고 바로 알파를 왼쪽에 놓은 이유가 있을까요?
하 69인데 대체 뭐가문제인지ㅠㅠㅠㅠㅠㅠㅠㅠ 풀면서도 쉽다고 느꼈고, 다끝나고 푸니까 20 28 30 빼고는 다 허무할 정도로 빨리 풀렸는데 항상 점수가 68-72에 머물러있어요ㅜㅜㅜㅜㅜ 9모도 마찬가지.. 풀면서 80중후반은 나오겠다 싶었는데 계산실수 엄청 해놔서 73점.. 수능 때 3은 나와야되는데 한달간 어떻게 공부를 해야할까요..ㅠㅠㅠ
실력이 부족한게 아니라면 어삼쉬사 사셔서 3일컷 하겠다는마인드로 ㄱㄱ
자신감도 올라가고 탄탄해져서 2는 그녕나와버림
뭐야.. 저랑 되게 실력 비슷하신거 같은데 2등급이 아니고 3등급을 걱정하고 계신거에요? 정신 차리세요! 3등급은 무조건 뜹니다
계산 실수는 그냥 천천히 풀든 검산을 하든 해야할듯 어처피 수학은 시간 남지 않나
@@김태훈-u6d저도 계속 그 언저리 점수였는데 9모때는 73점이 4등급이었어요 ㅠㅠㅠㅠㅠ그래서 저도 걱정하고 있습니다
파이팅!
갓어피셜
🙇🏻♂️
19번이 킬러였다..
쉬는 시간에 제일 논란 많았다ㅋㅋㅋ
물론 난 틀림^^^
12 13 14맞고 5 10 11 19틀리기~~
11번은 왜 틀린겨ㅠ 너무 아쉽네
5번은 왜틀렷나요
@@kjh-sm2pu 현장감.. 때문이었을까요..
20번 해설 진짜 이해 잘됐어요 11, 14, 19, 29 실수해서 1에서 3 떠버린.. 안타까운 상황ㅋㅋㅋㅋㅋㅋㅋ수능 땐 무조건 다 맞는다
미적 29번에서 a값도 변수라고 생각해서 da/d세타를 따로 구해줘야하는줄 알고 a랑 세타 관계식을 찾을려고 했거든요.. 왜 저렇게 상수취급해서 미분할 수 있을까요..? f(파이/4)=a라는 식이 a를 상수로 고정??시켰다고 봐야하나요..?ㅜㅜㅜㅜㅜㅜ
세타= 파이/4 일때, 직선 L은 결정됩니다. (L = x + 1) 그리고 그 결정된 직선 L과 지수함수와의 교점 x 좌표가 a 입니다. 따라서 a는 상수입니다.
세타에 관한 등식을 만들면, tan(세타) f(세타) + 1 = e (f(세타) /a) - 1 ( 직선과 지수함수의 교졈을 구하기 위한 등식에서, x 대신 f(세타) 식으로 표현하라는 것에 불과 합니다. ..... 세타가 변할때, 교점 x좌표가 변하므로, 그것이 세타에 관한 함수라는 뜻 (x=f(세타)) . 그런데, 세타가 결정되면 x값이 나오는데, 세타가 파이/4 일때, 그 값을 a 라고 하자.
20번에서 초기값 넣어서 f(3)=0 나왔는데 왜 도함수 적분한 값의 x축을 케이스에 따라 분류하나요? 이미 f(3)=0으로 적분상수가 구해지는거 아닌가요
다항함수가 아닌 구간별 함수인것같습니당
@@양현우-h8c 쌌다브로;; 😘😘
준킬러 4점은 쉽다고 생각하면서 풀었는데 19번에서 시간 을 많이 썼네요.. 뭐가 부족한 걸까요?
19번이라 항상 쉽다는 보장이 없어요 오히려 객관식 4점들 보다더 더어려웠으니
그래프에 의존하신거 아닌가요
@@너나-g4p 아 감사합니다
그럼 혹시 19 20번 연습할수 있는 문제집이 뭐 있는지 아시나요?
@@서성-u7r 식 보는 관점도 연습해야겠네여 감사합니다
그냥 지금은 매일 사설 실모 풀면서 오답하면서 배우는게 제일 빠를듯
53:31 중근일때 근이 알파랑 0인건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쌤 9번 풀 때 g=lfl/x-1로 두고 1에서 연속이라는 조건이랑 g(3)=0이라는 거 이용해서 f를 바로 (x-1)(x-3)(x-a)로 두고 시작했는데 이래도 괜찮은 건가요?ㅠㅠ
넵넵 👍🏻
근데 30번 가조건에서 양변을 x로 나눠서 좌변이 평균변화율, 우변이 t에서의 순간변화율이 같은 순간이라고 해석하면 좌변이 (t, f(t))와 (0,0) 평변, 우변이 순변이니 식 하나 작성하면 답이 나오는데 이 풀이 과정에서 오류가 있을까요
미적 27번 질문이요!! 역함수를 가지는 거니까 g(x) 도함수가 0보다 크거나 같다 둬서 a=3e~ 식 도출해내도 되나요??
선생님 혹시 10번문제를 좌극 우극 나누지 말고 절대값씌인 함수자체를 또다른 함수라고 판단하고 x=1에서 미분계수가 존재해야하니 접하는 형태라고 한단해도 문제가 없을까요..?
f가 x-1을 인수로 가져야하는걸 아는데 그러면 g가 부호함수꼴이 되니까 하나 더 가져야죠
19번 (나)조건에서 절댓값 그래프 안그리고 그냥 그래프 그려서 y=2/5 와 y=-2/5 만나는점 고려해서 풀수도 있지않나요?
전에 이런 절댓값 삼각함수 문제에서 이렇게 푸셔서
14번 같은 경우 흔히 x축에 w모양으로 접하는 사차함수와 같아서 접선 기울기랑 같은 지점이면 미분 필요없이 바로 두 접점의 가운데 값으로 나와용~
20번 공통이라 합성미분 쓸까 말까 고민 했는데 그냥 쓸걸 하
12번에 양근 하나 음근 하나씩 갖는 경우는 안 되는 건가요 ㅠㅠ?
41:50 에서 뭐가 최대고 뭐가 최소인지 어떻게 한번에 아나요??
넓이가 아니고 적분값이라서 M은 양수값인거, m은 음수값 중 넓이 제일 큰거
28번 부등호에 등호 안넣어도 되는건가요?
a1은 2파이인데요...
n을 무한대로 보내고 있기에 굳이 1일깨를 신경쓰지 않는 거에요
어우 근데 깔끔하다
감사합니다🔥
19번에 나 조건을 보지 않고 바로 a=2라고 말할 수 없지 않나요? x축이 삼각함수 최댓값과 만날 수 있으니까요
a=1이면(님이 말씀하신 대로 x축에서 접하면) b=-1입니다. y=2/5일 때 실근 합이 1(양의 방향에서 두번 만난다)이 되므로 3/4를 만들 수 없습니다.
최저러인데 안전하게 4등급 어캐해야나오죠 맨날 간당간당해요…
아니 19번 난이도 계속 올라가네 이게 11,12,13,15,20번 보다 어렵던데 ㅠㅠ
전 14번도 19번보다 쉬운거 같더라구요 ㅋㅋㅋㅋ
20번은 공통에서 제일 어렵지 않았나?ㅋㅋㅋ
20번 맛있긴하
@@P-ft7ur 20번 기출 틱이잖아 저런문제가 얼마나 많이 있는디
@@임현수-r3kㄴㄴ 저렇게 함수 변하는거 처음나옴 20이 공통 최고난도 맞음
20에서 case2를 어떻게 하면 만들수 있는거죠??
저거 첨에 2에프엑스 에프프라임엑스 는 2(엑스제곱 더하기 2엑스)에프엑스
이식을 어떻게 저렇게 해석하는지 이해가 잘 안돼요ㅠㅠ
양변을 fx로 나누고 (fx=0이 아닌 경우)
와 fx=0인경우로 해서 구하믄 됨
@@user-ye1lw8mj6r 저거와 비슷한식
예를 들어서 (x-2)= (x-2)(x-8) 이런거 있으면 x가 2일때랑 x가 2가 아닐때 8이런것도 비슷한건가요?
아니면 어떤 조건에서 저런건지 잘 모르겠어요ㅜㅠ
에프엑스가 0일때 또는 에프 프라임 엑스가 엑스제곱 플러스 2일때 주어진 식이 성립하개 되는것입니댜. 따라서 에프엑스 그랴프 개형을 그릴때 모든 실수 x으ㅣ 범위 내에서 두 식중 하나를 선택한 그래프를 그릴수 있습니다. 둘중 하나를 만족시키는 그래프를 그려도 위 식은 성맂하기 땨문입니당
14번에서 x축 위치 정하실 때 접하는 경우는 고려 안 하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확실히 빠르시다 이번모고 나쁘지않게 나온듯요 난이도 높은애도있었고
감사합니다 ㅎㅎ 맞아요 몇몇 문제는 고민할만한 포인트가 있었어요
10:12 선생님 g(x)의 좌극=우극이라도 g(1)의 함숫값은 정의될 수 없는게 아닌지 궁금해요
애초에 연속이라는 조건때문에 함숫값= 극한값 입니다
당연히 정의되죠
아근데 ㅋㅋㅋ 중간중간에 게으름의천재성이 보이시네 시험때 왜 이렇겐 생각못했지 귀찮게했네가 매번보임여 ㅋㅋ 번창할유튜버
감사합니다🔥끝까지 화이팅입니다!!
28번 synthesis 3회 30번 덕분에 맞췄네요
그게뭐임?
모의고사는 조졌지만 오늘 인생에서 제일 행복한 날입니다 정말로 사랑해
78점(다른건 비밀 16,17틀림)
20번에 갈아탄다는 말이 이해가 안되는데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그런 개념이 있는건가요??
16:52 12번 문제에서 3/6×1×1×1은 어떻게 나온 건가요?
넌 +1 해라 ㅋㅋ
이차함수 적분 넓이 6분의 공식이용
@@주희-x8h 감사합니다
@@주희-x8h1에서3은 왜 이차함수 공식 쓰면 안되나요??
음...21번이 이해가 안되는데 해설에서 나오는 그래프 모양은 f(t)=0을 만족시키는 구간이 없어서 치역이 0,1,2라는 (가)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거 아닌가요?
t가 음수면 g(t)=0이에요!!
아하! 그걸 생각 못했네요.. 감사합니다
고2도 해주시나요
10모 고2는 오늘밤~ 에 업로드 예정입니다🔥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선생님 아이패드 기종이머에여
27번 a가 음수일때는 고려 안하나요?
41:51 에서 case1은 3에서 미분불가하지 않나요,,?ㅠㅠ
f(x)가 쭉~0인 구간이 없는거죵
미적 30번같은 함수 그래프 그리는방법이 어느영상에 설명되어있나요??
어느 강사 개념책을 봐도 다 나와있어요
그냥 저런 건 3등급이상부터는 1초만에 바로 그려져야험 초월함수 그래프
애초에 지수함수>다항험수>로그함수 순이잖슴 힘이
그걸로 무한대 마무한대 0 이정도 생각하고 바로 그리셈
10모때 14개 틀렸는데 수능날 3등급 가능할까요😢😢
접으세요
가능.
아니요..
동지여 전 영어 1맞고 수학 40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씨바 인생 진짜
일단 가능충은 안됨
38:25 2대1 내분점이라는 것이 이해가 잘 안됩니다.. 혹시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대신 답변도 괜찮아요! !
삼각함수 비율관계에서 극값(소,대) ,변곡점 ,극값에서 그은 접선과 만나는 점은 1:1:1:1 비율관계에 있습니다
기하 풀이 원하시면 얘기해주세요 !
30번 빼고 다 가능 합니다
31:40 왜 (가) 조건 풀 땐 절댓값 생각 안 하고 푸나요?
f가 0인곳은 절댓값이 필요없으니까요
10번에서 f(x)가 x=1에서 위로 볼록 중근인 형태일 수 있다고는 왜 고려하지않나요??
확통 30번을 이항분포로 해석한 것은 잘못된 거죠.?
독립시행이 아니라 케이스 분류문제여서 이항분포는 안됨
저만 교육청이 평가원보다 어렵나요..?
6모 9모보다 점수 내려감..
6모72에서 10모60나옴요.. 저는 아무래도 평가원의 아들인듯 ㅠㅠ
9모랑 비슷한데, 19,20,21정도만 더 어려운 정도 같은데요.. 22는 너무 특수 케이스라..
(6모 84 9모 96 10모 92)
올해 한정 (퀄리티, 난이도) 교육청>>평가원
@@o_8637진짜 구라좀 치지마세요 ㅋㅋ
@@user-believeinyourself 교육청은 터치가 적나?
현재 고2인데 고3 10모 76점 떳습니다.,내년엔 만점 가능하겠죠?
본인하는거에 달렸죠. 저는 현역 고3이고 고2 때까지 님이랑 점수 비슷했음. 보통 80~84? 근데 겨울방학 때 정말 열심히 했더니(하루에 8시간~9시간) 고3 3모 때 100점 나왔고 그 이후로 지금까지도 매일 꾸준히 수학 하면서 고3 때는 평가원, 교육청 가릴 것 없이 수학 단 한문제도 안 틀렸습니다. 대학수학은 몰라도 적어도 고등수학까지는 절대 재능 아닙니다. 재능탓하는 사람들은 공부를 덜한 것. 노력하시면 무조건 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은 언어과목과 다르기 때문에 어느정도 경지에 도달하면 문제가 어떻게 나오던 딱히 변수가 없더라구요. 그래서 매니아층이 두터운 과목인거 같기도 합니다. 점수가 남들보다 조금 잘 나온다고 절대로 자만하지 않고 우직하게 공부하시면 수학은 그 어떤 과목보다 쉬운 과목이 되어있을 것입니다. 공부하다 보니까 전 진짜 수학이 너무 좋아서 수학과 가려구요 ㅋㅋㅋㅋ 하루종일 수학만 공부하고 싶네요… 쩝.. 말이 길었는데 무튼 화이팅입니다!
저는 고2 때까지 님이랑 비슷했는데 지금 60점 받습니다 ㅎ
위에 분처럼 되시려면 진짜 열심히 해야할 듯
51:24 왜 이상한거에서 정상적인거 빼면 그 포인트에서 이상한거지😢😢
미분불가능(g)에서 미분가능(f)을 더하고 빼도 무조건 미분불가능하고
불연속에도 연속을 더하고빼도 무조건 불연속이니 g-f도 보기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단한거 같아요
22번에 왜 0에서 근은 항상 가지나요? 연속 조건과 어떻게 연관짓나요ㅜㅜ
f(x)=0에서 그래프 개형이 바뀌니까 당연히 그때 불연속이나 미분불가능이 생기겠죠 그런데 하나는 첨점이기때문에 2f(x)=f(x)+x 둘이 같아야합니다 그러면 f(x)=x가 되는데 f(x)=0이라 했으니 x=0인겁니다
14 20 정도 맛있음 14 좀 쉽긴 한디 작수랑 비슷한 정도 아닌가 //미적은 10모 보다는 어려울듯
재수생 안 봐서 등급 컷 내려갔을까요??
19번에 접어올린걸 그리고 나서 ×= 1/4일때 1+b이고 ×=1/2일때 -b이니 y값이 뭐가 더 클지 범위나눠서 해야하는거아닌가요 ㅠ
8번 틀린거 너무 맘아프넹 ㅠㅜ
수능때 잘하면 됩니다!!🔥
14번에 미분하면 등호가 사라져서 1이 포함이 안되는거 아닌가요??
22번.. 번호에 쫄지 맙시다
19번이 22번보다 어려우면 개추~
@@수면-d4u그건 아니다..
@@윤지후-q2u그래프 추론은 너무 많이 나와서 그럴수도 잇긴해 익숙하기도 하고
미적분 28번에 부등식에서 리미트랑 시그마 붙이면 왜 등호가 생기는 건가요??
극한은 등호가 대부분 들어갑니다.
왜냐, 예를 들어 2/x라는 함수와 3/x라는 함수를 생각해보세요. 3/x가 양수인 부분에서는 항상 크죠. 근데 무한대로 보내면 0으로 두 극한값이 같아져버립니다. 샌드위치정리도 마찬가지. 극한값이 같다는걸 이용하므로 저렇게 등호가들어가요
미적 28번 극한 붙일때 왜 등호가 들어가는거죠?
극한은 등호가 대부분 들어갑니다.
왜냐, 예를 들어 2/x라는 함수와 3/x라는 함수를 생각해보세요. 3/x가 양수인 부분에서는 항상 크죠. 근데 무한대로 보내면 0으로 두 극한값이 같아져버립니다. 샌드위치정리도 마찬가지. 극한값이 같다는걸 이용하므로 저렇게 등호가들어가요
고2는 안올려주시나여
10모 고2는 오늘밤~에 업로드 예정입니다🔥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3점이 좀 어려워지고 19,20도 살짝 어려워진느낌??😂😂
22222
4등급이누
선생님 그러면 20번에 케이스가 많이 되니까 그냥 f(x)=0이라는 함수도 그 케이스에 포함되나요!
22번에서 접하는 부분의 x값을 왜 0으로 하는 건지 이해가 안가요ㅠ 왜인지 알 수 있을까요? 알파가0인 부분에서 연속이니까 그런 건가요?
그림 세개 중 첫번째 케이스 말하는거라면 한점(알파)에서는 불연속이고 한점에서는 연속이면서 미분 불가능 해야되는데 그 점(알파가 아닌 점)을 접점이라 가정한거고 그때 그 점이 연속이여야 하니까 y=x위에 있어야돼요. 그럼 접점의 y가 0이니 x도 0인거죠
22번에서 중근 갖는 개형 추론 할때, x^2(x-a)는 설명이 없으셔서 왜 안되는지 궁금합니다
x=0일 때 미분가능해져서 미분불가능 한게 1개가 돼버려요
고2도 올려주실 수 있을까요..?? 7월에 5등급이었는데 진짜 열심히해서 2등급 턱걸이 떴는데 피드백 하고 싶어요 ㅠ
오 2등급 축하드려요!!! 계속 열심히 하시면 분명 좋은 결과 있을거에요 ㅎㅎ 10모 고2는 오늘밤~에 업로드 예정입니다🔥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필기앱 뭔지 알 수 있을까요?
노타빌리티래여
20번에서 f(x)는 0일때 그래프를 섞는다는게 무슨 뜻인가요?
[0, 양의 무한대)에서 f(x)=0(상수함수)면 f(3)=0
14번 왜 f(x)에 2x+1를 빼야하는지 강의를 듣고도 모르겠네요...
차함수
9모보다 너무 못봐서 마음이 힘들어요 흑흑 ㅠㅠㅠ
9모 시험은 없던 시험으로 봐야해요 6모랑 비교 ㄱ
@@양원준-n9n 6모땐 내신치느라 정시공부 시작도 안햇어서 의미가 더 없울고같음..
@@ksixhw-x4r귀엽다…ㅠ
기하는 문항도 아닌가요?? 😢😢
30번에서 왜 기울기가 변곡점보다 클 수 없나요? 모든 그래프에서 성립하는 건가요?
변곡점에서 기울기가 최대 최소에요
진짜 현역기하러들 레전드던데 확통보다 정답률이낮음 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