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학교에 16.6버전이 깔려있는 거 같은데 요즘은 17.2로 바뀌는 추세입니다. 그런데 거의 둘다 비슷해서 아무버전이나 하시는데 문제는 없을겁니다. 시험시간은 아마 4시간인가? 5시간인가 잘 기억이 안나는데 검색해보시면 나올꺼에요. 기존에 OrCAD를 몇번 써보셨으면 한 준비기간 2주정도하면 되지 않을까요?
@@chu-hz2bv 인터넷 사용은 불가능합니다. 제일 확실한 방법은 직접 풋프린트를 만들어보시고, SOT143을 PCB에 배치해서 서로 크기를 육안으로 확인해보시면 확실합니다. 만약 서로 풋프린트가 잘 들어맞다면 사용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PCB에서 제공되는 모든 내장 풋프린트를 pdf로 만든 파일이 있습니다 -> ansan-survivor.tistory.com/23 )
동영상 보기 귀찮다면 아래 블로그 참고.
ansan-survivor.tistory.com/272
2주뒤 시험을 앞두고 있어, 영상을 참고하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place manual이 버튼이 생기지 않는경우가 있나요?
지금 그다음 단계로 넘어가질 못하고있네요ㅜㅜ
어느 부분의 place manual 버튼인가요?
우클릭 했을때 edit Properties...가 안보이는데 보이게하는 방법이 있나요?
Footprint는 시험장에서 안알려주나요?
본인이 다 외워서 알고가야하나요?
영상에서 제작하는것은 직접 만들어야 하고, 그냥 갖다 쓰는것은 내장되있는것이므로 외우고 가시면 됩니다. 만약 전부 직접 제작하시려면 안 외우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유극성cap 풋프린트(C14,C15)를 D55라고 하셨는데 CAP196으로 써도 무방할까요?.
CAP196은 Dip타입이라서 안됩니다. 문제지의 DataSheet를 보시면 SMD형태이므로 내장되어있는 Footprint가 없기 때문에 직접 만든겁니다.
자꾸 물어봐서 죄송합니다 ㅠ 공개문제에는 라이브러리를 자신의 비번호로 설정하라는데 무슨말인지 잘 이해가 가질않네요;; 선생님이 하신대로 그냥 따라하면 될까요?..
시험장에가면 본인 신분을 증명하면서 번호하나를 줍니다. 그 번호가 비번호 입니다. 제가 만든 연습문제에서는 제가 부여받은 번호가 10번이라고 가정해서 폴더이름을 10으로 만들었습니다. 만약 가서 8번을 받으시면 10대신 8을 쓰시면 되겠죠?
안녕하세요 DRC하고 네트리스트를 못가는데 어디가 잘못된걸까요? DRC에서는 오류없었습니다.
보통 Netlist를 못넘기는 부분에 Footprint 또는 Pin 이름 관련 실수를 많이 하십니다. Footprint같은 경우 오타가 발생하면 Netlist가 안넘어가니 자세히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블로그 글들을 대충 보았는데 캐드를 평생 처음 만져보아서 풋프린트가 무엇인지 Atmega가 무엇인지 VCC가 무엇인지도 하나도 모르겠습니다. 그냥 막연히 따라해서 될까요?
이 캐드의 사용 목적은 전기전자 회로도를 바탕으로 PCB를 설계하는 소프트웨어 툴로, 우선 PCB가 무엇이고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어떤 과정으로 설계하는지 등 구글링이던가 유투브라던가 먼저 공부 해보시고나서 다시 보시는게 나을 듯 합니다
풋프린트값 작성할때 풋프린트값은 외워야하나요??
내장된것을 사용할 땐 외워야 하고, 직접 만들어 쓰신다면 직접 이름을 부여하니 만드실 필요 없겠죠
netalias 도 외워야하나요??
@@이영은-y5b 내장안되있는 D55이런건만들어야되고 내장되있는건 외워야죠
Atmega8에서 aref는 처음부터 패시브로 만들어도 되나요?
쉽게 생각해서 전원하고 연결되는것들은 꼭 POWER로 만드시면 됩니다. 연결안되는것들은 passive든 뭐든 상관없습니다.
전자캐드기능사 공개문제의 요구사항에 새로운 부품(part) 작성 시 라이브러리의 이름은 자신의 비번호로 명명하라고 되어있는데 자신의 비번호로 되있는 폴더안에 라이브러리 폴더를 따로 만들어야 하나요?
네 모르겠으면 폴더생성이나 라이브러리 생성 등 모두 자기 비번호로 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십니까 지난주에 필기 합격했는데 atmega,mic811,adm101e, 다 만들고 나서 같은 라이브러리 에 저장을 해야 하는 건가요?
저장 위치는 상관 없을 듯한데, 만드는 부품이 얼마 안되기에 같은 라이브러리에 저장하면 다루기가 편리하기 때문에 그렇게 했습니다.
@@안산드레아스-j7l 고맙습니다 ^-^
합격 하셨으면 좋겠네요
저도 실기 연습중인데 혹시 저항(RC1608) 풋프린터 작성 하셨나요?
안산 드레아스님 영상에서는 패드 만들때 사이즈 1.0과 0.8로 하는데 과제에 어떤 데이터를 보고 1.0과0.8이 나왔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chu-hz2bv 아직 풋프린터 작성은 못했습니다
@@동현-o9s 실기 시험 보셨는줄 알았는데 필기 합격하셨군요!
저도 필기 합격후 실기연습중입니다.
혹시 사용하시는 OR CAD버전이 어떻게 되시는지 모르겠지만 RC1608에 대한 풋프린터가 제공되어 있나요?
전 16.6버전인데 아무리 찾아도 없네요.
저가 다음달 19일 실기 전자캐드보는데요
공개문제 말고 다른문제유형은 아디가면 구할수 있는지 혹시 아시나요
"일렉튜브"라는 유투버님이 다른 유형들을 youtube에 업로드한 자료 많습니다. 그러나 2020년 3회차부터 위와 같은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변경된 이후로 아직까지는 새로운 문제는 출시가 안된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혹시 or cad에서 TP(test point)부품이 무슨 역할을 하는 지 아시나요..?
TP는 PCB보드가 생산된 후, 해당 Net에 원하는 신호가 잘 나오나 "테스트"해보는 지점(포인트) 입니다. 즉, 오실로스코프로 해당부를 찍어서 내가 의도한 신호가 잘 나오는지 확인하는 부분이죠
2주 뒤에 시험인데 이거보고 잘 따라하면 합격 할 수 있을까요...ㅜㅅ
네 충분히 가능할겁니다!
금요날 시험치는데 공개문제 그대로 나오나요?
이전에는 그랬는데, 앞으로 어떻게 낼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led 풋프린트 값 cap196 말고 0805 써도 돼나요?
LED가 SMD인지에 대한 정보는 없지만, 이전 시험들에서 LED는 cap196 사용해서 저도 cap196을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cap196을 사용해서 합격했으므로 cap196사용을 하시길 바랍니다.
제가 보는 시험장버전이 16.7인데 달라지는게 있나요?
16.7버전은 없습니다. 17.2버전을 말씀하시는지요? 16버전에서 제일 상위버전은 16.6버전일겁니다. 위 자료는 16.6버전으로 만들었고, 16.5나 16.3이나 UI가 거의 비슷해서 동일하겁니다
혹시 버전은 어떤거로 연습하는게 좋을까요?
대부분 학교에 16.6버전이 깔려있는 거 같은데 요즘은 17.2로 바뀌는 추세입니다. 그런데 거의 둘다 비슷해서 아무버전이나 하시는데 문제는 없을겁니다.
@@안산드레아스-j7l시험장에서 17.2가설치되었다고해서요 책이든 영상이든 다 16.6기준이던데..17.2로 깔고 봐도 괜찮다는 말씀인거죠?
내일 실기 접수를 해서 8월 21일쯤부터 시험볼 예정인데
독학으로 하면 기간 어느정도면 충분한가요?
또 버전은 무엇을 써야하며, 시험장에서 몇시간안에 완성해야하나요
대부분 학교에 16.6버전이 깔려있는 거 같은데 요즘은 17.2로 바뀌는 추세입니다. 그런데 거의 둘다 비슷해서 아무버전이나 하시는데 문제는 없을겁니다. 시험시간은 아마 4시간인가? 5시간인가 잘 기억이 안나는데 검색해보시면 나올꺼에요. 기존에 OrCAD를 몇번 써보셨으면 한 준비기간 2주정도하면 되지 않을까요?
혹시 공개도면에는 발광다이오드에 대한 풋프린트정보가 안보이던데.. 왜 cap196을 쓰는건가요? 그리고 smr0603을 쓰는 이유가 저게 도면에서 제공해주는 규격과 동일한 풋프린트라서 그런건가요?
네 풋프린트에서 제공하지 않아서 기존 시험에서 출제되었던 LED로 진행했습니다. 기존시험에서는 LED풋프린트를 cap196으로 사용했습니다. cap196을 사용하세요 저는 그거쓰고 합격했습니다.
네 풋프린트 보시면서 직접 만들어보시고, smr0603이랑 비교해보세요 얼마 차이 안납니다. 데이터시트에 있는 부품을 납땜을 할 수 있는가 여부가 중요합니다.
LM2902 앞쪽 PASSIVE처리 안해도 되나요?
그렇게 하셔도 되고, 저는 ERC체크에 out과 power 간의 error를 무시하는 설정을 했습니다. 선택은 자유입니다. 다만 DRC체크를 에러없이 넘기는게 중요합니다.
유튜브 댓글도 보시는지 잘 모르겠지만 질문 하나 드립니다. 시험지에는 안 나와 있는 것 같은데 MIC811 풋프린트가 SOT143인 건 어떻게 아시는건가요? SOT도 종류가 엄청 많던데 시험에서 SOT23, SOT723 등 다른 부품이 나오면 어떻게 찾아야 하나요?
MIC811의 데이터시트를 보고 칩의 dimension을 측정해보시면, SOT143이 딱 들어맞는걸 알 수 있습니다. 실제 저는 시험장에서 SOT143을 썼고, 합격했습니다.
@@안산드레아스-j7l 답변감사합니다. 어제 시험봤는데 다행히 저도 같은거로 나왔네유
@@떡더기 당분간은 저 문제로 나올것 같습니다 아직 변경된지 얼마 안되서요 ㅎㅎ 합격 기원합니다!
@@안산드레아스-j7l 저도 위에 떡더기님 댓글 처럼 궁금합니다.
답글에( MIC811의 데이터를 보고)는
시험지에 나온 데이터를 보라는 말이고
그뒤에 나오는 말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SOT143 치수 측정하는 방법이 있나요?
시험장에서 인터넷 사용가능한가요?
@@chu-hz2bv 인터넷 사용은 불가능합니다. 제일 확실한 방법은 직접 풋프린트를 만들어보시고, SOT143을 PCB에 배치해서 서로 크기를 육안으로 확인해보시면 확실합니다. 만약 서로 풋프린트가 잘 들어맞다면 사용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PCB에서 제공되는 모든 내장 풋프린트를 pdf로 만든 파일이 있습니다 -> ansan-survivor.tistory.com/23 )